1 / 3
" 107"으로 검색하여,
2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8-31▲ 필리핀 모버(Mober)는 현지에서 100% 전기자동차(EV)를 통한 이케아 가구 배달 서비스를 계획한다.[출처=모버 홈페이지]2024년 8월 동남아시아 유통·서비스업 주요동향은 말레이시아 상장 식음료 기업의 북유럽 커피 시장 진출, 필리핀 물류업체의 전기자동차(EV) 이케아 가구 배달 서비스, 태국 우정국의 ESG+E 원칙 따르는 디지털 전환 서비스를 포함한다.○ 싱가포르 바세 엔터테인먼트 아시아(Base Entertainment Asia)에 따르면 2025년 3월 뮤지컬 '위키드'가 마리나 베이 샌즈의 샌즈 공연장에서 막을 올린다. 2011년과 2016년 이후 3번째 공연이다.위키드는 그레고리 머과이어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라이먼 프랭크 바움의 소설 <오즈의 마법사>에서 도로시가 도착하기 전과 후 시점을 다루며 두 마녀 엘파바와 글린다의 이야기다.2003년 초연을 했으며 지금까지 16개국에서 공연됐다. 또한 브로드웨이 역사상 4번째로 오래 공연한 작품이기도 하다.○ 말레이시아 버자야 푸드 그룹(Berjaya Food)은 커피 체인점 스타벅스(Starbucks) 매장을 아이슬란드, 덴마크, 핀란드에서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권한을 얻었다. 북유럽 커피 시장에 처음으로 말레이시아 상장 식음료 기업이 진출한 것이다.스타벅스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에 따르면 버자야 푸드 그룹과 26년간 유지된 협력 관계로 하여금 지역 사회 참여와 더불어 현지 고용 및 조달에 집중하고자 한다.스타벅스 프랜차이즈를 소유한 덴마크 샐링 그룹(Salling Group)은 해당 파트너십을 통한 브랜드의 성장을 기대했다.○ 우편 서비스업체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의 2024년 2분기 순손실은 5592만 링깃으로 전년 2700만 링깃과 비교해 107%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 순손실은 전년 5467만 링깃에서 7561만 링깃으로 증가했다.매출은 우편 및 물류 부문에서 낮은 실적을 보이며 4억4343만 링
-
▲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 홍보 이미지[출처=포스 말레이시아 홈페이지]2024년 8월 3주차 말레이시아 경제는 2024년 2분기 스타미디어그룹과 포스 말레이시아의 실적, 현지 헥스타르 리테일과 홍콩 탐자이의 파트너십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스타 미디어그룹(Star Media Group, SMG)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매출액은 741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5800만 링깃과 비교해 28% 증가했다. 세전이익은 2023년 120만 링깃에서 2024년 760만 링깃으로 급증한 바 있다.SMG의 2024년 상반기 매출액은 1억274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1억1000만 링깃 대비 16% 증가했다. 세전이익은 740만 링깃으로 2023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특히 부동산 개발 및 투자 부문 매출은 3060만 링깃·세전이익 1200만 링깃을 기록해 2023년 상반기 매출 420만 링깃·세전손실 100만 링깃인 실적에서 크게 개선됐다. 스타 비지니스 허브 프로젝트의 청구 금액이 증가했기 때문이다.인쇄, 디지털, 이벤트 사업 매출은 859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다. 라디오 방송 매출은 136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했다.○ 우편 서비스업체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의 2024년 2분기 순손실은 5592만 링깃으로 전년 2700만 링깃과 비교해 107%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 순손실은 전년 5467만 링깃에서 7561만 링깃으로 증가했다.매출은 우편 및 물류 부문에서 낮은 실적을 보이며 4억4343만 링깃으로 4.6% 감소했다. 대량 우편물과 국제 우편의 처리량이 감소함으로써 우편에 대한 매출이 10%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물류와 관련된 매출액은 672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7990만 링깃과 비교해 감소했다. 자동차 및 화물 사업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항공 부문 매출은 기내식 사업이 공헌해 8800만 링깃을 기록했다
-
▲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 홍보 이미지[출처=포스 말레이시아 홈페이지]2024년 8월22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우편 서비스업체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의 2024년 상반기 순손실은 전년 5467만 링깃에서 7561만 링깃으로 증가했다.대량 우편물과 국제 우편 처리량이 감소하며 우편 부문 매출이 10% 감소했다. 민간 물류업체와 경쟁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필리핀 아얄라 그룹 에너지 부문 계열사 아센(ACEN)에 따르면 자회사 AC 수빅 솔라(AC Subic Solar), AC 라구나 솔라(AC Laguna Solar), 솔라에이스4 에너지(SolarAce4 Energy)를 통해 라구나 호수 표면에 부유형 태양광(FPV) 발전 시설을 건설한다. 아센은 2027년까지 478억9000만 페소를 투자한다.◇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 2024년 2분기 순손실 5592만 링깃으로 107% 증가우편 서비스업체 포스 말레이시아(Pos Malaysia)의 2024년 2분기 순손실은 5592만 링깃으로 전년 2700만 링깃과 비교해 107%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 순손실은 전년 5467만 링깃에서 7561만 링깃으로 증가했다.매출은 우편 및 물류 부문에서 낮은 실적을 보이며 4억4343만 링깃으로 4.6% 감소했다. 대량 우편물과 국제 우편의 처리량이 감소함으로써 우편에 대한 매출이 10%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물류와 관련된 매출액은 672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7990만 링깃과 비교해 감소했다. 자동차 및 화물 사업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항공 부문 매출은 기내식 사업이 공헌해 8800만 링깃을 기록했다. 이는 2023년 2분기 7310만 링깃보다 증가했다.◇ 필리핀 아센(ACEN), 라구나 호수에 부유형 태양광(FPV) 발전 시스템 구축에 478억9000만 페소 투자필리핀 아얄라 그룹 에너지 부문 계열사 아센(ACEN)은 라구나 호수에 최대 용량 1120메
-
▲ 동아시아 주요국 국기[출처=CIA]2024년 7월15일 중국의 경제동향을 살펴보면 국가원자력기구가 내몽골 자치구 오르돗에 최대 규모 천연 우라늄 생산 프로젝트를 착공시켰다. 7월17일~19일, 7월19일~20일 각각 INES2024와 양자정보기술 학술교류회의가 예정되어 있다.일본에서는 도쿄소방청(東京消防庁)이 관내 리튬이온 전지 화재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주의를 당부했으며 후생노동성은 기업들이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으로 고졸 채용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통계를 발표했다.홍콩 정부는 제24차 광둥-홍콩 합작연석회의(第24次粵港合作聯席會議)에서 다양한 분야 교류 및 협력을 위해 6개 협력을 체결했으며 대만 TSMC는 가까운 시일내 NVIDIA의 최신 Blackwell 플랫폼 아키텍처 그리픽 프로세스(GPU) 생산할 예정이다.◇ 중국 최대 규모 우라늄 생산 프로젝트 착공중국 국가원자력기구(国家原子能机构, CAEA)는 내몽골 자치구 오르도스에서 최대 규모 천연 우라늄 생산 프로젝트를 착공했다.핵 산업 개발 계획의 일부로 녹색, 경제적, 지능적, 효율적 운영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산화 탄소 및 산소 침출을 사용한 첨단 채굴 공정을 채택했다. 원자력 발전량은 2023년 44만 기가와트(GW)로 전체 전력 생산량의 약 5%에 해당된다.중국전지공업협회(中国电池工业协会)는 2024년 7월17일~19일까지 3일간 선전(深圳)에서 2024중국국제신에너지저장발전정상회의(2024中国国际新型储能发展峰会, INES2024)를 개최한다.중국전자학회 양자정보분과(中国电子学会量子信息分会)는 2024년 7월19일~20일까지 양일간 산시성 타이위안시(山西省太原市)에서 양자정보기술 학술교류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중국민용항공국(中國民用航空局)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항공업계 승객이 총 3억5000만 명으로 2019년 대비 9.0% 증가했다. 이중 국내선 승객은 2019년 같은 기간 3억2000명 대비 12.4% 늘어났다. 국제선은 2967만3000
-
새날 “정권 교체를 위한 씽크탱크” 372회 : 22대 총선 대비 공약 분석 62. 서울시 영등포구갑 김영주 의원24년 03월05일자 새날 방송패널 구성 : 민진규, 이상구▲ 왼쪽부터 푸른나무, 민진규 소장(국가정보전략연구소), 이상구 원장 [출처=새날 유튜브]2024년 03월05일(화요일) 새날 유튜브 방송은 2020년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서울시 영등포구갑 김영주 의원이 제시한 선거공약을 평가했다. 평가를 위한 방송에는 푸른나무, 이상구 원장, 민진규 소장(국가정보전략연구소)이 출연했다.평가방법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ARMOR)’ 평가 모델을 적용했다.영등포구는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영등포구 선거구에서 영등포구 갑과을 선거구로 분리·신설됐다. 관할구역은 영등포구 영등포본동, 영등포동, 당산1동, 당산2동, 도림동, 문래동, 양평1동, 양평2동, 신길3동 등이다.제17대 비례대표 당선을 포함해 21대 선거에서 4선 의원으로 당선된 김영주(국회 부의장)는 22대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공심위의 하위 20% 통보에 2024년 2월 19일 탈당을 선언했다. 탈당한 김영주 의원은 국민의힘에 입당했으며 3월5일 영등포구갑 국민의힘 소속으로 전략 공천됐다.▲ 서울시 영등포구갑 김영주 의원(정치/경제/사회/문화/과학(기술)) [출처=국가정보전략연구소(iNIS)]김영주 의원이 21대 제시한 53개 공약은 정치(행정)(0)·경제(산업)(3)·사회(복지)(37)·문화(교육)(13)·과학(기술)(0) 등으로 구성됐으며 사회(복지) 공약이 전체의 69.8%를 차지했다.다음으로 △문화(교육) 공약 24.5% △경제(산업) 공약은 5.7%이며 △정치(행정) 공약과 △과학(기술) 공약은 0.0%를 기록했다.▲ 새날 진행자 푸른나무 [출처=새날 유튜브]○
-
2022-07-04미국 생체인식 테스트 랩(Biometrics test lab)인 아이베타(iBeta)에 따르면 생체인식 프레젠테이션 공격 감지(PAD) 테스트와 관련해 ISO 30107 표준과 FIDO(Fast Identity Online) 표준의 효율성을 비교하는 보고서를 공개했다.2개 인증 모두 생체 인식 보안 표준을 준수하는 것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된다. ISO 30107을 획득하기 위한 테스트는 한 레벨에서만 성능 테스트를 요구하고, FIDO는 두 레벨 모두에서 테스트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ISO 적합성 테스트는 '라이브니스 전용(liveness-only)'과 '전체 시스템(full-system)'의 2가지 모드를 포함한다. 2가지 모드 모두 시스템의 보안 보호 장치에 침투하도록 설계된 마스크와 같은 PAI(presentation attack instruments)을 생성해야 한다.라이브니스 전용 테스트는 생체 인식 시스템이 살아있는 인간과 공격을 구별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전체 시스템도 개개인을 구별하는 생체 시스템의 능력을 테스트한다.반면에 FIDO 얼라이언스(Alliance) 의 생체 인식 구성요소 인증에서는 PAD 테스트 단계와 성능 테스트 단계가 포함된다.첫 번째 단계에서는 생체 인식 시스템이 실험실 환경에서 테스트되는 것을 확인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실제 조건을 반영하는 인구 집단에서 대량 테스트가 실행된다.이와 같은 차이점을 바탕으로 아이베타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 기관에 기술을 판매하려는 회사는 어떤 유형의 테스트가 필요한지를 알려주고 있다.▲ 아이베타(iBet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2-03-30미국 사모펀드 기업인 토마 브라보(Thoma Bravo)에 따르면 영국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회사인 아나플랜(Anaplan)을 US$ 107억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이번 거래는 Sachem Head Capital Management, Corvex Management가 JS Capital Management와 함께 아나플랜의 지분을 확보한 후 합의된 것이다. 이자율 상승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우려로 기술주가 급락하자 아나플란과 이사회는 민간기업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토마 브라보와의 거래 금액은 2021년 가을에 거래된 수준이다. 아나플랜 인수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시장 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은행들이 인수 자금을 축소할 것이라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성사됐다. 이로서 2022년에도 대규모 차입 매수가 활발하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아나플랜 거래는 JP모건,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 등과 같은 대출기업들이 전통적으로 공급하는 은행 금융을 우회하는 최대 규모의 차입금에 의한 기업매수(LBO)가 될 것이다.▲아나플랜(Anaplan) 로고
-
2021-07-06미국 연방항공청(FAA)에 따르면 상업용 드론을 인증받지 않은 채 비행할 경우 최대 US$ 3만2666달러(약 3700만원)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상업용 드론은 연방항공청의 PART 107 법규에 따라 필수 인증을 받아야 한다. 문제는 인증을 받지 않고 비행 규정만 준수하면 된다는 인식과 상업용인지 구분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드론으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로 ‘수익’을 창출하면 모두 상업용으로 간주된다. 유튜버들이 드론으로 영상을 제작해 광고 수익이 발생하면 상업용 드론으로 인정된다. 이러할 경우에 반드시 107 인증을 받아야 한다.비행 규칙도 55파운드(약 25킬로그램) 미만의 드론을 400피트(약 121미트) 미만 고도에서 비행하는 것만 유지해서는 안 된다. 상업용이라면 반드시 시험 통과 후 인증을 받은 뒤에, 비행규칙을 따라야 한다.PART 107 인증은 시험을 치르고 통과하면 2년간의 유효기간이 있으며 인증 비용은 150달러가 소요된다. 반면 취미용 드론의 경우 무료 시험(TRUST)을 통과하면 평생 유지된다.참고로 상업용 드론을 불법 비행하다 적발돼 형사처벌까지 적용되는 경우, 최대 3년형의 징역 또는 최대 25만달러(약 2억8000만원)의 벌금이 각각 부과될 수 있다.▲연방항공청 드론 인증카드 예시(출처 : Drone Pilot Ground School)
-
2019-05-14미국 시장조사기관인 Canalys에 따르면 2019년 1분기 북미지역에서 한국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1070만대로 전년 동기 1030만대 대비 40만대 증가했다. 1분기 시장 점유율은 29.3%로 전년 동기 23.2% 대비 6.1%P 상승했다.북미시장에서 애플(Apple), LG전자 스마트폰 출하대수가 감소한 반면 삼성전자 스마트폰 출하대수가 증가한 것은 Galaxy S10 시리즈의 출하로 판매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2019년 1분기 Galaxy S10시리즈의 판매량이 S9시리즈 대비 2배 이상 늘어났다.2019년 1분기 북미시장 점유율 40.0%로 1위를 차지한 애플의 동기간 출하대수는 1460만대로 2018년 1분기 1790만대 대비 330만대 감소했다. 시장 점유율 역시 2018년 1분기 40.3%에서 0.3%P 줄어들었다.3위를 차지한 한국의 LG전자는 2019년 1분기 480만대를 출하해 전년 동기 640만대 대비 축소됐다. 시장점유율은 13.3%로 전년 동기 14.4% 대비 1.1%P 감소했다.4위 중국 레노버(Lenove)는 2019년 1분기에 240만대를 출하해 전년 동기 170만대 대비 70만대 증가했다. 시장 점유율은 6.5%로 전년 동기 3.8% 대비 2.7%P 확대됐다.5위 TCL은 2019년 1분기에 140만대를 출하해 전년 동기 110만대 대비 30만대 늘어났으며 시장 점유율은 4.0%로 전년 동기 2.5% 대비 1.5%P 상승했다.기타 모델의 총 출하대수는 250만대로 전년 동기 700만대 대비 감소했으며 시장 점유율 역시 6.8%로 전년 동기 15.8% 대비 축소됐다.2019년 1분기 북미시장에 출하된 총 스마트폰 대수는 3640만대로 전년 동기 4440만대 대비 18% 줄어들었다.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Canalys Global Office▲미국 시장조사기관 Canalys Global Office(출처 : 홈페이지)
-
2018-12-19캐나다 정부에 따르면 배터리 및 태양광 발전 스마트 그리드 프로젝트에 $1070만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전기공급 개선과 오염감소 및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이다.해당 프로젝트는 엡코르(EPCOR)와 알버타 스마트 그리드 컨소시엄(Alberta Smart Grid Consortium)과 파트너십을 통해 진행된다. 엡코르는 에드먼턴의 수자원 및 전기 유틸리티 제공업체이다.알버타 스마트 그리드 컨소시엄은 Alberta Innovates와 Alberta Department of Energy로 구성됐다. 프로젝트를 통해 알버타의 스마트 그리드 이니셔티브 개발 및 배치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특히 인근 태양열 시설에서 전기를 공급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방침이다. 이를 위해 우수한 관리제어기능과 개선된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6MW 배터리 스토리지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배터리 스토리지시스템을 통해 회사 및 요금 납부자의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새로운 배터리 스토리지 시스템은 보다 탄력 있고 안정적인 전력망을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참고로 프로젝트에 대한 연방정부의 자금지원은 자연자원 캐나다의 스마트 그리드 프로그램(Natural Resources Canada's Smart Grid Program)에서 할당된다. 또한 Alberta Innovates는 주정부로부터 추가로 190만달러의 기금을 지원 받는다.▲ Canada-albertaInnovates-energystorage▲ Alberta Innovates의 프로젝트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