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드로미"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25▲ LX공사, 말레이시사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스마트네이션 엑스포 2025’ 참가(한국국토정보와 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 입주기업 관계자) [출처=한국국토정보공사]한국국토정보공사(사장 어명소, 이하 LX공사)에 따르면 2025년 11월18일(화)부터 21일(금)까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스마트네이션 엑스포 2025’에 참가했다.중소벤처기업부 특화역량 BI 육성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개최된 행사다. 스마트네이션 엑스포 2025에 참가해 공간정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기회를 지원하고 공간정보 창업기업 해외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특히 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 입주기업 3개사(드로미, 카탈로닉스, 베스텔라랩)와 글로벌 벤처투자사·엑셀러레이터(심산벤처스, 스타트런)의 동남아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한국의 혁신적인 공간정보 기술의 우수성을 알리는 성과를 거뒀다.주식회사 드로미는 말레이시아 디지털트윈 구축 및 인공지능(AI) 인프라를 주도하는 Smartsel과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MOU 및 향후 PoC 진행을 위한 비밀유지협약(NDA) 체결을 완료함으로써 동남아 시장의 첫발을 내딛게 됐다.주식회사 카탈로닉스는 말레이시아 디지털경제공사인 ‘MDEC’와의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정부 주도 기술사업화 및 현지 파트너십 기반을 확보했다. 현지기업과의 세부사업에 대한 논의가 지속될 예정이다.주식회사 베스텔라랩은 현지 정부기관인 MRANTI의 자율주행 및 도로주차관리 시스템 제안을 요청받음으로써 현지 진출이 가시화될 전망이다.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 이태범 센터장은 “이번 스마트네이션 엑스포 2025를 통해 한국의 혁신적인 공간정보 기술을 해외로 확산시키는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공간정보 창업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2021-06-03스위스 수중드론개발업체 하이드로미아(Hydromea)에 따르면 HD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수중드론을 개발하고 있다. 케이블 선이 없이 광 펄스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수중드론을 원격으로 조종하거나 자율유영을 하는 기술은 곳곳에서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수중에서 전파를 주고 받는 것은 상당히 제한되기 때문에 수중 탐사 시 케이블 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케이블 선을 연결하면 수중 영상을 지상 센터에 전송하는 데 매우 안정적이고 확실하다. 단, 수중드론이 영상으로 담을 수 있는 영역은 케이블 선에 따라 매우 제한적이다.하이드로미아 연구팀은 무선으로 HD 고화질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빛을 이용하기로 결정했다. 광 펄스(light pulses)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2진수 데이터로 변환 및 전송하는 것이다.연구팀은 무선 수중드론 프로토타입 엑스레이(ExRay)를 기존 수중 통신 시스템 루마(Luma)에 연결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루마는 지상 센터와 수중드론의 광학 모뎀을 광 펄스로 연결해준다.엑스레이는 470나노미터 청색 LED의 광 펄스를 계속 발산하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간이 무선통신기 트랜스시버가 초당 10메가비트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HD 비디오를 끊김없이 보낼 수 있다.현재 수중드론이 영상을 보내며 유영할 수 있는 수심은 50미터가 한계이며 탁도에 따라 더욱 제한적이다. 연구팀은 수심 100미터까지 기술력을 향상시켜 무선 수중드론의 영역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참고로 하이드로미아의 수중드론 엑스레이 모델은 세계 최초의 무선 수중드론으로 불리고 있다. 관련 기술이 더욱 발전한다면 향후 해저 탐사 및 수색 업무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하이드로미아의 수중드론 엑스레이(출처 : 홈페이지)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