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능력 강화"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21▲ ‘서울 ADEX 2025’ 기아 전시관 전경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 최준영)에 따르면 2025년 10월20일(월)부터 24일(금)까지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방위산업 전시회인 ‘서울 ADEX 2025’ 비즈니스 데이에서 다양한 군용 차량을 공개한다.2025년 15회째를 맞는 ‘서울 ADEX 2025’는 전 세계 35개국 600여 개 업체들이 참가해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관련 첨단 기술과 장비 등을 대거 선보인다.10월17일(금)부터 19일(일)까지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퍼블릭 데이’가 진행됐다. 10월20일부터 24일까지 고양 킨텍스에서 방산 관계자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데이’가 열린다.이번 전시에서 기아는 타스만 군용 지휘차 실물을 처음 공개한다. 타스만 군용 지휘차는 정통 픽업 특유의 오프로드 성능과 안전·편의 사양을 기반으로 무전기와 안테나 등을 장착해 작전 운용 능력을 강화한 차량이다. 9월 한국군의 표준 지휘용 픽업으로 선정돼 연내에 실전 투입된다.이와 함께 기아는 2025년 6월 선보인 차세대 중형 표준차(KMTV, Kia Medium Tactical Vehicle)도 전시한다. 차세대 중형 표준차는 △수심 1미터(m) 하천 도하 △60퍼센트(%) 종경사 및 40% 횡경사 주행 △전자파 차단 설계 △영하 32도 시동 △최대 병력 25명 또는 화물 10톤 수송 등 우수한 험지 주행 능력을 발휘한다.아울러 △화물 적재가 가능한 ‘4인승 카고’ △정찰 능력 확대를 지원하는 ‘드론 탑재차’ △장소 제한 없이 위험지역을 감시하는 ‘인공지능(AI) 경계차’ 등 군의 사용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한 소형 전술차(KLTV, Kia Light Tactical Vehicle)를 선보인다.특히 기아의 소형 전술차는 기
-
2003년 방영된 영화 ‘실미도’는 북파 공작원의 훈련과 제거 과정을 그려 큰 인기를 끌었다. 실미도 부대는 1969년 1월 21일 북한 124부대원 31명이 청와대를 기습한 사건을 보복하기 위해 공군에 창설한 684부대를 말한다.공군 정보부대는 2년 동안 인천 영종도 옆에 위치한 무인도 실미도에 훈련장을 만들어 북한 김일성을 암살하기 위한 정예 공작원을 양성했다.하지만 1970년대 초 미국 정부가 한반도에 데탕트 정책을 시행하며 남북한에서 긴장이 완화되며 공작원을 파견하기 어려워졌다.1971년 8월 24명의 부대원은 훈련장을 무단 이탈해 서울로 이동했다. 대통령과 면담을 요구하며 서울 영등포까지 진출했지만 한강을 넘지 못하고 진압당했다. 현장에서 투항한 부대원 4명도 군사재판에서 사형을 언도받고 생을 마감했다.필자는 공군 정보부대에서 훈련을 받는 과정에서 당시에는 ‘영종도 사건’으로 알려졌던 ‘실미도 사건’에 대해 접했다. 군사비밀로 분류돼 은밀하게 유통되던 내용이 영화로 제작되며 감회가 새로웠던 기억을 갖고 있다.▲ 국가정보기관의 이해 - 활동영역과 개혁과제 표지 by 민진규 [출처=엠아이앤뉴스]◇ 군사독재시절 정치에 동원된 불행한 역사로 정치적 중립 추구... 12·3내란에 HID 동원하며 위기 자초그런데 2024년 12월 3일 저녁에 발동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에 국군정보사 소속 HID(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라는 용어가 인구에 회자(膾炙)되며 군 시절에 대한 기억이 다시 떠올렸다.윤 전 대통령이 발동한 비상계엄령은 국회의 결의로 해제됐지만 정보사 소속 HID 요원이 주요 군사 시설 파괴와 요인 암살 임무를 할당받아 실행한다는 것이 요지였다.HID 요원은 직속 상관의 명령에만 복종하기 때문에 실제 명령자를 파악해야 공작 임무 중단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일부 요원은 국내 일부 지방공항을 폭파해 사회적 혼란을 유도하고
-
2022년 겨울 우리나라 국민은 난방비 폭탄으로 고통을 받았는데 가정에 난방용 가스를 공급한 한국가스공사는 2조4634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가스공사는 2023년 매출액44조5500억 원, 영업이익 1조5500억 원을 기록했지만 7400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막대한 영업이익을 달성했지만 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등 영업외 비용이 많기 때문이다.정부와 국민연금 등 친정부 주주가 70%가 넘는 공기업이 국민에게 막대한 부담을 지우고 이익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의문이다.윤석열정부는 에너지 관련 공기업의 경영 부실을 해결하기 위해 묘수를 째내고 있지만 집권한지 2년이 넘었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나지 않고 있다.가스공사가 주장하는 뼈를 깎는 자구노력이 무엇인지 궁금하지만 큰 기대를 하는 국민은 많지 않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소나기만 피하자는 심정’으로 앵무새처럼 떠드는 핑게꺼리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가스공사의 경영 문제점과 혁신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가스공사의 경영혁신 관련 핵심 이슈 [출처=iNIS]◇ 어렵게 임명한 내부 출신 CEO마저 부실 경영으로 해임...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대응력 부족한국가스공사법 제1조에 가스공사는 ‘가스를 장기적으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민 생활의 편익 증진과 공공복리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한다고 명시돼 있다.해외에서 가스를 수입해 일반 가정, 상업 시설, 공장, 버스 등에 연료로 공급한다. 가스공사의 경영이 실패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우선 가스공사가 가스 수입에 대한 구체적인 경영계획을 제대로 수립하지 못해 비용이 급증했다. 쉽게 설명하면 소비자에게 판매할 가스의 구입비가 높아졌다는 의미다.관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 1월 기준 가스공사가 구매한 액화천연가스(LNG) 평균 가격은 MMBTU(열량 단위)당 US$ 24.46달러(약 3만2100원)로 민간 직수입업체가 지불한 11.93달러의 205%에 달했다.가스공사는 가스에 대한
-
2024년 12월29일 전라남도 무안공항에서 착륙하던 항공기가 폭발하며 대규모 참사가 발생했다. 사고 원인에 대한 규명 작업이 늦어지며 갖가지 추측이 난무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전문가들은 여객기가 새떼와 충돌한 것이 주요인이라고 지적한다. 일부 언론은 철새 도래지에 공항을 건설한 것부터 잘못됐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다.이번 글에서는 국가정보전략연구소 민진규 소장과 중앙대 ICT융합안전 전공 박재희가 공동으로 제출한 '재난 조기 경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연구(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를 소개한다.◇ 다양한 형태의 재난이 빈발하며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필요현대 사회는 기후 변화, 도시화, 산업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자연재해, 인재, 사회재난 등 다양한 형태의 재난에 더욱 취약해지고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른바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 Early Warning System)'의 구축 및 운영은 매우 중요하다.연구자들은 데이터 창고(Data Warehouse) 구축, 분석 도구(Analysis Tool) 개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활용, 수요 배포(Dissemination), 환류(Feedback) 등의 과정을 통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본 연구는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한다.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 Data)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인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세부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 창고(Data Warehouse) 구축... 활용방안을 염두에 두고 데이터 모델링 필요데이터 창고는 재난 시스템의 중요한 기반 요소로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하
-
▲ Jason W. Lambert L3해리스 IRS 사장, Michael Calderone 봄바르디어 디펜스 사업개발 부사장, Asaf Sharvit IAI/ELTA Systems Airborne Systems and Dadar 부사장, 박정우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장, 국찬호 LIG 넥스원 C5ISR 사업본부 본부장[출처=대한항공]대한항공(대표 조원태·우기홍)과 2024년 8월13일 오후 미국 방산업체인 L3해리스(Harris)와 서울 영등포구 공군호텔에서 ‘L3 인더스트리 데이(Industry Day)’ 행사를 개최했다. L3 인더스트리 데이 행사는 우리 공군의 공중 감시정찰 능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협의했다.이날 행사는 △박정우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 본부장 ▷제이슨 W. 램버트(Jason W. Lambert) L3해리스 ISR 사장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 △이스라엘 방산업체 엘타 시스템즈(ELTA Systems) △LIG넥스원 ▷연합정밀 △한얼시스템 등 국내외 주요 방산 기업 30여 곳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대한민국 공군은 현재 독자적 감시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항공통제기 추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항공통제기 추가 도입이 주된 의제였다.항공통제기는 공중조기경보통제기(AEW&C·Airborne Early Warning & Control)로도 불리고 있다. 고성능 레이더를 탑재해 ‘날아다니는 레이더 겸 지휘소’로 평가받는 주요 항공 자산이다.국토 전역에서 주요 목표물을 탐지·분석하고 공중에서 실시간으로 군의 작전을 지휘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현재 우리 공군은 보잉사의 E-737 ‘피스아이(Peace Eye·평화 감시자)’ 항공통제기 4대를 운용 중이다. 이에 더해 오는 2031년까지 2조9000억 원을 들여 공군 항공통제기를 국외에서 추가 도입하려는 2차 사업을
-
2022-01-13영국 런던 본사의 다국적 법무법인인 핀센트 메이슨(Pinsent Masons)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기업 범죄와 수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파트너 에드워드(Edward James)를 고용했다.에드워드는 남아공에 본사를 둔 국내 및 아프리카 최대 법률회사인 ENS아프리카(ENSafrica)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 핀센트 메이슨에서 에드워드는 주로 글로벌 에너지 및 인프라 부문과 협력할 것이다. 또한 포렌식, 범죄 수사 및 아프리카에서의 규정 준수 능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에드워드는 고객의 준수, 사기, 뇌물수수 및 부패, 기업 스파이, 자금세탁 방지, 사이버 침해 및 경제 제재에 대해 조언하는 선도적인 기업 범죄 및 수사 전문가이다. ▲핀센트 메이슨(Pinsent Masons) 로고
-
2022-01-13영국 런던 본사의 다국적 법무법인인 핀센트 메이슨(Pinsent Masons)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기업 범죄와 수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파트너 에드워드(Edward James)를 고용했다.에드워드는 남아공에 본사를 둔 국내 및 아프리카 최대 법률회사인 ENS아프리카(ENSafrica)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 핀센트 메이슨에서 에드워드는 주로 글로벌 에너지 및 인프라 부문과 협력할 것이다. 또한 포렌식, 범죄 수사 및 아프리카에서의 규정 준수 능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에드워드는 고객의 준수, 사기, 뇌물수수 및 부패, 기업 스파이, 자금세탁 방지, 사이버 침해 및 경제 제재에 대해 조언하는 선도적인 기업 범죄 및 수사 전문가이다. ▲핀센트 메이슨(Pinsent Masons) 로고
-
최근 자전거가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친환경 교통수단이며 비만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 각광을 받으면서 자전거 이용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서울을 포함해 전국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자전거를 무료로 빌려준다. 일부 기관의 통계에 따르면 국내 전체 자전거 이용자는 1300만명이 넘는다.자전거를 이용하는 국민이 늘어나고 있지만 자전거 안전교육을 전문적으로 시행하는 기관이나 학교는 전무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돌을 지난 아이들이 부모의 도움을 받아 세발자전거를 타고,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두발 자전거를 타는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자전거 운전에 익숙해진다.자전거도 오토바이 못지 않게 사고 위험이 높은 이동수단이지만 오토바이와 달리 어린아이까지 탈 수 있는 교통수단이라는 점, 저속으로 운행된다는 점, 차도가 아니라 인도로 주행한다는 점 등으로 인해 매우 안전할 것이고 착각하게 된다.자동차, 오토바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속도가 빠르지 않다고 안전이 보장되는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안전의 사각지대에서 운행되고 있다. 자전거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K-Safety 진단모델’을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K-Safety 진단 모델로 자전거 종합평가 결과 [출처=iNIS]◇ 음주운전 단속을 강화해야 사고 줄일 수 있어자전거 이용은 가벼운 라이딩을 하는 로드바이크에서부터 전문스포츠에 해당하는 산악바이크까지 다양하다. 어린아이가 동네 공원이나 골목길에서 저가의 세발 자전거를 타는 것이 전문 라이더가 고가의 산악용 자전거로 산길을 주행하는 것보다 안전하다.자전거는 몸체가 튼튼하거나 고가의 제동장치를 갖췄다고 안전해지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운전자의 안정운행 규정 준수와 안전의식 고취이다.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자전거 사고는 1만4376건, 사망자는 212명, 부상자는 1만4837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5년간 매년 평균 1만5000건 이상의 사고가 발생하고 200명 이상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에 따르면 2016년~2018년까지 3년간 정보인프라설비 건설 계획에 따라 정보인프라설비 정비에 1조2000만 위안을 투자하기로 했다.중점 투자 분야는 고속광섬유 네트워크, 모바일 광대역, 글로벌 네트워크의 정비, 응용개발 능력의 강화 등이다.중국 정부는 13.5차 인터넷+ 계획에 따라 자국의 정보인프라 구축을 통한 글로벌 인터넷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China_NDRC(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_Homepage 6▲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로고
-
히타치엘리베이터차이나(立电梯(中国)有限公司)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중국 내 에스컬레이터 개발 및 생산 기술 기능을 집중해 개발 가속화, 상품력 강화, 비용 절감등을 실현해 나갈 예정이다.또한 중국내 제조업 능력 향상 및 품질 향상을 통해 해외시장 경쟁력 강화 및 에스컬레이터 사업 성장과 연결시킨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연간 7만 대의 엘리베이터가 판매된다.▲ China_Hitachi Elevator China_Homepage▲히타치엘리베이터차이나(立电梯(中国)有限公司)홈페이지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