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광케이블"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HD현대, ‘KT’·‘KT SAT’과 함께 ‘스타링크 활용 및 AI 기반 업무 혁신 추진’을 위한 MOU 체결 [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2025년 9월11일(목)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KT SAT 본사에서 ‘KT’·‘KT SAT’과 함께 ‘스타링크 활용 및 인공지능(AI) 기반 업무 혁신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선박 건조 현장에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를 도입하는 셈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HD현대는 선박 건조 과정 전반에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를 도입·적용한다.KT SAT은 스타링크 안테나 등 위성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장비를 공급한다. 또한 KT는 자사의 AI 기술을 연계해 HD현대 임직원의 업무 생산성 향상을 지원할 계획이다.차세대 통신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는 수천 기의 소형 위성을 기반으로 전 세계 어디서든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지구 저궤도 위성 통신 서비스’다.미국의 대표 우주산업 기업인 ‘스페이스엑스’가 운영하고 있다. 무엇보다 스타링크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광케이블 및 기지국 설치가 어려운 바다·산악 지역에서도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하다.HD현대는 스타링크 위성 서비스를 활용해 건조 중인 선박 내부에 통신망을 구축, 스마트워크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작업 도중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이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원격 시운전도 더욱 확대한다. 현재 시운전 중인 선박이 해상 통신 음영 구역에서 문제가 생겨날 경우 해당 선박을 통신이 가능한 영해로 이동시켜 조치를 취하고 시운전을 재개하는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스타링크 위성망을 활용한 원격 시운전의 확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제 운항 중인 선박의 엔진 상태와 실시간
-
▲ ‘JAKO(Japan–Korea) 프로젝트’ 서명식(좌측부터 이한욱 AWS APAC 백본 총괄, 다츠야 아베 아르테리아 네트웍스 대표, 한윤재 드림라인 대표, 스탠리 임 마이크로소프트 상무, 주완섭 LS전선 통신·산업솔루션사업본부장(전무)) [출처=LS전선]LS전선(회장 구자엽, 대표이사 구본규)에 따르면 2025년 6월24일(수) 늦은 오후 LS마린솔루션과 서울 용산구 LS용산타워에서 진행된 ‘JAKO(Japan–Korea) 프로젝트’ 서명식을 진행했다.LS전선과 LS마린솔루션이 공동 참여하는 JAKO(Japan–Korea) 프로젝트는 한일 해저통신망 구축 프로젝트(JAKO, Japan–Korea)로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웹서비스(AWS) 등이 주도하고 있다.JAKO 프로젝트는 MS, AWS, 한국 드림라인, 일본 아르테리아 네트웍스 등 글로벌 테크 기업들과 통신사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하는 대규모 해저 통신 인프라 사업이다.양사는 이날 컨소시엄과 협약식을 갖고 사업 개요와 참여 기업, 향후 일정 등을 공유하며 본격적인 사업 참여를 공식화했다.이 프로젝트는 부산과 후쿠오카를 잇는 총 260킬로미터(km) 구간에 광케이블을 활용해 통신망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2025년 착공해 2027년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LS전선은 국내 전선업계 최초로 국가 간 해저통신망 사업을 턴키방식(EPC : 설계·조달·시공)으로 수주해 전체 프로젝트를 총괄하며 LS마린솔루션은 해저 케이블 시공을 맡는다.이번 프로젝트는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확대에 따라 급증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다. 한국이 글로벌 통신 허브로 도약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회사 측은 이번 사업을 통해 동북아 디지털 고속도로의 핵심 축을 구축하고 기존 에너지 고속도로 사업에 이어 디지털 인프라 시장에서도 글로벌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주완섭 LS
-
▲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동통신사인 보다콤(Vodacom)은 2017년부터 #CodeLikeAGirl 프로그램을 시작해 저소득층 소녀들을 대상으로 코딩 교육을 제공했다. [출처=보다콤 홈페이지] 2024년 8월 아프리카 ICT산업 주요동향은 통신과 기술을 포함한다. 이집트 통신사인 텔콤 이집트(Telecom Egypt)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매출 EGP 380억 파운드(US$ 7억7400만달러)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35% 상승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동통신사인 보다콤(Vodacom)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저소득층 소녀 대상 코딩 교육 프로그램을 3000명까지 달성하 계획이다.해당 #CodeLikeAGirl 프로그램은 2017년부터 시작해 현재까지 6300명 이상의 소녀들이 참여했다. 2023 회계연도 참여자 수는 2451명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한 7년 동안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다.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에서 소외되는 14세에서 18세 사이의 저소득층 소녀들에게 코딩의 기본과 진로 방향 등을 교육해 기술 격차를 줄이고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아공 통신사인 메트로파이버(Metrofibre)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망 확장을 줄이고 지역 내 고객 기반 확장에 집중할 방침이다.2024년 6월 기준 메트로파이버의 네트워크는 51만7000가구에 연결됐다. 3년 전 목표치인 30만 가구 추가 연결을 초과 달성한 것이다.메트로파이버는 국내 개방형 광케이블(FTTH) 네트워크 규모에서 부마텔(Vumatel)과 텔콤(Telkom) 다음인 3위이다.○ 미국 정보기술기업인 메타(Meta)에 따르면 8월6일부터 콘텐츠 크리에이터 수익화 모델 국가에 케냐를 추가했다.수익화 모델은 2가지로 페이스북(Facebook)에 게시한 동영상에 광고를 삽입하거나 짧은 동영상이 첨부된 광고를 올리는 형식이다.현재 메타가 크리에이터와 광고 매출을 나누는 아프리카 국가는 이집트, 나
-
2024-08-23▲ 보츠와나 카로웨(Karowe) 광산에서 2492캐럿 다이아몬드 원석이 발견됐다. [출처=루카라 다이아몬드(Lucara Diamond Corp) 홈페이지] 2024년 8월23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보츠와나의 기업 경영전략을 포함한다. 남아공 통신사인 메트로파이버(Metrofibre)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망 확장을 줄이고 지역 내 고객 기반 확장에 집중할 방침이다.캐나다 다이아몬드 탐사 및 광업 회사인 루카라 다이아몬드(Lucara Diamond Corp)에 따르면 보츠와나 카로웨(Karowe) 광산에서 2492캐럿 다이아몬드 원석을 채굴했다.◇ 남아공 울워스(Woolworths), 첫 번째 다크 스토어(Dark Store)인 울리스 대시(Woolies Dash) 운영 시작남아프리카공화국 다국적 소매업체인 울워스(Woolworths)에 따르면 첫 번째 다크 스토어(Dark Store)인 울리스 대시(Woolies Dash)의 운영을 시작했다.주문형 운송 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케이프타운 중심업무지구(CBD)에 위치한다. 다크 스토어는 온라인 쇼핑에만 이용되는 소규모 물류 거점 혹은 유통 센터다. 근시일 전국으로 울리스 대시 운영 지역을 확장할 계획이다.남아공 통신사인 메트로파이버(Metrofibre)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망 확장을 줄이고 지역 내 고객 기반 확장에 집중할 방침이다.2024년 6월 기준 메트로파이버의 네트워크는 51만7000가구에 연결됐다. 3년 전 목표치인 30만 가구 추가 연결을 초과 달성한 것이다.메트로파이버는 국내 개방형 광케이블(FTTH) 네트워크 규모에서 부마텔(Vumatel)과 텔콤(Telkom) 다음인 3위이다.◇ 캐나다 루카라 다이아몬드(Lucara Diamond Corp), 보츠와나 카로웨(Karowe) 광산에서 2492캐럿 다이아몬드 원석 채굴캐나다 다이아몬드 탐사 및 광업 회사인 루카라 다이아몬드(Lucara Diamond Corp)에 따르면 보츠와나 카로웨(Karowe)
-
2021-05-07남아프리카공화국 이동통신사인 MTN에 따르면 2021년 5월 첫째주부터 수퍼소닉 에어파이버(Supersonic AirFibre)의 첫 상용 설치를 시작할 계획이다.2021년 2월 MTN은 상기 솔루션 출시 발표 이후 1년 이내에 6만 채의 가구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수퍼소닉 에어파이버를 통해 이전에는 접속할 수 없었던 지역에서 저렴하고 빠른 인터넷 연결 수요 급증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퍼소닉 에어파이버는 기존 수신 네트워크를 사용함으로써 노동 집약적인 광케이블을 대체할 것으로 분석된다. MTN은 이러한 기술은 기존의 개방형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고객의 서비스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한다. 수퍼소닉 에어파이버의 첫번째 상업서비스 시작 지역은 Soweto, Mamelodi, Fairlands, Honeydew 등이다.▲MTN 홈페이지
-
2021-02-09인도 통신사인 바티 에어텔(Bharti Airtel)에 따르면 향후 1년 이내에 모든 가정에 광케이블 회선을 연결할 계획이다. 구리선은 더 이상 설치하지 않을 방침이다.현재 브로드밴드를 연결한 도시는 120개이지만 1000개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고객은 2021년 1뷴기에만 21만5000명을 늘려 총 279만명에 달한다.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재택근무, 원격교육 등으로 인해 가정용 인터넷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시장의 경쟁이 치열하면서 가격 인하로 매출은 정체돼 있다.참고로 다른 통신사업자인 릴라이언스 지오도 전국적으로 광케이블 회선을 설치하고 있는 중이다. 초고속 인터넷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크기 때문이다.▲바티 에어텔(Bharti Airtel) 로고
-
필리핀 통신회사 PLDT에 따르면 5억 페소 투자해 아시아-아프리카-유럽(AAE-1)을 잇는 해저광케이블을 부설할 계획이다. 인터넷 품질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완료될 경우 IP기반 데이터, 해외 비디오 콘텐츠, 다른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필요한 대역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아프리카-유럽(AAE-1) 광케이블은 19개 국가를 연결해 2만5000킬로미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경유할 국가는 홍콩,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미얀마, 인도, 파키스탄, 아랍에미리트, 오만, 콰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지부티, 예멘, 이집트, 그리스, 이탈리아, 프랑스 등이다.▲통신회사 PLDT 로고
-
2017-05-23우즈베키스탄 정보통신기술개발부에 따르면 광섬유 케이블 제조공장을 가동할 계획이다. 공장은 'Rele I Avtomatika'사에 의해 Chilanzar지구에 건설될 예정이다.Uzbektelecom에 따르면 2021년까지 약 22만7000km의 광케이블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통신개발부는 이에 현지 공급규모를 55%로 정했다.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한 광섬유 케이블을 활용할 경우 총 US$ 1억5000만 달러의 외환이 절약될 것으로 전망된다.▲정보통신기술개발부 홈페이지
-
필리핀 통신회사 PLDT에 따르면 국제광케이블 프로젝트에 $US 10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해당 광케이블은 아시아-아프리카-유럽을 잇는다.해저케이블은 총 2.5만 킬로미터에 달하며 아시아를 중동, 동아프리카, 유럽까지 잇는다. 현재 홍콩 기반의 PCCW Global과 PLDT 등이 수행하고 있다.이 프로젝트와 더불어 아시아-아메리카게이트웨이(AAG) 프로젝트도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동남아시아에서 미국까지 연결된다.현재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국제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PLDT는 국제데이터에 대한 수요를 충족해 국내 통신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할 방침이다.▲통신회사 PLDT 홈페이지
-
베트남 통신기업 비에텔(Viettel)은 에티오피아 통신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현지사무소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현지사무소는 시장조사 및 투자촉진의 목적이며 사업허가 취득시 95%의 시민들에게 서비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또한 현지사무소는 사업허가 취득을 위한 준비의 일환이다. 비에텔은 사업허가가 승인되면 7만km에 달하는 광케이블을 부설하고 에티오피아 인구의 95%에게 서비스를 공급할 계획이다. 사측은 국가의 통신 인프라 정비가 경제성장에 중요하다고 주장한다.에티오피아의 인구는 약 1억 명이지만 휴대전화의 이용자수는 37%에 불과하다. 통신사업자 또한 'Ethio Telecom' 1곳뿐이다. 하지만 현재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협상중이기 때문에 향후 통신시장이 개방될 전망이다.이미 비에텔은 아프리카의 ▲모잠비크 ▲카메룬 ▲부룬디 ▲탄자니아 등 4개국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에서 5번째로 진출하는 나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비에텔(Viettel)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