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가공공장"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오스트레일리아 육류가공기업 APAC(Asia Pacific Agri-corp)에 따르면 국내에서 최초로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해 운영하는 도축 및 육류가공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APAC는 A$ 3억800만 달러를 투자하는 공장은 퀸즐랜드(Queensland)주 글래드스턴(Gladstone) 근교에 위치할 예정이다. 운영을 개시하게 되면 도축 및 육류가공 공장은 1일 최대 2400마리의 소를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340헥타르의 신재생에너지 태양광단지는 도축 및 육류가공 공장 옆에 건설될 계획이다. 퀸즐랜드 주정부는 APAC의 건설 프로젝트를 승인했다.프로젝트는 308개의 건설일자리, 335개의 도축 관련 일자리가 각각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래드스턴 지역 내에 도축 관련 작업자, 물류운반자 등 일자리를 많이 제공할 것으로 분석된다.건설은 2019년 5월 시작될 예정이며 도축 및 육류가공공장 운영은 2021년부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오스트레일리아 축산물은 청정이미지를 기반으로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한 육류가공공장 조감도 (출처 : APAC 홈페이지)
-
2017-06-29일본 JFE스틸(JFEスチール)에 따르면 2017년 6월 멕시코에서 미국 철강업체인 뉴코어와 함께 자동차용 강판가공 공장의 착공을 개시했다.멕시코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주의정책을 배경으로 투자위축이 우려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시장에서의 경쟁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멕시코에서 체제 정비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한 것이다.투자액은 290억엔으로 2019년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공장 건설 예정지는 자동차업체의 공장이 집적한 멕시코 과나후아토주이다. 경량으로 높은 강도를 가진 자동차용 고장력 자동차 강판(하이텐) 등을 가공할 계획이다.▲JFE스틸(JFEスチール)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지방자치단체 Katsina주에 따르면 Kokami Village에 토마토 페이스트 가공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해당 공장은 국립화학기술연구소(NARICT)이 5억 나이라의 공사금액을 받고 짓고 있다.주는 이미 계약금의 70%를 NARICT에 지급했으며 70% 완공됐다. 가공기계는 곧 공장에 설치된다. Katsina주 농부들은 건기와 우기 동안에 다량의 토마토를 생산했지만 그동안 저장시설의 부족으로 피해가 막심했다.따라서 이번 가공공장 건설으로 인해 농부들은 더 이상 수확 후 피해를 입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식량안보를 확보하고 농민들의 소득증대를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국립화학기술연구소(NARICT) 로고
-
뉴질랜드 최대 육류기업인 Silver Fern Farms(SFF)의 자료에 따르면 2개의 가공공장을 폐쇄할 경우 110명이 해고될 것으로 전망된다.남섬의 모스번의 경우 43명이 해고될 처지에 있는데 회사는 1명도 해고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언하고 있다. 2개의 공장을 폐쇄함으로써 다른 공장의 가동기간을 늘릴 수 있다고 판단했다.
-
▲ 필리핀 패스트푸드업체 졸리비(Jollibee) 로고필리핀 패스트푸드업체 졸리비(Jollibee)는 미국 식품 대기업 카길과 합작한 바탕가스주 산토토마스 닭고기 가공공장의 오픈을 발표했다.출자비율은 카길이 70%, 졸리비가 30%이며 졸리비의 출자금액은 약 2억6000만페소다. 졸리비는 1978년 설립된 햄버거 전문체인점으로 전세계에 3000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
베트남 유제품회사인 비나밀크(Vinamilk)의 자료에 따르면 내년에 연간매출액 $US 30억달러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최근에 2300만달러를 투자해 캄보디아의 앙코르에 유제품 가공공장을 설립했다. 이 공장은 연간 19000만리터의 생수, 6400만병의 요거트, 8000만박스의 우유를 생산한다.하지만 20214년까지인 2단계에서는 생산용량이 급격하게 늘어날 계획이다. 연간 우유는 3800만리터, 요거트는 1억9200만병을 생산해 캄보디아 국민 전체를 상대로 마케팅을 전개할 예정이다.
-
기계제조업체 스미토모상사(住友商事), 2016년 미국 화물열차제조업체인 그린브라이어그룹과 제휴해 철도부품 가공공장 건설 계획...멕시코 자동차의 생산 확대로 화물이동량 증가해 철도부품 보수 수요가 증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