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5
" AS"으로 검색하여,
1,44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년 9월09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고용주가 경기 전망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직장인의 급여 인상이나 합의가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프랑스 인공지능(AI) 업체는 대규모 펀딩을 통해 미국 선도기업과 경쟁할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유럽 제조업체들의 관심과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아일랜드 국내 벤처투자가들은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경기 침체가 전망되며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은 아직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프랑스 스타트업인 미스트랄 AI(Mistral AI)◇ 영국 인컴스데이터리서치(Incomes Data Research), 2025년 7월 기준 3개월 동안 직장인의 평균 급여 합의율 3.0%로 하락영국 독립 여론조사기관인 인컴스데이터리서치(Incomes Data Research)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3개월 동안 직장인의 평균 급여 합의율이 3.0%로 하락했다.6월 기준 3개월 동안 평균 급여 합의율인 3.4%보다 낮았다. 7월 기준 수치는 2021년 12월 이후 최저치다. 단지 고용주의 9%만이 급여를 4% 이상 올려줬는데 6월 39%에 비해 대폭 침체됐다.중앙은행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7월 기준 3개월 동안 급여 인상율은 4.7%로 드러났다. 연말까지 3.6% 인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중앙은행은 2025년 9월 인플레이션이 4%에 도달하고 급여인상율은 목표 인플레이션인 2%를 상쇄하기 위해 3%는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프랑스 미스트랄 AI(Mistral AI ), 2025년 9월9일 3차 펀딩 라운드에서 €17억 유로 유치프랑스 스타트업인 미스트랄 AI(Mistral AI)는 2025년 9월9일 3차 펀딩 라운드에서 €17억 유로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3차 라운드 이후 기업가치는 117억 달러로 평가받았다.2024년 6월 평가한 기업가치는 58억 달러에 불과했지만
-
2025년 9월0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정부는 철도 탑승용 티켓을 추적할 수 있도록 위성항법시스템(GPS)을 적용할 방침이다. 승객이 하차하는 역을 인식해 자동으로 요금이 부과된다프랑스는 국내에서 허용되지 않는 항생물질이 포함된 우크라이나산 계란의 판매를 중단했다. 이들 계란은 슬로아바키아와 폴란드를 경유해 수입됐다.아일랜드 저가항공사는 2025년 11월3일부터 모바일 앱을 통한 디지털 탑승권만 허용할 방침이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대부분이라 큰 불편은 초래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프랑스 계란산업협회(CNPO) 로고◇ 영국 정부, 2025년 9월1일부터 철도 탑승용 종이와 모바일 티겟을 위성항법시스템(GPS)으로 추적이 가능한 시스템 교체영국 정부는 2025년 9월1일부터 철도 탑승용 종이와 모바일 티겟을 위성항법시스템(GPS)으로 추적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잉글랜드 전역에 적용되며 탑승자가 여행하고자 하는 장소까지 이동하면 GPS로 위치를 파악해 요금을 부과한다. 이스트 미들랜드 철도(East Midlands Railway)가 처음으로 도입할 계획이다.최대 4000명을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며 지금까지 500명이 신청했다. 현재 유사한 시스템이 스위스, 덴마크, 스코틀랜드 등에서 도입 중이다.◇ 프랑스 계란산업협회(CNPO), 노르망디주 루앙에 판매되는 우크라이나산 계란이 유럽품질 기준에 적합하지 않아프랑스 계란산업협회(CNPO)에 따르면 노르망디주 루앙에 판매되는 우크라이나산 계란이 유럽품질 기준에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드러났다. 약 30만 개의 계란이 판매대에서 치워졌다.프랑스에서 허용되지 않은 항생제 성분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농업부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식량주권은 국내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고 밝혔다.정부는 지난 2개월 동안 슬로아바키아와 폴란드로부터 수출된 우크라이나산 계란에 대해 검역을 강화했다. 프랑스는 닭의 사육장에 대한
-
2025-09-08▲ 제1회 KIAST 미래항공모빌리티 포럼에서 참석자들에게 인사말을 전하고 있는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장 [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원장 황호원)에 따르면 2025년 8월26일(화)과 9월2일(화) 국립항공박물관 대강당(서울 강서구)에서 ‘제1회 KIAST 미래항공모빌리티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이번 포럼은 드론 산업의 핵심 경쟁력을 좌우하는 부품 기술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국산화 및 산업 협력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행사에는 국방부, 지자체, 드론 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모터·배터리·통신장비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 주요 기업들이 발표자로 나서 기술 현황과 전망을 공유했다.1일 차(8.26.)에는 모터 분야 3개 사(스타맨, KRM, 남양넥스모)와 부품사(볼로랜드)가 참여해 고출력·고효율 모터 기술과 생산 역량, FC·ESC·GPS 등 핵심 부품 기술을 소개했다. 참고로 FC는 Flight Contloller, ESC는 Electronic Speed Controller의 약어다.▲ 발표를 진행하고 있는 포럼 참여 업체 [출처=항공안전기술원]또한 해외 수출 현황과 국산화 수요, 산업 연계성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며, 드론 모터의 미래 활용 가능성이 논의됐다.2일 차(9.2.)에는 배터리 전문기업(비이아이, LG에너지솔루션)과 통신장비 기업(스마티)이 발표를 맡아 배터리 셀 단가 및 생산 과정, 표준화 논의, 통신 안정성 확보 방안 등 현안을 다루며 드론 산업의 안정적 성장 기반 마련에 필요한 요소를 제시했다.참가자들은 각 부품의 적용 가능성과 공급 여건을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표준화·공동 개발 등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활발한 논의를 이어갔다.특히 배터리와 모터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협력 모델도 제안됐다.이번 포럼은 단순한 기술 발표를 넘어 드론 산업 생태계 전반을 강화하고
-
2025년 9월04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브라질 마투그로수농업경제연구소(IMEA)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 미국 코노코필립스(ConocoPhillips), 전체 직원의 최대 25%인 2600~3250명을 해고할 계획미국 석유업체인 코노코필립스(ConocoPhillips)는 전체 직원의 최대 25%인 2600~3250명을 해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이다.현재 고용하고 있는 직원의 숫자는 약 1만3000명이다. 최근에는 기존 마라톤오일(Marathon Oil)의 자산을 US$ 13억 달러에 매각했다.2025년 8월 2분기 수입이 19억7000만 달러라고 발표했다.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치를 뛰어넘는 수치였지만 전년 동기 23억3000만 달러와 비교하면 한참 낮았다.◇ 캐나다 온타리오간호사협회(Ontario Nurses' Association),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급여 5.25% 인상캐나다 온타리오간호사협회(Ontario Nurses' Association)에 따르면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급여가 5.25% 인상됐다. 현재 6만 명의 간호사가 근무하고 있다.급여가 올랐지만 현장에 근무하는 직원이 부족한 상황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병원 경영자들은 간호사협회의 직원 비율은 엄격하고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중재자는 간호사협회와 병원 경영자의 주장에 대해 간호사들이 주장하는 인력 구성과 적정 수준의 직원을 결정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브라질 마투그로수농업경제연구소(IMEA), 2025/26년 마투그로수 주의 콩 수확량은 4855만 톤(t)으로 전년 대비 4.79% 감소브라질 마투그로수농업경제연구소(IMEA)는 2025/26년 마투그로수 주의 콩 수확량은 4855만 톤(t)으로 전년 대비 4.79%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콩에 대한 수요가 4761만t으로 전년 대비 4.07% 하락했으며 수출 물량은 2983만t으로 전년 대비 62.65% 축소됐다. 국내의 바이
-
2025-09-03▲ 현대자동차가 전용 EV 브랜드 ‘아이오닉’의 첫 소형 콘셉트카 공개 예고 [출처=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9월2일(화) 소형 전기자동차(EV) 콘셉트카 ‘Concept THREE(이하 콘셉트 쓰리)’의 티저 이미지를 공개했다.티저 이미지는 현대차가 소형 EV를 새롭게 해석해 디자인한 ‘에어로 해치(Aero Hatch)’ 형상의 측면부로 콘셉트 쓰리의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엿볼 수 있다.콘셉트 쓰리는 현대차의 신규 외장 디자인 언어 ‘아트 오브 스틸(Art of Steel)’이 반영돼 대담하면서도 역동적인 자세를 갖췄다. 강철 소재 특유의 강인함·유연함을 담아낸 차체 표면과 정밀하게 그려진 캐릭터 라인이 돋보인다.현대차는 2025년 9월9일(화)부터 14일(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규모의 모빌리티쇼 ‘IAA 모빌리티 2025’에 4년 만에 참가해 콘셉트 쓰리를 세계 최초로 공개할 예정이다.9월9일(화) 전 세계 미디어를 대상으로 콘셉트 쓰리를 소개하고 이어지는 IAA 모빌리티 2025 기간 동안 ‘오픈 스페이스’에서 방문객들에게 콘셉트 쓰리의 세부 디자인을 알릴 계획이다.현대디자인센터장 사이먼 로스비(Simon Loasby) 전무는 “콘셉트 쓰리는 현대차가 소형 EV의 디자인을 재정의 할 수 있는 기회다. 에어로 해치라는 새로운 유형을 통해 흐름이 느껴지는 외관과 균형 잡힌 조형을 완성했다”고 말했다.또한 콘셉트 쓰리의 외장 디자인을 담당한 현대유럽디자인센터 마누엘 슈틀(Manuel Schoettle) 디자이너는 “강철 소재의 감성을 자연스럽게 녹여낸 콘셉트 쓰리의 순수한 디자인이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우리나라 공군은 2021년 '우주센터'를 신설해 우주군을 도약하겠다는 야심찬 구상을 공개했다. 2023년 국방백서에 전략사령부가 우주 관련 부대를 지휘통제한다고 명시했으며 2030년 우주군사령부를 창설할 계획이다.세계 최고 우주항공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은 2019년 공군부 예하에 우주군을 만들었다. 러시아는 2001년 우주항공방위군을 설립해 군사용 우주선 발사를 전담하도록 했다. 2015년 우주항공방위군은 공군 예하부대로 재편돼 항공우주군으로 개명했다.우주굴기를 내세우는 중국은 2016년 인민해방군 전략지원부대를 창설해 우주군과 사이버군의 임무를 부여했다. 2024년 4월 전략지원부대를 폐지하고 군사창천부대로 우주군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명령했다.20세기까지는 미국의 항공우주국(NASA)이 월등한 기술력으로 우주개발을 주도했지만 21세기 들어 중국이 막강한 경제력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중국은 유인우주선인 선저우(神舟)와 우주정거장 텐궁(天宫)을 중심으로 미국과 경쟁 중이다.우주항공 시대의 도전과제를 이행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우주항공 국방소재용 BNNT 기반 초고내열/중성자 차폐 복합소재 개발'을 알아보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의 임무 소개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안보⸱재난안전기술단은 2010년 설립됐다. 국방 연구개발 제도개선, 국방 연구개발 과제화/연구지원, 군에 과학기술 지원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더불어 안보⸱재난안전기술단 소속 미래국방국가기술전략센터는 2022년 만들어졌다. '국방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 투자전략 싱크탱크'로 비전을 설정했다.주요 임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방 연구개발(R&D) 투자정책 수립 지원 △국방적용 가능 민간R&D 역량 발굴-과제기획 △국방R&D 민관군 협력기반 마련 등이다.이번에 소개할 기술은 KIST의 복합소재기술연구소 기능성복합소재센터 장세규 책임연구원 (segyu.jang@kist.re.kr)이 수행한
-
2025-08-29▲ KINS-RMAS, 2025년도 SMR 규제연구 성과 교류 워크숍 개최 [출처=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원장 임승철, 이하 KINS)에 따르면 2025년 8월28일(목)부터 29일(금)까지 충남 대천 한화리조트 대천파로스에서 2025년 소형모듈원자로규제연구추진단(단장 김인구, 이하 RMAS)과 함께 「2025년도 SMR 규제연구 성과 교류 워크숍」을 개최한다.이번 워크숍은 SMR 안전규제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공유하고 KINS 규제 실무자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연구성과의 규제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이번 워크숍에는 KINS, RMAS, 원자력안전위원회를 비롯해 한국원자력연구원, 대학 등 60여 개 연구수행 기관에서 200여 명이 참석했다.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워크숍 개최를 축하하며 정부 차원의 선진원자로에 대한 규제 대응 현황과 방향에 대해서 설명했다. KINS는 i-SMR 사전설계검토 추진 현황을 공유했다.첫째날인 8월28일(목)에는 안전해석‧계통 분야, 중대사고‧리스크평가 분야, 계측제어 분야, 둘째날인 8월29일(금)에는 기계재료, 구조해석 분야 등 5개 분야 총 18개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아울러 혁신형SMR기술개발사업단, 한국수력원자력 등 SMR 개발 및 건설‧운영 관련 기관과 기업도 참석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SMR 안전성 확보를 위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KINS 허병길 혁신기술평가단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성과와 경험이 공유되어 SMR 안전규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토대가 마련되기를 바란다”며 “연구결과들이 KINS의 심사지침서 개발과 향후 심사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1970년 국립가족계획연구소로 개소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KIHASA)은 인문-사회분야 국책연구기관이다. 국민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해 인구·사회·경제 상황을 조사하고 연구·분석해 국민의 건강과 복지를 증진하는 것을 설립 목적으로 한다. 사회정책 및 사회보장제도를 수립·지원함으로써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로 발전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주요 기능은 △보건의료·국민연금·의료보험·사회복지·인구 및 사회문제에 관한 제도 평가 및 정책개발 △보건의료·사회복지 분야의 정책수립 및 개발을 위한 국가 기초통계자료의 생산 △보건의료·사회복지 분야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등이다. KIHASA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IHASA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ESG 경영 선언문이나 경영헌장, ESG추진위원회 등 ESG 경영과 관련된 어떤 대외활동도 전개하지 않았다. 인권헌장은 제정했지만 윤리경영과 관련된 윤리헌장·윤리강령·행동규범·임직원 실천강령 등은 마련하지 않았다. 2021년 주무부처인 국무조정실 종합감사에서 지적을 받은 사항은 11건에 달했다. 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재택근무 운영 부적정 △위탁연구용역 결과물 관리 부적정 △위탁연구용역 계약 준공금 대가지급 지연 △위탁연구용역 검사 지연 등으로 나타났다. 2021년 3월31일 기준 5년간 징계 건수는 △2017년 1건 △2019년 1건 △2020년 4건 등 6건으로 집계됐다. 징계 사유는 △연구윤리
-
▲ HD현대, 한미 조선산업 투자 프로그램 조성 [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2025년 8월25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DC 윌라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관하에 열린 한미 제조업 파트너십 MOU 체결식에 참석해 서버러스 캐피탈(Cerberus Capital), 한국산업은행과 함께 ‘한미 조선산업 공동 투자 프로그램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이날 행사에는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프랭크 브루노(Frank Bruno) 서버러스 캐피탈 최고경영자, 김복규 한국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이 참석했다.이 투자 프로그램은 미국 조선업, 해양 물류 인프라, 첨단 해양 기술을 포함해 미국과 동맹국의 해양 역량을 재건·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주요 투자 분야는 △미국 조선소 인수 및 현대화 △공급망 강화를 위한 기자재 업체 투자 △자율 운항·AI 등 첨단 조선 기술 개발 등이다.HD현대가 미국 조선산업 재건을 위한 수십억 달러 규모 투자 프로그램을 조성한다. ‘마스가(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MASGA)’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첫 이정표다.HD현대는 앵커(anchor) 투자자이자 기술자문사로서 참여해 투자 프로그램의 성공적 운용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특히 조선·해양 분야에서 축적한 산업 전문성을 바탕으로 투자 대상의 기술적 타당성과 경쟁력, 성장 가능성을 검토해 투자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서버러스 캐피탈은 투자 프로그램의 운용사로 투자 전략 수립과 관리 전반을 책임진다. 한국산업은행은 한국 투자자의 참여 구조를 설계하고 모집을 지원하는 등 투자 프로그램의 성공적 운용을 도울 예정이다.이번 양해각서 체결은 한·미 정상회담 이후 조선산업을 매개로 한 양국의 협력 체제가 실질적인 실행으로 이
-
2025-08-11▲ 현대제철, 호주 철강지속가능성 인증 획득 [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철강협회(ASI)로부터 호주 철강지속가능성(Steel Sustainability Australia, 이하 SSA) 인증을 획득했다.오스트레일리아철강협회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과 지속가능한 철강 산업 육성을 위해 2023년 1월부터 SSA 인증 제도를 도입했다.철강 제조 및 판매에서 환경적 영향 등을 평가해 지속가능한 철강 생산 및 유통, 공급을 할 수 있는 회사에 이 자격을 부여한다.현대제철은 국내 철강사 중 최초로 국내 전 사업장(당진제철소, 인천공장, 포항 공장, 순천공장)이 SSA 인증을 취득했다.SSA 인증 획득은 환경을 중시하는 오스트레일리아 건설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건축 환경개선을 위해 친환경 건물 인증 제도인 그린스타(Green star)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SSA 인증을 받은 철강제품을 사용한다면 그린스타에서 가점을 받을 수 있다.SSA 인증 취득을 위해서는 국제기준(ISO14067 또는 EN15804)이 적용된 여러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탄소중립 로드맵 선언 및 이행, 공급망 ESG 정책·윤리 규범 제시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현대제철은 이미 ISO14001에 기반한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해오고 있다. 2023년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해 이행하고 있다.또한 생산 제품과 관련한 다양한 친환경 자료를 제출하는 등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노력을 인정받아 SSA 인증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현대제철은 SSA 인증 획득을 포함해 호주 고객사의 요구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오스트레일리아 시장에서 판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한편 현대제철은 지난 4월 세계철강협회 정기총회에서 최우수 멤버인 '2025 지속가능성 챔피언'으로 인정받는 등 글로벌 지속가능성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고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