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100대"으로 검색하여,
2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8▲ KT&G, 렉시스넥시스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 3년 연속 선정[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2025년 4월4일(금) 글로벌 지식재산권(IP) 솔루션 기업인 ‘렉시스넥시스(Lexis Nexis)’가 꼽은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에 3년 연속(’23~’25년) 선정됐다.렉시스넥시스는 1600만 개의 글로벌 특허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정보기술(IT)·전자·자동차·소비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매년 글로벌 혁신기업 100곳을 선정해 발표한다.KT&G는 전자담배 기술혁신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국내 소비재기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100대 혁신기업에 이름을 올렸다.특히 체계적인 지식재산권 관리를 통해 NGP(Next Generation Products)사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한 점을 인정받았다.KT&G는 2024년도에만 총 2977건의 지식재산권을 출원했으며 2024년 기준 총 누적 지식재산권은 1만4400여 건이다. 이 중 해외 지식재산권은 1만1000여 건에 달하는 등 회사는 지식재산권(IP) 경쟁력에 기반한 기술혁신에 주력했다.KT&G는 지식재산권 경쟁력을 바탕으로 독자혁신 기술이 적용된 전자담배 디바이스 ‘릴(lil)’과 전용 스틱을 통해 국내외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실제 2024년 NGP 전용 스틱 국내 점유율은 46퍼센트(%)를 기록해 시장 선두를 유지했으며 해외에서는 PMI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전 세계 34개국에 전자담배 ‘릴’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 NGP사업의 매출과 영업이익, 판매량은 전년 대비 ‘트리플 성장’을 달성했다.2024년 KT&G만의 하이테크 기술을 적용해 출시한 ‘릴 에이블 2.0’도 소비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릴 에이블 2.0은 ‘리얼, 그래뉼라, 베이퍼’ 총 3가지 카테고리의 스틱을 디바이스 하나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과 ‘밸런스 모드’, ‘클래식 모드’ 총 두가지 흡연 모드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또한 일시정지, 고속충전 등의 기능도 탑재해 세분화된 소비자들의 취향을 충족시키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KT&G 관계자는 “차세대 담배 시장의 성장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체계적인 IP 관리를 통해 확보한 독자기술로 고객맞춤형 NGP제품을 지속 개발 및 출시해왔다”며 “향후에도 NGP사업 전반에 걸친 혁신을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제품을 선보여 시장리더십을 확고히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
2025-03-26▲ HD현대인프라코어가 에티오피아에서 수주한 36톤급 대형굴착기[출처=HD현대인프라코어]HD현대인프라코어(대표이사 조영철, 오승현)에 따르면 최근 에티오피아 광산개발 업체 2곳과 총 100대 규모의 대형굴착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HD현대인프라코어가 에티오피아에서 대규모 굴착기 수주에 성공하며 아프리카 시장에서 지위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이번에 수주한 굴착기는 36톤(t)급 크롤러형 대형굴착기로 2024년 에티오피아에서만 212대의 판매량을 기록한 현지 인기 모델이다. 위 제품은 2025년 6월까지 순차적으로 고객에게 공급될 예정이다.HD현대인프라코어는 일본, 중국 제품들과 치열한 경쟁에도 디벨론의 우수한 품질과 신속한 서비스 대응력을 통해 2024년 에티오피아 시장 점유율 57퍼센트(%)를 기록하며 1위를 유지했다.HD현대인프라코어는 중동에 이어 에티오피아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지역까지 영업력을 확대해 신흥시장 판매를 강화하고 있다.현재 에티오피아 정부는 자국 내 매장된 코발트·리튬 등의 자원을 활용한 광물 산업의 육성을 본격화하고 있다. 수도 아디스아바바 인근에서는 연간 1억1000만 명이 이용할 아프리카 최대 규모의 공항 건설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등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건설기계 수요가 지속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아프리카 내 굴착기 및 중대형 휠로더 판매량이 2023년 1만3500대 규모에서 34.8% 증가한 2024년 1만8200대를 기록하는 등 성장세가 전망된다.
-
▲ 윤석열정부 120대 국정과제[출처=대한민국정부]지금으로부터 120년 전인 1905년 2월22일 일본은 독도를 병합해 다케시마(竹島)로 명명했으며 같은해 11월17일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제로 빼앗은 날이기도 하다. 1919년 4월11일 상해 임시정부가 수립된 이후 106년의 세월이 흘렀다.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대한민국이 일본 제국주의 멸망으로 나라를 되찾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자 향후 대한민국 100년을 책임질 운명의 기로에 서 있다. 2024 12·3 내란으로 인해 대한민국은 백척간두에 서 있다.경제발전이라는 미명하에 인간의 존엄성과 윤리의식이 약해지고, 사리사욕에 눈이 멀고 국가와 기업, 개인 모두 정당성과 정의가 사라지고 있다.이러한 세태속에 엠아이앤뉴스(대표 최치환)는 국가정보전략연구소(소장 민진규, 이하 국정연)와 협력해 다양한 특집과 기획을 통해 국가와 기업, 국민의 발전뿐 아니라 의식을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코자 한다.2025년에는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를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평가모델(ARMOR)를 적용해 정치(행정), 경제(산업), 사회(복지), 문화(교육), 과학(기술) 등의 분야로 평가할 예정이다.또한 향후 100년을 준비하기 위해 국정연의 평가모델을 가지고 차기 정부가 집중해야 될 국정과제를 제안해 볼 계획이다.▲ 부산시 해운대갑 평가결과[출처=iNIS]아울러 22대 국회의원 공약 평가 및 2026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지방자치단체장 및 광역자치단체장의 공약을 이어서 평가해 나간다.▲ 2026년 9회 지방선거 평가 대상 자역[출처=iNIS]뿐만아니라 국정연이 개발한 ESG 평가 모델을 바탕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영국 BSI가 주도로 개발하고 있는 ESG 표준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연구소 연구원이 참여해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를 평가하고, 공기업의 ESG 경영 평가, 상장기업의 ESG 평가를 매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공기업 ESG 평가 결과 샘플[출처=iNIS]▲ 상장기업 ESG 평가 샘플[출처=iNIS]금융권뿐 아니라 정부와 공기업, 기업에서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내부통제 및 내부 감사에 대해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견해에 따라 국정연이 개발한 내부통제시스템 모델을 가지고 평가를 이어나간다.▲ 국가정보전략연구소 내부통제시스템[출처=iNIS]2012년 국정연이 개발한 기업문화 분석 모델, SWEAT 모델을 가지고 국내 100대 기업을 평가한 이력을 가지고 2025년에는 국내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벤처기업, IT기업, 공기업 등 다양한 기업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업문화 분석 샘플-아모레퍼시픽의 지속가능경영 추진전략[출처=지속가능경영보고서]광복 80주년을 맞아 100년 기업을 꿈꾸는 기업 중 2~3세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을 일으킨 차남들' 이란 주제로 기획 기사를 게제하고 있다.▲ 가문을 일으킨 차남들 삼성그룹 평가 내용[출처=iNIS]'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 농사는 천하의 큰 근본이며 나라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힘이라는 의미다.▲ 농협대개혁 시리즈-농협중앙회 강호동 회장 100대 공약 분석[출처=iNIS]농촌과 농민 없이는 국가의 근본이 흔들린다는 이념아래 농민들이 주인이지만 주인행세를 하지 못하는 농협에 대해 '농협 대개혁'이라는 주제로 실상을 파해쳐 보려한다.1930년대 미국에서 적극 도입된 ‘죽음의 상인’이라는 용어는 무기 관련 기업에 적용되다가 주류, 담배, 도박 등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들 상품은 소비자의 건강, 사회 혼란, 범죄 유발 등을 초래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죽음의 상인들 평가 샘플(KT&G 평가 결과)[출처=iNIS]사회적 인식과 달리 개별 기업은 오랜 기간 사업을 영위하며 제품의 정당성, 합리성, 윤리성 등 판단 기준을 자체적으로 정립했을 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존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죽음의 상인'이라는 기획기사를 준비했다.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 전문위원을 위촉해 도시계획 진단, 에너지 안보, 차세대 통신, 재난 없는 국가, 세무이야기, 항노화를 넘어 역노화로 등 기획 및 심층 기사를 지속적으로 게제할 계획이다.12·3 비상계엄령 이후 사회 혼란이 지속되며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독자 여러분이 2025년 엠아이앤뉴스의 끈임없는 행보를 응원해 주길 바란다.
-
농협중앙회는 직선제로 회장을 선출한다고 홍보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보면 간선제라고 봐야 한다. 농협중앙회가 지역농협의 연합체이기는 하지만 중앙회장은 조합장이 아니라 조합원이 직접 선출하는 갓이 바람직하다.그럼에도 조합장이 간접 선출하며 직선제라고 홍보한다. 중앙회장이 조합원의 이익이 아니라 조합장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농협중앙회 자체의 정체성이 명확하지 않음에도 막강한 권한을 보유하고 중앙회장의 선출 과정이 투명하지 않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25대 강호동 회장의 선거공약을 분석할 필요성을 느낀 이유다.◇ 경제 공약 43.3% vs 사회·과학기술 공약 15.7%... 성장기반 구축할 과학기술 공약 부족해2024년 1월25일 당선된 강호동 회장은 100대 공약이라고 홍보했지만 실제 공약은 127개에 달한다. 국회의원의 선거공약보다 광범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봤다.▲ 한국 농협중앙회 강호동 회장의 100대 공약을 오곡밸리혁신(5G Valley Innvation) 모델로 평가한 결과 [출처=iNIS]공약은 정치(행정)(48)·경제(산업)(55)·사회(복지)(12)·문화(교육)(4)·과학(기술)(8) 등으로 구성됐다. 경제(산업) 공약이 전체의 43.3%를 차지했으며 △정치(행정) 공약 23.81% △사회(복지) 공약 9.4% △과학(기술) 공약 6.3% △문화(교육) 공약 3.2%를 기록했다. 강호동 회장의 요소별 주요 공약은 다음과 같다.정치(행정) 공약은 △가격손실보장제(PLC) 등에 농협 의견 적극 반영 △가락시장 내 민간청과법인 인수로 농산물 수취가격 인상 △중앙회와 농민신문사의 축산 이사 정원을 각각 1명씩 증원 △'정관장'을 뛰어넘는 강력한 농협 브랜드 개발 및 브랜드 통합 운영 △혈연, 지연, 학연, 외부청탁 등에 의한 불합리한 인사 배제 △정부와 MOU체결로 '외국인 농업근로자 제도' 발전방안 마련 △ESG 경영체계 정립, 사회공헌 강화 등 48개다.경제(산업) 공약은 △무이자자금 20조 원 조성, 농축협당 200억~500억 원 지속 지원 △주요 농자재 국산화, OEM 생산, PB 확대로 공급가격 인하 △‘국산 농산물 프랜차이즈'와 '농협 브랜드 쌀 전통주' 사업 진출 △중앙회와 공동투자로 외식 프랜차이즈, 편의점, 도시락, 농식품 구독경제, 공유주방, HMR, 배달앱 등 신규사업 개발 △AI, STO, 전자지갑 등의 신디지털금융시장 선도 플랜 실현 △글로벌 투자전략 재수립으로 농협금융 수익원 다각화 등 55개에 달한다.사회(복지) 공약은 △농축협의 농업인 복지시설 지원 확대로 사각지대 해소 △조합원을 위한 치매요양병원 설립 추진 및 치매보험료 지원 △고향사랑기부제 민간 플랫폼 운영과 세제혜택 확대 등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추진 △조합원을 위한 치매요양병원 설립 추진 및치매보험료 지원 등 12개에 불과하다.문화(교육) 공약은 △반려동물 사료, 용품, 미용, 케어 등 '토털 펫사업' 진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컨설팅으로 농축협 경쟁력과 전문성 강화 등으로 4개로 가장 적었다.과학(기술) 공약은 △소형 시설하우스를 위한 '보급형 스마트팜' 개발 지원 △종자산업 R&D 확대로 원예작물 국산종자 보급률 제고 △식품 연구소 신설 및 연구인력 양성 △빅데이터, ICT 기반 '관측 및 수급관리 시스템' 구축 △소비자 변화에 맞춘 고소득 작물 개발과 '시설·농자재·기술·인력' 토털 지원 △자율주행, AI, 빅데이터 등 스마트농업 인프라 확보 및 컨설팅, 자금지원 확대 등 8개로 많지 않았다.◇ 달성가능성 등 5개 영역 모두 하(下)로 평가... 포퓰리즘 공약이 다수라 추진 의지 의심돼강호동 회장의 공약을 국정연이 개발한 갑옷(ARMOR), 즉 달성 가능성(Achievable)·적절성(Relevant)·측정 가능성(Measurable)·운영성(Operational)·합리성(Rational) 지표를 적용해 평가했다. 간략한 내역과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농협중앙회 강호동 회장의 100대 공약을 오곡밸리혁신(5G Valley Innvation)-공약평가(ARMOR) 모델로 평가한 결과 [출처=iNIS]달성 가능성은 주요 농자재 국산화, OEM 생산, PB 확대로 공급가격 인하, 쌀 가공제품 개발과 기능성(당뇨, 고혈압 개선) 홍보로 소비 촉진, ‘정관장'을 뛰어넘는 강력한 농협 브랜드 개발 및 브랜드 통합 운영, 자율주행, AI, 빅데이터 등 스마트농업 인프라 확보 및 컨설팅, 자금지원 확대, NH Pay 범용성 확장, 생활·여행·투자·통신 등 고객중심 종합금융 'Full Banking' 슈퍼플랫폼을 분석했다.농자재 국산화는 저렴한 수입산과 비교해 가격경쟁력 떨어지고 공급 가격이 인하되는 것이 아니라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이나 자체브랜드(PB) 확대도 구체적이지 않으면 실현 가능성이 낮다.쌀 소비 촉진은 정부의 오랜 숙원이며 가공제품 개발에도 쌀 소비는 축소 중이다. 당뇨와 고혈압 개선과 같은 기능성에 대한 홍보로 소비가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고 봐야 한다.인삼의 정관장 대비 경쟁력 확보는 인삼 소비가 줄어들고 인삼조합의 혁신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한국인삼공사의 정관장을 능가할 브랜드를 개발하기 쉽지 않다. 우리나라 국가 수준의 브랜드 인지를 가진 정관장조차도 해외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낮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스마트농업 인프라 구축은 자율주행,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은 정부 차원에서도 기술 개발 수준이 낮아 스마트농업에 적용하려면 임기 내에는 불가능하다.NH Pay는 네이버, 카카오 등 민간 업체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하나은행, KB국민은행, SH신한은행, 우리은행 등도 막대한 자금을 투자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종합금융 슈퍼플랫폼도 현재로선 4년 이내에 완료하기가 쉽지 않다.적절성은 공약이 농협중앙회의 다양한 여건에 적합한지 평가하는 지표로 중앙회와 공동투자로 외식 프랜차이즈, 편의점, 도시락, 농식품 구독경제, 공유주방, HMR, 배달앱 등 신규사업 개발, 글로벌 투자전략 재수립으로 농협금융 수익원 다각화을 적용했다.다양한 신규 사업은 농협중앙회가 사업 방향과 일치하는지 의문이다. 외식 프랜차이즈, 편의점 등은 대기업이 치열하게 경쟁 중이며 민간 기업도 생존이 어려워 공조직이 뛰어들기 어려운 시장이다.글로벌 투자전략은 글로벌 경제 트렌드에 정통하고 해외에 대한 정보망을 구축해야 되며 부실 투자 가능성이 증대하게 된다. 국내에서 성장한 협동조합이 해외 투자에 실패한 사례가 매우 많다.2024년 5월 일본 노우린추오킨코(農林中央金庫)는 약 1조 엔 규모의 증자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채권을 포함한 손실이 크게 팽창해 2025년 3월기 최종 이익이 약 5000억 엔의 적자로 전망되었기 때문이다. 5612개애 달하는 협동조합으로 구성된 협동조합은행이다.측정 가능성은 공약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며 가격손실보장제(PLC) 등에 농협 의견 적극 반영,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컨설팅으로 농축협 경쟁력과 전문성 강화, 정부와 MOU 체결로 '외국인 농업근로자 제도' 발전방안 마련을 확인했다.농협 의견을 적극 반영하도록 하겠다는 공약은 '적극 반영됐다'는 것을 측정하기 어렵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정책을 결정하며 농협중앙회의 의견을 수렴하겠지만 얼마나 반영해줄지는 의문이다.농축협 경쟁력과 전문성 강화는 경쟁력을 비교할 대상에 대한 명확한 제시와 기준이 없으면 판단이 불가능하다. 뉴질랜드의 폰테라, 일본의 농업협동조합, 영국의 협동조합그룹(Co-op Group) 등이 경쟁자인지도 불명확하다.외국인 농업근로자제도의 발전방안 마련은 농협중앙회가 원하는 발전방안이 무엇인지 구체적이지 않으며 완료한 발전방향의 산출물보다 계획의 질(quality)이 더 중요하다. 형식적인 보고서는 큰 의미가 없다고 봐야 한다.운영성은 행정조직과 임직원이 공약을 실천할 역량과 조직체계를 구축·운영했는지 평가하는 지표로 '국산 농산물 프랜차이즈'와 '농협 브랜드 쌀 전통주' 사업 진출,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와 협업하여 생화를 활용한 패션소품, '브랜드 꽃' 신규수요 창출, 농축협의 농업인 복지시설 지원 확대로 사각지대 해소를 측정했다.쌀 전통주 사업의 진출은 주류 시장은 이미 민간 기업이 치열하게 경쟁 중이며 농협이 진입해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국순당, 안동소주 등이 전통주 시장의 강자이지만 소비자의 수요는 침체된 상황에서 고전하고 있어 중앙회 수준의 운영 능력으로 이들과 경쟁하기란 어렵다고 봐야 한다.생화의 수요 창출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화훼시장 자체가 크게 위축됐으며 브랜드 꽃에 대한 개념도 모호하고 협업할 세계적 명품 브랜드가 있을지 의문이다. 세계적 명품 브랜드를 판단할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복지시설 지원 확대는 농업인의 복지정책은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업무로 농협중앙회가 관여하기에 적절하지 않을 뿐더러 좋은 성과를 내기도 어렵다. 복지는 중앙정부도 운영역량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합리성은 공약이 조합원 자치를 실현하고 조합원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며 식품 연구소 신설 및 연구인력 양성, 반려동물 사료, 용품, 미용, 케어 등 '토털 펫사업' 진출, 중앙회와 농민신문사의 축산 이사 정원을 각각 1명씩 증원을 평가했다.식품연구소를 신설하고 연구인력을 양성하겠다는 공약은 농협중앙회 자체보다 정부기관 및 민간기업과 협업이 필요하다. 특히 민간기업은 K-푸드의 기치를 올릴 정도로 연구개발 역량이 높은 편이다.펫사업은 민간 기업이 치열하게 경쟁 중이라 진입에 애로가 있으며 이들 기업과 경쟁에서 살아남기도 어렵다. 민간이 잘 영위하고 있는 시장에 공조직이 뛰어 드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중앙회와 농민신문의 축산 이사 정원을 늘리는 것은 민간 전문가를 영입해 자문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농민신문은 민간 언론사와 경쟁하려면 축협 출신보다 언론사 경력자가 적합하다.밥그릇을 늘리거나 나눠먹기에 불과한 공약으로 농민신문의 미래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종합적으로 강호동 회장의 선거공약은 농협중앙회의 발전에 대한 고민은 충분히 반영한 것처럼 보이지만 달성가능성 등 5개 영역 모두 하(下)로 낙제점을 벗어나지 못했다.오랜 역사에도 농협중앙회가 조합원의 이익을 최우선하는 조직으로 성장하지 못한 것은 포퓰리즘적 선거 공약으로 당선된 수장들의 무능, 농림축산식품부와 같은 감독기관의 지나친 간섭, 조합원보다 임직원 이익을 우선하는 경영전략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ARMOR)=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선거공약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5G는 오곡(五穀·다섯 가지 곡식), 밸리(Valley)는 계곡을 의미한다. 문명은 ‘오곡백과’가 풍성한 계곡에서 탄생해 발전했기 때문에 국가·지자체가 번성하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았다.
-
▲ 인도 스파이스제트(SpiceJet), 2026년 말까지 항공기 100대 소유 목표 밝혀[출처=스파이스제트 인스타그램]2024년 9월23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방글라데시를 포함한다. 인도 스파이스제트는 투자적격 프로젝트(QIP)를 통해 얻은 자금으로 신형 항공기를 인수한다.방글라데시 일렉트로 마트는 새로운 복합 센터에서 중국 그리 일렉트릭, 콘카 브랜드와 자사의 하이코 브랜드의 제품을 판매한다.◇ 인도 스파이스제트(SpiceJet), 2026년 말까지 항공기 100대 소유 목표 밝혀인도 항공사 스파이스제트(SpiceJet)는 2026년 말까지 항공기 100대를 소유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보잉 737 MAX의 운항 중단과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이다.2024년 9월16일부터 9월18일까지 진행한 투자적격 프로젝트(QIP)를 통해 주식을 매각하며 Rs 300억 루피(약 US$ 3억6000만 달러)를 확보했다.이전 펀딩 라운드에서 확보한 Rs 73억 6000만 루피와 함께 항공기 인수 및 기술개발, 새로운 시장 진출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방글라데시 일렉트로 마트(EML), 현지 차토그램시에 복합 센터 개장방글라데시 가전제품 소매업체 일렉트로 마트(Electro Mart Limited, EML)가 차토그램(Chattogram)시에 복합 센터를 열었다. 제품 판매 및 전시, 고객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일렉트로 마트에 따르면 중국 그리 일렉트릭(Gree Electric)의 에어컨은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중국 콘카(Konka)의 제품 또한 유의미한 판매량을 보이며 자사 브랜드 하이코(Haiko)는 국내 전자 및 가전제품 시장에서 10%라는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개관 1달 동안 콘카의 냉장고와 발광다이오드(LED) 텔레비전, Gree 에어컨에 대한 할인 이벤트를 진행할 게획이다.
-
▲ 파키스탄 스타트업 PostEx 홍보 이미지[출처=PostEx 홈페이지]2024년 8월 4주차 파키스탄 경제는 현지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과 스즈키 자동차의 할인 프로모션을 포함한다.○ 파키스탄 스타트업 포스트엑스(PostEx)는 향후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 전역 온라인 판매업자들에게 금융 및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2024년 초 두바이에서 시범 사업을 진행했다.파키스탄 전자상거래는 전체 소매업 시장의 1.5%를 차지했으나 지난 12개월 간 최소 50%까지 성장했다. 포스트엑스는 2020년 설립돼 매출채권 팩토링 및 배달 서비스를 합친 하이브리드형 솔루션을 제공한다.또한 포스트엑스는 파키스탄의 온라인 거래의 95%가 착불로 이루어진다는 문제에 맞서 선불 서비스를 제공했다. 제품에 대한 소매가격만큼 선불금을 지불해야 한다.2022년 8월 파키스탄 물류업체 콜 쿠리에(Call Courier)의 인수를 통해 650개의 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확장했다.2023년 기준 포스트엑스의 연간 매출액은 2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현재 매월 400만 건 이상의 거래를 처리하고 있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파키스탄 스즈키 자동차(Pak Suzuki Motor Company, PSMC)은 파이잘 은행(Faysal Bank Limited, FBL)의 공동 자동차 파이낸싱에 따라 자사 차량의 고정 이자율을 17.75%로 결정했다.소비자는 PSMC의 자동차를 구매했을 때 최대 Rs 42만5000루피를 절약할 수 있다. 알토(Alto), 웨건 R(Wagon R), 스위프트(Swift), 컬투스(Cultus) 등의 모델을 대상으로 한다.스즈키 알토는 파키스탄 내에서도 가장 저렴한 자동차 중 하나임에도 660cc를 기준으로 1대당 가격은 Rs 230만 루피다.○ 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목록에 파키스탄 스타트업 두 곳이 선정됐다. 첫번째는 핀테크 기업 나야페이(NayaPay)로 소비자와 사업체 간 거래의 디지털화를 중점으로 한다.자사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자지갑, 가상 직불카드 및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업체 대상으로 POS 기기를 지원하기도 한다.두번째는 전자상거래를 운영하는 소매업체 딜카트(DealCart)다. 국내에서 확대된 중산층을 주요고객으로 삼아 과채류, 과자, 세제 등 필요한 물건을 온라인에서 주문할 수 있도록 한다. 소규모 잡화점이 딜카트에 물건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기반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나야페이는 제인 벤처캐피탈(Zayn Venture Capital), MSA 노보(MSA Novo), 그리고 그래프 벤처스(Graph Ventures)가 주도한 2022년 시드 펀딩에서 자금 1300만 달러를 조달했다.딜카트는 중동 기반 벤처캐피탈 쇼룩 파트너스(Shorooq Partners)와 영국 기반 스터전 캐피탈(Sturgeon Capital)이 공동으로 진행한 시드 펀딩 라운드에서 300만 달러를 모았다.양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소기업 및 스타트업 연례 랭킹 100위 안에 포함됐다. 정부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스타트업을 적극 육성 중이다.
-
2024-08-28▲ 파키스탄 핀테크 스타트업 나야페이(NayaPay)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선정[출처=나야페이 인스타그램]2024년 8월28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인도 이륜차 제조업체 바자즈 오토(Bajaj Auto)에 따르면 세계 최초 액화천연가스(CNG) 오토바이 프리덤 125(Freedom 125)에 이어 새로운 CNG 모델을 출시한다.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에 파키스탄 스타트업 나야페이(NayaPay)와 딜카트(DealCart)가 선정됐다.양사는 시드 펀딩에서 총 1600만 달러를 확보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소기업 및 스타트업 연례 랭킹 100위 안에 들었다.◇ 인도 바자즈 오토(Bajaj Auto), 전기 스쿠터 체탁 2901(Chetak 2901) 출시인도 이륜차 제조업체 바자즈 오토(Bajaj Auto)는 프리덤 125(Freedom 125)에 이어 새로운 액화천연가스(CNG) 오토바이를 출시할 계획이다.프리덤 125는 휘발유와 가스 2가지를 연료로 하는 세계 최초 CNG 오토바이다. 2024년 8월 동안 해당 모델 8000~9000대를 전달할 것으로 전망한다.2024년 8월28일 바자즈 오토는 전기 스쿠터 체탁 2901(Chetak 2901)을 출시했으며 가격은 Rs 9만5998루피로 기존 모델보다 저렴하다. 2025년 초에는 새로운 체탁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2024년 9월 안에는 에탄올로 움직이는 오토바이와 삼륜차를 선보인 후 회계연도 2025년 안에 판매될 수 있도록 한다.◇ 파키스탄 나야페이(NayaPay)·딜카트(DealCart), 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선정돼2024년 포브스 아시아 100대 유망기업 목록에 파키스탄 스타트업 두 곳이 선정됐다. 첫번째는 핀테크 기업 나야페이(NayaPay)로 소비자와 사업체 간 거래의 디지털화를 중점으로 한다.자사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자지갑, 가상 직불카드 및 온라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업체 대상으로 POS 기기를 지원하기도 한다.두번째는 전자상거래를 운영하는 소매업체 딜카트(DealCart)다. 국내에서 확대된 중산층을 주요고객으로 삼아 과채류, 과자, 세제 등 필요한 물건을 온라인에서 주문할 수 있도록 한다. 소규모 잡화점이 딜카트에 물건을 제공함으로써 고객 기반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나야페이는 제인 벤처캐피탈(Zayn Venture Capital), MSA 노보(MSA Novo), 그리고 그래프 벤처스(Graph Ventures)가 주도한 2022년 시드 펀딩에서 자금 1300만 달러를 조달했다.딜카트는 중동 기반 벤처캐피탈 쇼룩 파트너스(Shorooq Partners)와 영국 기반 스터전 캐피탈(Sturgeon Capital)이 공동으로 진행한 시드 펀딩 라운드에서 300만 달러를 모았다. 양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소기업 및 스타트업 연례 랭킹 100위 안에 포함됐다. 정부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스타트업을 적극 육성 중이다.
-
2018-10-30아랍에미리트 저가항공사인 에어아라비아(Air Arabia)에 따르면 2025년까지 항공기를 100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운행 중인 항공기는 60대이다.2019년 연말까지 도입할 항공기를 결정하기 위해 보잉, 에어버스, 엠브라 등과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좁은 동체인 에어버스의 A320s와 A321s, 보잉의 C-시리즈, 엠브라의 E2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현재 운용하고 있는 항공기는 대부분 에어버스의 A320과 A321이다. 2017년 11월 체결한 리스계약에 따라 A321 6대는 사용기간이 만료된다.2018년 10월 기준 유럽, 중동, 북아메리카 등 150개 지점을 운행 중이며, 아랍에리미트의 샤르자, 모로코, 이집트 등 3개의 허브공항을 확보하고 있다.항공기를 추가로 도입해 서부 아프리카, 동유럽, 아시아 등을 포함해 중국으로 신규 노선을 취항할 예정이다. 따라서 장기리용 항공기를 도입할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참고로 에어아라비아는 아랍에미리트 샤르자를 기반으로 하는 중동 최초, 중동 최대의 저가항공사이다. 최근에 요르단에서 운영을 중단했으며 새로운 허브공항을 오픈할 계획은 없다.▲에어아라비아(Air Arabia) 항공기(출처 : 홈페이지)
-
독일 폭스바겐자동차(Volkswagen)에 따르면 2018년 2월 국내 자동차 판매대수는 22만31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13.5% 증가했다. 동기간 글로벌 납입대수는 73만77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7.2% 늘어났다.또한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2018년 2월 중국상하이 자동차와 VW이 합작한 상치다중(上汽大衆)의 승용차 판매량은 12만1800대로 집계됐다. 동월 중국 디이자동차와 합작한 이치다중(一汽大衆)의 승용차 판매량은 11만4100대를 기록했다.폭스바겐자동차는 2025년까지 중국 내 전기자동차(EV) 및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PHV) 등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 개발에 약 100억유로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내 파트너사는 장화이자동차(江淮汽车)로 공동투자를 통해 40차종의 신에너지 차량을 출시할 계획이다. 향후 2020년까지 중국내 40만대, 2025년까지 약 150만대 판매를 각각 목표로 정했다.▲ China_Volkswagen_Logo▲폭스바겐자동차(Volkswagen) 로고
-
영국 회계법인 UHY Hacker Young에 따르면 국내 100대 레스토랑그룹의 3분의 1이 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년 대비 75%나 증가한 수치다.손실을 기록하고 있는 원인은 높은 직원 인건비, 상승하는 임대료, 소비자의 신뢰 하락 등이 주요인이다. 마진을 줄여서 가격을 낮추고 있지만 손실을 막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2019년 초로 예상되는 브렉시트로 인해 국내경제에 대한 미래전망이 불투명해지만 소비자들이 지갑을 다고 있는 것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정부가 최저임금을 인플레이션 비율보다 높이고 있는 것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8년 4월 최저임금은 또 4.4% 오를 전망이다.▲회계법인 UHY Hacker Young 로고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