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환율 전망"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25▲ KB국민은행 신관[출처=KB국민은행]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에 따르면 2025년 2월12일(수) 여의도 더케이타워에서 서울·수도권지역 수출입기업 CEO 및 재무담당자 60여명을 초청해 ‘2025년 환율 및 금융시장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세미나 첫 번째 시간 강사로 참여한 문정희 KB국민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의 귀환과 세계경제 약화, 원화는 여전히 험난한 여정'을 주제로 외환 시장의 주요 이슈 및 주요 통화별 동향과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두 번째 시간에는 김동권 KB국민은행 전문역이 수출입 기업들의 환 헤지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수출입 기업을 위한 환리스크 관리 방안’을 안내했다.다음으로 김일혁 KB증권 수석연구위원이 특별 강사로 나서 ‘트럼프가 꿈꾸는 미국, 그리고 미국 주식’을 주제로 강연을 이어나갔다.끝으로 외환매매 플랫폼 ‘KB Star FX’ 개발에 참여한 한만규 KB국민은행 전문역이 ‘KB Star FX’ 플랫폼을 소개하고, 기업들이 편리하게 외환·파생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했다.KB금융은 2025년도 경제와 자산 시장을 전망하고 고객별 투자 전략 방향을 제시하고자 ‘KB Investor Insight 2025’ 콘텐츠를 공개한 바 있다.KB금융지주 및 계열사의 전문 직원 64명이 참여한 해당 콘텐츠는 KB금융그룹과 계열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이성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부행장은 "최근 글로벌 금융 시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물가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이다"며 "앞으로도 수출입 기업의 환리스크 관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일본 경제신문인 도요게이자이신보(東洋経済新報社)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 일본경제는 인플레이션 압력, 환율 변동 등으로 업종간 명암이 엇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9월 16일 발행한 '회사사계보 20022년 4집(가을호)(?社四季報 2022年4集秋?)'에 실린 내용이다.특히 2022년 7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은행, 보험을 제외한 31개 업종 중 영업이익이 줄어들 업종은 9개 업종에 달한다. 대표적으로 석유·석탄제품, 철강, 증권 등이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이 급상승한 가스, 전기는 영업이익이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반면에 육운, 정보통신, 광업, 공운은 흑자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등 수송용 기기는 엔저의 혜택으로 수출이 활성화돼 흑자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혼다는 북미와 일본의 회복이 예상보다 좋아서 기대가 커지고 있다. 8월 초에 기존 예상치를 상향조정했지만 여전히 달성에 긍정적이라고 판단된다.스즈키는 인도에서 수요가 대폭 늘어났으며, 일본쪽 사업도 엔저 효과로 수출확대가 전망된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제조업의 흑자도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연초부터 촉발된 코로나19 팬데믹이 서서히 종식되면서 소비자의 구매가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는 올리고 있어서 소비가 둔화될 조짐을 대비해야 한다. 금리인상으로 주식시장의 상승이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회사사계보 20022년 4집(가을호)(?社四季報 2022年4集秋?)' 표지(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