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합작법인"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15▲ 천무 다연장로켓[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에 따르면 2025년 4월15일(현지 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폴란드 최대 민간 방산기업인 WB그룹과 ‘텀시트(Term Sheet) 계약’ 체결을 통해 합작법인 설립한다.텀시트는 계약과 관련된 주요 원칙 및 조건을 명시한 합의서다. 이날 계약식에는 이부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PGM사업부장과 배진규 유럽법인장(HAEU), 임훈민 주폴란드 대사, 파베우 베이다 폴란드 국방부 차관, 피오트르 보이첵 WB그룹 회장이 참석한다.폴란드에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본격적인 유럽 현지화에 나선다. ‘바이 유러피안(Buy European)’ 전략을 내세워 역외기업을 배제하려는 유럽의 방산 블록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와 점유율을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는 것이다.합작법인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51퍼센트(%), WB그룹의 자회사인 WB일렉트로닉스)WB Electronics(, 이 WBE)가 49% 비율로 출자해 설립된다.합작법인은 향후 폴란드군에 추가 계약을 통해 공급할 사거리 80킬로미터(km)급 천무 유도탄(CGR-080)의 현지생산은 물론 향후 유럽시장으로 수출도 추진할 계획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2년부터 2차례에 걸쳐 폴란드 군비청에 80km급 유도탄(CGR-080)과 290km급 유도탄(CTM-290) 수출하면서 총 7조2000억 원 규모의 계약을 맺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합작법인 설립을 시작으로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으로 유럽에서의 추가적인 생산거점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생산 역량 강화 및 ‘유럽 재무장’ 계획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것이다.이부환 사업부장은 “이번 합작법인 설립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럽연합(EU) 및 나토(NATO)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자리잡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며 “앞으로도 대한민국과 폴란드 양국의 방산 역량 성장 및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4-12-16▲ 인도 딕슨 테크놀리지(Dixon Technologies (India) Limited)에 따르면 합작법인을 통해 중국 비보사의 스마트폰 OEM 주문을 받을 예정이다[출처=딕손 테크놀리지 홈페이지]2024년 12월16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딕슨 테크놀리지는 중국 비보와의 합작법인을 통해 전자제품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사업을 행한다.파키스탄 자동차제조협회(PAMA)에 따르면 2024년 7월~11월간 국내 자동차 중 스즈키 볼란의 판매대수는 2896대로 전년 동기 대비 240% 증가했다.◇ 인도 딕슨 테크놀리지(Dixon Technologies (India) Limited), 중국 비보(Vivo)와 합작법인 설립인도 EMS(전자기기 제조업체) 딕슨 테크놀리지(Dixon Technologies (India) Limited)는 중국 비보(Vivo)와 합작법인을 통해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사업에 임한다.국내에서 비보의 스마트폰 및 타 브랜드의 전자제품 OEM 주문을 받을 예정이다. 딕슨이 전체 지분 중 51%를 취득하며 나머지를 비보가 소유한다.2019년 비보는 인도에서 제조를 확대하고자 Rs 750억 루피를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 기업은 미국과 무역분쟁을 피하기 위해 해외 제조시설을 확충하고 있다.◇ 파키스탄 자동차제조협회(PAMA), 2024년 7월~11월 자동차 판매대수 3만8534대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파키스탄 자동차제조협회(PAMA)에 따르면 2024년 7월~11월 5개월 동안 자동차 판매대수는 3만8534대로 회계연도 2023-24년 2만5746대와 비교해 50% 증가했다.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혼다 시빅과 시티 모델의 판매대수는 5434대, 토요타 코롤라와 야리스는 8477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2%·79% 확대됐다.스즈키의 스위프트는 2916대로 전년 동기보다 57% 상승했으나 컬투스는 808대를 기록해 50% 감소했다. 스즈키 볼란의 판매대수는 2896대로 전년 동기에서 240% 늘어났다.
-
2024-09-23▲ SBT 회사 전경[출처=원텍]글로벌 헬스케어 전문기업 원텍(대표이사 김종원, 김정현)에 따르면 2024년 9월18일(수요일)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SBT((Shanghai Best Tech) Ultrasonic Technology CO., Ltd.(이하 SBT)와 장쑤성 우시에 합작법인(JV)을 설립하기로 했다.원텍은 SBT와 공동 연구개발 및 기술이전을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으며 연구개발(R&D)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양사는 중국 현지에 자본금 1000만 위안(한화 약 19억 원) 규모의 합작 공장을 설립하고 주주 구성은 SBT가 70%, 원텍이 30%로 참여할 예정이다.피코케어 450(Picocare 450), 파스텔(Pastelle)을 향후 10년간 총 2350대 생산·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추가적인 공동 연구와 이미 허가한 제품의 현지 생산을 통해 중국 내수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이번 협약에 따라 원텍은 자사의 주요 제품인 피코케어 450(Picocare 450), 파스텔(Pastelle) 레이저 장비의 기술 이전을 추진해 현지화를 진행할 예정이다.원텍은 현지 생산을 통해 원가 절감과 생산 능력 확대는 물론 현지 기업과의 공동 마케팅을 통해 중국 시장 내 매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이번 기술 이전의 대가로 4000만 위안(한화 약 75억 원)을 받을 예정이다. 현지 생산을 위한 핵심 부품 수출로도 추가 수익도 기대된다.참고로 SBT는 2007년 설립된 초음파 장비 전문 기업으로 초음파 용접 및 절단 장비, 신에너지 배터리, 타이어, 자동차 와이어 빔 등 다양한 산업에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2022년 상하이거래소 STAR Market에 상장한 SBT는 이번 합작을 통해 신규 사업 확장과 매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초음파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
영국 제약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 GSK)에 따르면 미국 제약사인 화이자(Pfizer)와 소비자 건강 부문 합작법인에 대해 최소 £600억파운드의 개선된 인수액을 요구했다.양사의 주주들은 유니레버(Unilever)의 £500억파운드 인수 제안을 거절했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 화이자는 유니레버의 인수 제안에 대해 개선된 사업 전망을 밝히면서 '근본적으로 저평가한 것' 이라고 지적했다.소비자 건강 부문 합작법인의 지분 68%를 보유하고 있는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합작법인을 분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미국계 헤지펀드인 엘리엇 매니지먼트(Elliott Management)를 포함한 투자기업인 블루벨 캐피탈(Bluebell Capital Partners) 등은 매각을 요구해왔다.양사의 소비자 건강 부문 합작법인의 프리미엄은 최소 120억파운드로 총 인수 가격은 615억파운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 GSK) 로고
-
▲ 미국 항공기부품 대기업 스피리트 에어로시스템(Spirit AeroSystems) 공장 전경 [출처=홈페이지]미국 항공기부품 대기업 스피리트 에어로시스템(Spirit AeroSystems)은 중국 합작법인과 함께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 항공기 정비 및 수리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인프라 및 안정적 수송로가 확보되면 캄보디아·라오스·미얀마에도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동남아시아의 경우에 넒은 공장 용지를 확보하기 쉽지 않고 도로 인프라가 열악해 고민 중이다.2009년 스피리트 에어로시스템은 홍콩비행기공정유한공사(HAECO)와 합작회사를 설립했다. 영국 스와이어그룹은 홍콩비행기공정유한공사(HAECO) 뿐만 아니라 캐세이퍼시픽항공도 소유하고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