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탄소배출 감축"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29▲ 두산에너빌리티 로고 [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2025년 4월27일(현지 시각) 사우디아라비아 주베일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전력회사인 마라픽(Marafiq)과 1300억 원 규모의 얀부2 발전소 연료전환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진행된 체결식에는 마라픽 자말 압둘라만 오마르(Jamal Abdulrahman Omar) 수석 부사장, 두산에너빌리티 손승우 파워서비스 BG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프로젝트는 기존 석유 발전소를 가스 발전소로 전환하는 것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2028년까지 연소기, 분산 제어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 등 주요 기기를 공급하고 시운전을 수행할 예정이다.연료전환이 완료되면 얀부2 발전소는 기존 발전 용량은 유지하면서 탄소배출은 전보다 약 25퍼센트(%) 감축될 것으로 전망된다.얀부2 발전소는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북쪽 약 350킬로미터(km) 떨어진 얀부 산업단지에 위치하며 산업단지 내 전력공급을 위해 2013년 1375메가와트(MW) 규모로 준공됐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당시 보일러, 스팀터빈 등 주기기 공급사로 참여한 바 있다.사우디아라비아는 2027년까지 매년 약 1.4기가와트(GW) 규모의 연료전환 프로젝트가 발주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는 이번 사우디아라비아 프로젝트 외에도 칠레, 베트남 등 여러 국가에서 연료전환 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오고 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손승우 파워서비스 BG장은 “발전소 연료전환은 기존 설비를 최대한 활용하고 발전소 운영 정지 기간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인 저탄소 발전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발주처가 얀부 산업단지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정과 품질 준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 효성중공업 빌딩[출처=효성중공업]효성중공업(대표이사 우태희)에 따르면 2024년 12월20일(금요일)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창원공장에서 한국남동발전(사장 강기윤)과 ‘수소엔진발전 공동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미래 전력산업에 대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수소발전 분야의 경쟁력 강화 및 사업확장을 모색할 계획이다. 협약식에는 우태희 효성중공업 대표이사와 강기윤 한국남동발전 사장을 비롯해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효성중공업은 한국남동발전과 함께 수소발전 시장 공략에 나선다.양사는 핵심 역량을 결합해 △수소 및 수소화합물 전소 엔진 활용 발전사업 △청정 수소 생산 및 활용 실증사업 △기타 청정 수소·수소화합물 관련 사업 및 기술협력 등 수소엔진 및 청정수소를 활용한 수소발전사업을 공동 추진할 방침이다.효성중공업은 2022년부터 수소엔진 개발을 본격화했다. 2024년 4월 세계 최초로 수소전소엔진 상용화에 성공해 울산광역시 효성화학 용연2공장에 설치한 1메가와트(MW) 수소엔진발전기를 본격 가동했다.안전성면에서도 한국가스안전공사와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안전검사를 통과해 상용화를 인정받았다. 기술검증, 성능평가 등 실증을 완료한 효성중공업은 청정수소 발전 시장에 진출하며 다양한 사업 기회를 창출할 계획이다.수소엔진발전기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 탄소 배출없이 전력을 생산하며 분산형전원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태양광, 풍력 등 환경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지는 재생에너지와 달리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해 미래 청정 에너지원으로 관심을 끌고 있다.우태희 효성중공업 대표이사는 “수소발전은 무탄소 발전원으로 탄소배출감축과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을 위한 최적의 에너지원이다. 효성중공업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필두로 수소발전 시장을 개척,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위상을 높여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1-07-16미국 유나이티드 항공(United Airlines, 이하 UA)에 따르면 지난 7월 13일 드론처럼 전력으로 구동되는 ‘전기 여객기(Electric Passenger Planes)’를 구매하겠다고 밝혔다.UA 경영진은 탄소배출을 감소하겠다는 목적으로 전기 여객기를 구매하고, 추후 지속적인 투자를 단행하기로 결정했다. 투자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전기 여객기 구매처는 공개했다.UA의 전기 여객기는 스웨덴 우주항공업체 하트 에어로스페이스(Heart Aerospace, 이하 하트)에서 공급받을 예정이다. 하트로부터 19인승 전기 여객기 ‘ES-19' 100대를 매입할 계획이다.ES-19는 최대 비행거리가 200마일(약 400킬로미터)이다. 현재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에서 단거리 항공편을 운행하는 여객기를 대체할 수 있어 운영 측면에서는 문제될 것이 없다.UA는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00% 감축하겠다는 목표로 이번 전기 여객기 투자를 기획했다. 최근 드론이 탄소배출 없는 친환경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 여객 산업에도 영향이 미친 셈이다.한편, ES-19는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동일한 유형의 배터리가 장착되도록 설계됐다. 드론도 크게 보면 전기자동차나 항공기와 설계 방식이 유사한데, 이렇게 보면 차세대 이동수단은 형태만 다를 뿐 어느 정도 일맥상통한다.UA가 전기 여객기를 실제 운항하는 시기는 이르면 2026년으로 예상되고 있다. 처음 도입되는 전기 항공기인 만큼 안전성 검토와 조종사 및 승무원 훈련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하트 에어로스페이스 전기 여객기 ‘ES-19'(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노동당(Labor)에 따르면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배출감축 목표 45%를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생가능에너지를 50% 늘리는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이다.만약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배출 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면 전력의 3/4을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조달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싱크탱크인 오스트레일리아연구소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탄소가격정책, 배출농도정책 등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정부는 이 2가지 정책을 거부한 바 있다.▲노동당(Labor) 홈페이지
-
2017-02-22싱가포르 정부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온실가스에 대한 '탄소세'가 도입될 계획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깨끗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이다.현재 탄소세는 온실가스 1톤당 S$ 10~20달러로 검토되고 있다. 선행된 타국가의 제도 범위 내에서 조정되고 있으며 탄소배출의 요인 중 하나인 '원유'의 시세도 반영될 예정이다.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기업에게는 인센티브를 제공해 제도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계획이다. 동시에 친환경 자동차의 구매혜택도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경제적 제재가 가해진 환경정책이기 때문에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환경도 개선되겠지만 공산품의 물가도 오를 수 있어 득실이 상충될 것으로 전망된다.▲싱가포르 국가환경변화사무국(NCCS)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