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최신 동향"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08▲ KINS 중대사고리스크평가 심포지엄 개최 [출처=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원장 임승철, 이하 KINS)에 따르면 2025년 9월8일(월)부터 9일(화)까지 2일간 부산광역시 벡스코(BEXCO)에서 ‘2025년 제3회 원전 중대사고·리스크평가 심포지엄’을 개최한다.이번 심포지엄은 중대 사고 및 리스크(확률론적 안전성평가, PSA) 분야 산업계·학계·연구계 최신 연구동향 및 안전 규제 현안에 대한 정보교류 및 논의를 통해 분야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연계를 강화하고자 마련됐다.이번 심포지엄은 「중대사고·리스크 관점에서 본 미래 원전 대응 전략」을 주제로 관련 분야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원전이 직면할 주요 안전 이슈에 대해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한다.이번 행사에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한국수력원자력(KHNP), 한국전력기술(KEPCO E&C),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울대, 한양대, 중앙대, 세종대 등 다양한 산․학․연의 원자력 전문가들이 참석한다.첫날인 9월8일(월)에는 환영사와 경희대 허균영 교수의 기조 발표를 시작으로 종합세션 3개가 이어진다. 둘째 날인 9월9일(화)에는 중대사고 세션과 리스크 세션으로 나뉘어 총 12개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KINS 임승철 원장은 초대의 글을 통해 “기후위기와 에너지 전환이라는 흐름 속에서 원자력의 미래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지금, 중대사고 및 리스크 분야에 대한 이해는 미래 원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기반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미래 원전이 직면할 주요 안전 이슈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의 풍부한 경험과 통찰이 모여 미래 원전의 안전과 대응 전략이 더욱 견고히 다져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삼양사, 호주 국제식품전시회 ‘Fine Food Australia’ 참가해 알룰로스 알려 [출처=삼양그룹]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따르면 2025년 9월8일(월, 현지시간)부터 11일(목)까지 나흘간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개최되는 국제식품전시회 ‘Find Food Australia(FFA)’에 참가한다.FFA는 오세아니아 최대의 국제식품전시회로 식품, 육류, 해산물, 베이커리, 유제품 등 다양한 식품 카테고리의 최신 동향과 기술을 선보인다. 2025년 41주년을 맞은 이번 전시회에는 전 세계 45개국에서 900여개 기업이 참가한다.이번에 처음 참가한 삼양사는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의 품질 및 기술력과 이를 활용한 최적의 맞춤형 솔루션을 알리는 데 역점을 둔다.삼양사가 2024년 전 세계 알룰로스 생산기업 중 최초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안전한 식품으로 인정하는 ‘노블 푸드(Novel Food)’ 승인을 받고 현지에 알룰로스를 독점 공급하고 있는 만큼 이번 전시회를 발판 삼아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고 판로를 더욱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삼양사는 부스에서 알룰로스로 열량과 당류 함량을 낮추면서 부드러운 단맛을 구현한 시리얼 바와 구미 젤리를 시식샘플로 제공해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는 한편 적극적인 판촉 활동으로 고객사 확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알룰로스는 설탕 대비 70퍼센트(%) 정도의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제로인 대체 감미료이다. 삼양사는 2016년 자체 효소 기술 기반의 액상 알룰로스를 개발했다.2021년부터 ‘넥스위트(Nexweet)’라는 브랜드로 국내외에 알룰로스를 공급하고 있다. 2024년 울산에 종합 스페셜티 공장을 준공해 연간 1만3000톤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생산시설을 구축했다.삼양사는 스페셜티 소재의 해외 판로 개척을 가속화하고 있다. 9월3일(수)부터 5일(금)까지 사흘간 인도에서 열린 식품원료전시회 ‘Fi-India&
-
2025-04-28▲ 대한전선 ‘IPF25’ 부스 [출처=대한전선]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은 2025년 4월28일(월)부터 5월1일(목)까지 미국 버지니아주 버지니아비치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IPF(International Partnering Forum) 2025’에 참가한다.대한전선이 북미에서 인정받은 경쟁력을 기반으로 현지 해상풍력 시장 공략에 나선다. ‘IPF’는 미국 풍력 에너지 협회인 Oceantic Network가 주관하는 북미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및 해양 재생에너지 전문 컨퍼런스다.미국 연방 및 주정부 관계자를 비롯해 유럽 주요 국가(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등)와 글로벌 해상풍력 개발사, 기자재 공급사 등이 참가한다. 행사에서는 해상풍력 관련 최신 기술과 시장 동향, 연구 성과 등이 공유된다.대한전선은 ‘해저에서 연결하는 새로운 미래’라는 주제로 해저케이블 턴키(Turn-key) 경쟁력을 강조한다. 올해 상반기 종합 준공을 앞둔 당진 해저케이블 1공장과 최근 당진 고대부두로 부지를 확정한 해저케이블 2공장에 대해 소개하며 생산 역량을 알린다.또한 국내 유일의 해상풍력용 CLV(Cable Laying Vessel) 포설선인 ‘팔로스(Palos)’의 모형을 전시해 △해저케이블 설계 △생산 △운송 △시공 △유지보수에 이르는 전체 벨류 체인(Value chain) 수행 역량을 강조한다.특히 현재 개발 중인 525킬로볼트(kV) HVDC 해저케이블 시제품을 이번 전시회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대한전선은 2027년 가동 예정인 해저케이블 2공장에서 525kV HVDC 제품을 생산해 북미를 비롯한 글로벌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이와 함께 2009년부터 국내외 주요 프로젝트에 공급해 온 해저케이블 실적도 소개하며 차별화된 기술력과 노하우를 입증할 방침이다.
-
▲ 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 전경[출처=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이사장 최용식)에 따르면 2024년 10월15일~18일(금요일)까지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3홀에서 '2024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이 개최된다.28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회는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이사장 최용식)과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은종목)이 공동으로 주최한다.국내외 최첨단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 기기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독일, 미국, 일본, 중국 등 10개국에서 150개 업체가 참가한다.가정용부터 산업용까지 6만2000여 종의 고정밀 공구와 스마트 용접기 및 용접로봇 자동화, 레이저 용접·절단기, 모니터링 시스템 등 진일보된 용접 솔루션을 선보이는 동시에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한다.이번 전시회는 신제품 개발 동향과 신기술, 업계 동향 및 산업 발전 추이를 비롯한 국내외 공구 및 관련 기기, 용접 및 용접 로봇 자동화 산업의 면면을 실제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공구 및 용접, 절단 전문기업들과 관련 주요 메이커들이 참여한다. 공구 및 용접산업의 미래를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다.특히 동반성장위원회와 효성중공업이 2022년도, 2023년도에 이어 올해도 전시에 참가하는 용접 관련 중소기업의 참가비 일부와 부대행사를 지원하는 등의 상생협력의 모델을 제시한다.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 공구 및 용접 업계의 위기 극복과 재도약 해법을 제시한다. 신규시장 창출을 포함한 거래선 확대를 지원함으로써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부대행사로는 증강현실 시뮬레이터(AR Simulator) 용접기능경기대회와 미국용접학회 공인용접검사관 특별 세미나가 개최된다. 친환경 용접기술 등의 트렌드 변화와 산업의 지향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공구는 일반 사용자에서부터 제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소모성 산업으로 기계, 자동차, IT,
-
2024-09-10▲ 일본 파나소닉 공장 전경 [출처=홈페이지]중국 LatePost에 따르면 닝더스다이(宁德时代, CATL)은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전지회사 인수를 모색하고 있다. 태양광 모듈 제조업체 이다오에너지(一道新能源, DaSolar)와 인수 협상을 진행 중이다.일본 파나소닉 에너지(パナソニック エナジー)에 따르면 9월9일 기준 와카야마 공장(와카야마현 기노가와시)에서 최신형 EV(전기자동차)용 원통형 리튬 이온 전지 '4680' 셀 양산 준비가 완료됐다.데이코쿠데이타뱅크(帝国データバンク)에 따르면 2024년 8월 전국 도산 기업수는 750건에 달했으며 8월로는 지난 10년간 최다를 기록했다.대만 유다광전(友達光電, AUO)에 따르면 2024년 8월 연결 매출액이 NZ$ 270억1300만 달러로 월간 증가율 8.6%, 연간 증가율 11.3%를 기록해 지난 29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국 닝더스다이(宁德时代, CATL),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전지 회사 인수 모색중국 레이트포스트(LatePost)에 따르면 닝더스다이(宁德时代, CATL)은 태양광 모듈 및 태양광 전지 회사 인수를 모색하고 있다. 태양광 모듈 제조업체 이다오에너지(一道新能源, DaSolar)와 인수 협상을 진행 중이다.2018년 설립된 이다오에너지(一道新能源, DaSolar)는 2024년 상반기 PV 모듈 출하량 기준 세계 8위를 기록했다.CATL은 이전에 세계 5위 태양광전지 제조업체 광전지 모듈 제조업체인 룬양(润阳)의 지분 51%를 40억 위안에 인수하려고 시도한 적이 있다.◇ 일본 파나소닉 에너지(パナソニック エナジー), 최신형 EV용 원통형 리튬 이온 전지 '4680' 셀 양산 준비 완료일본 파나소닉 에너지(パナソニック エナジー)에 따르면 2024년 9월9일 기준 와카야마 공장(와카야마현 기노가와시)에서 최신형 전기자동차(EV)용 원통형 리튬 이온 전지 '4680' 셀 양산 준비가 완료됐다.신형 전지 '468
-
▲ 데이코산업연구소가 발간한 ‘2024 비대면 진료 서비스 확대에 대응하는 국내외 원격의료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보고서 표지[출처=데이코산업연구소]산업조사 전문기관 데이코산업연구소는 ‘2024 비대면 진료 서비스 확대에 대응하는 국내외 원격의료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보고서는 원격의료 산업뿐 아니라 디지털 헬스케어, AI 의료 기술의 최신 동향, 원격모니터링, 모바일 헬스케어, 디지털 치료기기 등 다양한 원격의료 사업 동향과 기술개발 동향을 조사·분석했다. 또한 글로벌 시장 동향과 전망, 국내외 정책 및 선도기업의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 분석해 본서를 출간하게 됐다.원격의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화상·전화·채팅·이메일 등을 통해 질병을 진단·처방하는 ‘원격진료’, 환자의 건강 및 임상적 정보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원격모니터링’, 원거리에서 로봇을 활용하거나 의료인 간 협진을 통한 수술 등의 ‘원격수술’이 있다.한편 ‘모바일헬스케어’는 일반적인 건강관리서비스에서 시작해서 본격적인 의료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동시에 다양한 수준의 진료서비스 제공을 지원하는 강력한 의료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다.정부는 2023년 6월 시범사업 시행 이후 6개월간 현장에서 제기된 다양한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2023년 12월 15일부터 비대면진료 보완 대책을 마련했다.보완방안은 대면진료의 보조적 수단으로써 비대면 진료를 허용한다는 원칙 아래 국민의 의료 접근성을 강화하고 의료진의 판단을 존중하는 내용이 핵심이다.이 대책은 경증환자로 인한 응급실 과밀화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지속해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을 개선하는 한편, 국민이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
2024-08-31▲ 2024년 8월27일부터 사우디아라비아 국책항공사인 사우디아(Saudia)와 미국 글로벌 금융기업인 마스터카드(Mastercard)는 함께 '허 보이스(Her Voice)' 팟캐스트 시즌 3를 시작했다. [출처=마스터카드 홈페이지]2024년 8월 중동 ICT산업 주요동향은 기술과 보안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보안 솔루션 및 인쇄기업인 E7 그룹(E7 Group)에 따르면 2025년부터 디지털 납세필 인지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독일 온라인 데이터 플랫폼인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카타르의 컴퓨팅 시장 매출은 US$ 6550만달러로 전망된다.○ 아랍에미리트 규제위원회인 UAE 사이버보안위원회(UAE CSC)에 따르면 2024년 말부터 국내 사이버보안 시스템 지원을 위한 정책 3가지를 시행할 계획이다.기술 발전과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보안, 사물인터넷(IoT) 보안, 사이버보안 운영센터 등을 모두 고려해 글로벌 기술 허브로 발전하기 위한 목적이다.UAE CSC는 정보 차단을 위한 암호화 법안의 규제 집행 기준 또한 2024년 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아랍에미리트 인공지능(AI) 기업인 인셉션(Inception)에 따르면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LLM)인 인셉션 70B(Inception 70B)를 출시했다.인셉션은 G42(Group 42 Holding Ltd)의 기업 중 AI 모델과 서비스 앱 개발에 집중하는 사업체다. 인셉션 70B는 아랍어 기반의 자연어 처리(NLP) 솔류션 개발자들을 위해 디자인됐다.다양한 산업 분야의 생성형 AI(Generative AI) 서비스 통합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로벌 국가 모두 AI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경쟁 중이다.○ 아랍에미리트 보안 솔루션 및 인쇄기업인 E7 그룹(E7 Group)에 따르면 2025년부터 디지털 납세필 인지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가동을 시작한 이후 생산량을 점차적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전체 투자금액은 AED
-
▲ 두바이 정부 인적자원부(DHGR) 로고. [출처=GDMO(Government of Dubai Media Office) 엑스(X) 계정] 2024년 8월8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튀르키예의 통계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Dubai) 정부에 따르면 2024년 8월12일부터 9월30일까지 유연 근무제 시범 사업인 ‘Our Flexible Summer’을 진행한다.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튀르키예 통계청(TurkStat)에 따르면 2024년 7월 소비자가격지수(CPI)는 61.78%로 전월 71.6%와 대비해 완화됐다.◇ 아랍에미리트 인공지능(AI) 기업인 인셉션(Inception),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LLM)인 인셉션 70B(Inception 70B) 출시아랍에미리트 인공지능(AI) 기업인 인셉션(Inception)에 따르면 최신 대규모 언어 모델(LLM)인 인셉션 70B(Inception 70B)를 출시했다.인셉션은 G42(Group 42 Holding Ltd)의 기업 중 AI 모델과 서비스 앱 개발에 집중하는 사업체다. 인셉션 70B는 아랍어 기반의 자연어 처리(NLP) 솔류션 개발자들을 위해 디자인됐다.다양한 산업 분야의 생성형 AI(Generative AI) 서비스 통합을 가속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로벌 국가 모두 AI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경쟁 중이다.아랍에미리트 두바이(Dubai) 정부에 따르면 2024년 8월12일부터 9월30일까지 유연 근무제 시범 사업인 ‘Our Flexible Summer’를 진행한다.두바이 정부 인적자원부(DHGR)가 주도하며 최대 15개 정부기관이 참여한다. 시범 사업 기간 동안 근무시간을 7시간 단축하며 일부 기관은 금요일 근무를 없앤다. DHGR의 정부 기관 공무원들의 실적 향상 및 유연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이다.두바이 정부는 '두바이 삶의 질 전략 2033(Dubai Quality of Life Stra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