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첫 공개"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뉴토피아’ 지수, 절친 정호연과 ‘셀폰코드(KODE)’에서 만나 꿀잼 티키타카 케미[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 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2월5일(수) 지수가 유튜브 ‘셀폰코드(KODE)’에 출연해 모델 겸 배우 정호연과 블라인드 토크를 진행한다.‘셀폰코드(KODE)’는 상대방의 외모, 직업, 나이 등 모든 것을 가린 채로 벽을 사이에 두고 채팅을 나누는 블라인드 토크쇼다.쿠팡플레이 시리즈 <뉴토피아>에서 좀비떼 앞에서도 용기있게 ‘재윤’(박정민)에게 달려가는 당찬 곰신 여자친구 ‘영주’로 변신해 시청자들의 마음에 안착할 지수가 작품 첫 공개를 앞두고 바로 오늘 유튜브 [KODE 코드] 채널 ‘셀폰코드(KODE)’에 출연한다.쿠팡플레이 시리즈 <뉴토피아>는 군인 재윤과 곰신 영주가 좀비에 습격당한 서울 도심을 가로질러 서로에게 달려가는 이야기다.K-대표 글로벌 스타이자 절친한 사이로 알려진 지수와 정호연은 상대방의 존재를 모른 채 자신의 취향, 관심사, 가치관 등 다채로운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함께 필라테스를 다닐 정도로 평소 친한 친구 관계인 지수와 정호연이지만 낯선 사람과 처음 알아가듯 대화하며 서로를 유추하는 과정에서 어떤 케미를 만들어낼지, 알쏭달쏭한 힌트로 서로의 정체를 알아낼 수 있을지 궁금증을 자아낸다.앞서 [KODE 코드] 채널에서 공개된 2025년 라인업 영상에서 지수의 출연이 예고되며 “김지수가 나온다고??? 미쳤다..”(@BLIN), “지수 언제 나오는 거지?? 어떡해~~ 갑자기 기분이 좋아졌어요!!” (@rem), “김지수 벌써 재밌음”(@해몽), “Jisoo and Hoyeon?! like I kinda never imagined Jisoo on KODE!!!”(@Marie) 등 국내외 팬들의 뜨거운 기대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뉴토피아>에서 박정민과 신선한 ‘좀콤’ 커플 케미를 발산할 지수가 절친 정호연과 먼저 보여줄 티키타카 케미는 2월5일(수) 저녁 6시 30분 [KODE 코드]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열띤 홍보 행렬을 이어나가며 홍보 요정으로 급부상하는 지수의 다채로운 매력이 기대되는 쿠팡플레이 시리즈 <뉴토피아>는 2월7일(금) 저녁 8시, 쿠팡플레이에서 첫 공개된다.◇ 작품 정보제목 : 뉴토피아영제 : Newtopia원작 : 한상운 소설 『인플루엔자』 (문학동네, 2012)감독 : 윤성현극본 : 한진원, 지호진출연 : 박정민, 지수, 임성재, 김준한, 강영석, 빈찬욱, 홍서희, 김상흔, 김정진, 그리고 이학주, 탕준상제공 : 쿠팡플레이제작 : 바운드엔터테인먼트, 빌리언스플러스공개 : 2월7일(금) 저녁 8시
-
▲ 넷마블, 첫 글로벌 공식 대회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 티저 영상 공개[출처=넷마블]넷마블(대표 권영식, 김병규)에 따르면 첫 글로벌 공식 대회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 공식사이트를 개설하고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은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의 인기 콘텐츠인 ‘시간의 전장’으로 실력을 겨루는 대회다. 넷마블은 2024년 두 차례의 오프라인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이번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는 앞서 국내에서 개최됐던 두 번의 대회에 이어 전 세계를 대상으로 무대를 확장해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선은 대한민국에서 오프라인으로 열린다.공식사이트에서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 예선전 참가 조건 등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한다.공식사이트 개설과 함께 공개된 티저 영상(https://youtu.be/xGa0uP5L6xQ)을 통해 앞서 진행된 두 차례의 대회에서 펼쳐진 치열한 승부와 뜨거운 현장 분위기 등을 확인할 수 있다.‘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공식사이트(https://sololeveling.netmarble.com/ko/slc_2025) 및 포럼을 통해 지속적으로 안내될 예정이다.한편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는 글로벌 누적 조회수 143억 뷰를 기록한 ‘나 혼자만 레벨업’ IP 최초의 게임이다.정식출시 약 5개월 만에 글로벌 누적 5000만 이용자를 달성했다. 2024년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
▲ 말레이시아 프로톤(Proton)의 전기자동차(EV) e.MAS 7 이미지[출처=프로톤 홈페이지]2024년 12월17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프로톤은 첫 번째 국산 전기자동차(EV) e.MAS 7 SUV를 공개했다.하오후아 베트남은 자사의 타이어 생산시설을 구축하는 데 있어 총 US$ 7억8000만 달러를 투자한다.◇ 말레이시아 프로톤(Proton), 첫 번째 국산 전기자동차(EV) e.MAS 7 SUV 공개말레이시아 자동차 제조업체 프로톤(Proton)이 첫 번째 국산 전기자동차(EV) e.MAS 7 SUV를 공개했다. 가격은 최소 10만58000링깃에서 시작해 최고급 모델은 최대 12만3800링깃으로 판매된다.말레이시아 정부는 2030년까지 신차 판매량 중 EV의 점유율 20%를 목표로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중국 비야디(BYD)와 미국 테슬라(Tesla)의 EV가 판매되고 있다.참고로 중국 지리(Geely)가 프로톤의 지분 49.9%를 보유하고 있다. 지리는 2023년 탄종 말림(Tanjong Malim) 지역에 공장을 건설하고자 US$ 100억 달러를 투자한 바 있다.◇ 하오후아 베트남(Haohua (Vietnam) Co Ltd), 민흥시키고 산업단지의 타이어 생산시설 가동 시작타이어 제조업체 하오후아 베트남(Haohua (Vietnam) Co Ltd)에 따르면 빈프억 지역 민흥시키고(Minh Hung Sikico) 산업단지에 위치한 43헥타르(ha) 규모 공장이 가동을 시작했다.하오후아의 시설은 차량용 세미스틸 및 올스틸 레이디얼 타이어를 생산한다. 연간 생산능력은 타이어 1440만 개며 연간 생산가치는 7억7000만 달러로 추정된다.하오후아는 US$ 5억 달러를 투자해 2023년 9월 건설을 시작했다. 추가적으로 2억8000만 달러를 투자함으로써 시설을 31ha 확장한다.
-
▲ 인도 울트라테크 시멘트(UltraTech Cement Ltd) 로고[출처=울트라테크 시멘트 홈페이지] 2024년 10월22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인도 울트라테크 시멘트의 해외 판매량은 166만 톤(t)으로 전년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GGAPCP에 따르면 보석 및 귀금속 분야에 대한 파키스탄의 글로벌 시장 잠재력은 연간 US$ 300억 달러다.◇ 인도 울트라테크 시멘트(UltraTech Cement Ltd),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순이익 Rs 82억518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인도 울트라테크 시멘트(UltraTech Cement Ltd)의 순이익은 Rs 82억5180만 루피로 전년 동기 Rs 128억1000만 루피 대비 36% 감소했다.회계연도 2025년 2분기 국내 판매량은 2640만 톤(t), 해외 판매량은 166만t으로 각각 전년 대비 3%·40%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회색 시멘트에 대한 국내 판매량은 2575만t을 기록해 전년 대비 3% 증가했다. UBS 아웃렛이 4236곳으로 늘어남으로써 판매량의 19.4%를 기여했다.◇ GGAPCP(The Gold and Gem Art Promotion Council of Pakistan), 파키스탄 첫 보석 및 귀금속 전자상거래 공개비영리단체 GGAPCP(The Gold and Gem Art Promotion Council of Pakistan)는 보석 및 귀금속을 위한 국내 첫 전자상거래를 공개했다.GGAPCP에 따르면 주변국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중국이 1위, 인도 6위이며 파키스탄은 46위이다. 보석 및 귀금속 분야에 대한 글로벌 시장 잠재력이 연간 US$ 300억 달러에 달한다.파키스탄의 강점을 통해 중국 알리바바 플랫폼처럼 전 세계 200개국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위원회는 2000년 보석 및 귀금속 전문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잡지를 발간했다.
-
▲ 인도네시아 네트워크 서비스업체 인도삿 우레두 허치슨(IOH)는 수라카르타 솔로 테크노파크(Solo Technopark) 단지 내 국내 첫 인공지능(AI) 체험 센터를 공개했다[출처=인도삿 홈페이지]2024년 8월 4주차 인도네시아 경제는 국내 첫 인공지능(AI) 체험 센터에 대해서다.○ 2024년 8월20일 인도네시아 네트워크 서비스업체 인도삿 우레두 허치슨(Indosat Ooredoo Hutchison, IOH)은 국내 첫 인공지능(AI) 체험센터를 선보였다.2024년 안에 수라카르타 지역 솔로 테크노파크(Solo Technopark) 단지 내에 함께 설립될 AI 전문센터(AI Center of Excellence)의 체험 공간이다.인도삿은 쇼케이스 전시실 뿐만 아니라 중국 화웨이 등 파트너사 제휴를 통해 학생·공무원·일반 시민 대상으로 AI 교육을 제공한다.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
▲ 인도네시아 네트워크 서비스업체 인도삿 우레두 허치슨(IOH)는 수라카르타 솔로 테크노파크(Solo Technopark) 단지 내 국내 첫 인공지능(AI) 체험 센터를 공개했다[출처=인도삿 홈페이지]2024년 8월30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를 포함한다.말레이시아 금융 지주회사 MBSB의 2024년 상반기 순이익은 1억3317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15.6% 감소했다.인도네시아 네트워크 서비스업체 인도삿 우레두 허치슨(IOH)는 수라카르타 솔로 테크노파크(Solo Technopark) 단지 내 국내 첫 인공지능(AI) 체험 센터를 공개했다.◇ 말레이시아 MBSB, 2024년 상반기 매출액 18억500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7% 증가2024년 2분기 말레이시아 MBSB의 순이익은 5483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8370만 링깃과 비교해 34.5% 감소했다. 유지보수(OpEx)와 손상차손 충당금이 증가했기 때문이다.매출액은 9억6085만 링깃으로 2023년 2분기 7억1153만 링깃에서 35%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 MBSB의 순이익은 전년보다 15.6% 감소한 1억3317만 링깃이었으나 매출은 18억5000만 링깃으로 34.7% 증가했다.MBSB는 말레이시아 산업개발기금(MIDF)와 MBSB 은행의 금융 지주 회사로 2023년 10월 MIDF를 인수했다. 2024년 동안 당좌예금·저축예금(CASA)를 유치하는 데 집중할 것을 밝혔다.◇ 인도네시아 인도삿 우레두 허치슨(IOH), 국내 첫 인공지능(AI) 체험센터 공개2024년 8월20일 인도네시아 네트워크 서비스업체 인도삿 우레두 허치슨(Indosat Ooredoo Hutchison, IOH)은 국내 첫 인공지능(AI) 체험센터를 선보였다.2024년 안에 수라카르타 지역 솔로 테크노파크(Solo Technopark) 단지 내에 함께 설립될 AI 전문센터(AI Center of Excellence)의 체험 공간이다.인도삿은 쇼케이스 전시실 뿐만 아니라 중국 화웨이 등의 파트너사 제휴를 통해 학생·공무원·일반 시민 대상으로 AI 교육을 제공한다.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
▲ 22~26일(현지시간) 영국 판버러 공항에서 열리는 ‘판버러 에어쇼’에 참가한 한화 통합전시관 전경[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그롭(회장 김승연)은 2024년 7월22일~26일 세계 3대 에어쇼 중 하나인 영국 ‘판버러 에어쇼’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항공·우주 기술력을 선보이기 위한 목적이다.한화가 독자적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첨단항공엔진’ 프로토타입을 최초로 공개한다. 또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다, 소형 합성개구레이다(SAR) 위성 등을 소개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약 60평 규모의 통합 전시관을 마련했다. 전시관은 그룹사 항공사업 통합 역량을 보여주는 에어 존(Air Zone)과 ‘발사체-관측위성-위성통신 서비스’ 등 종합 우주솔루션을 제시한 스페이스 존(Space Zone)으로 구성됐다.‘에어 존’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정부와 함께 독자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첨단항공엔진’ 프로토타입이 최초로 전시된다.첨단항공엔진은 KF-21 전투기, 무인전투기 등에 탑재하기 위해 추력 1만5000파운드(lbf)급 이상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한화시스템이 국내 독자 개발에 성공해 2024년 5월 글로벌 방산기업 ‘레오나르도사’와 수출 계약까지 체결한 AESA 레이다도 선보인다.경공격기, 무인기, 소형 항공기 등 각 항공기 특성에 맞는 다양한 AESA 레이다를 제시해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이 밖에도 항공기 생존을 위한 첨단 항전장비, 친환경 항공기 핵심 구성품인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소연료전지, 전기식작동기(EMA) 등 한화가 40여년간 축적한 항공사업 통합 역량을 소개할 예정이다.‘스페이스 존’에서는 한화시스템이 최초 국산화한 ‘소형 SAR위성’으로 전장 상황을 관측하고 2021년 투자한 유텔셋 원웹(Eutelsat OneWeb) 위성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전장 정보를 공유, 대응하는 ‘초연결 방산 솔루션’을 선보인다.특히 SAR위성이 촬영한 국내 목포항, 미국 센트럴파크와 양키 스타디움, 두바이 팜 주메이라, 아프리카 아덴만 해역 등 세계 각지의 선명한 모습을 전시 현장에서 공개해 위성 관측 역량을 보여줄 계획이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모형도 전시된다. 2022년과 2023년 연이은 발사 성공으로 성능 검증을 완료했다는 점을 강조해 위성 고객을 모집할 방침이다.
-
▲ 인도 럭셔리 호텔 개발 및 운영기업인 주니퍼 호텔(Juniper Hotels Ltd)의 5성급 호텔인 그랜드 하얏트 호텔(Grand Hyatt Mumbai) 전경 (출처: 홈페이지)인도 럭셔리 호텔 개발 및 운영기업인 주니퍼 호텔(Juniper Hotels Ltd)에 따르면 2024년 2월21~23일 첫 번째 기업공개(IPO)를 진행할 계획이다.기업공개 가격대는 액면가 10루피에 대해 1주당 342~360루피로 결정됐다. 주니퍼 호텔의 앵커투자자에 대한 IPO 배분은 2024년 2월20일 진행할 예정이다.예비투자 설명서인 청어투자설명서(RHP)에 따르면 2023년 9월30일 기준 주니퍼 호텔은 아파트형 호텔, 7개 호텔을 포함해 1836개 키(Key)를 운영하고 있다.숙박 업계에서 키(Key)는 개인 숙박실을 의미하며 객실 수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침실이 2개인 스위트룸은 객실은 1개이지만 키는 2개일 수 있기 때문이다.주니퍼 호텔은 2023년 9월30일 기준으로 미국의 다국적 호텔기업인 하얏트(Hyatt)의 인도 호텔 자산의 19.6%를 보유하고 있다.
-
2021-05-18나이지리아 신생 항공사인 그린 아프리카 에어웨이(Green Africa Airways)에 따르면 첫 여객기 운항을 앞두고 첫 노선을 공개했다. 2015년 창립했으며 2021년 현재 2대의 임대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첫 항공 노선은 다음과 같다. 국내 최대 도시인 라고스(Lagos)에서 출발해 국내 주요 도시들인 아쿠레(Akure), 일로린(Ilorin), 아부자(Abuja), 에누구(Enugu), 오워리(Owerri), 포트 하코트(Port Harcourt) 등에 도착한다.항후 운항 확장에 따라 목적지가 추가할 계획이다. 이미 라고스 외곽에 몇 개의 기지를 건설하려는 계획도 진행 중이다. 2018년 쿠라모 캐피탈은 그린 아프리카 에어웨이를 위한 시리즈 A 기금을 성공적으로 모금했다. 2021년 최근 그린 아프리카 에어웨이는 정부로부터 항공운송 허가를 받았다. 참고로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벤처투자사인 쿠라모 캐피탈(Kuramo Capital)은 나이지리아, 케냐 등에서 사무실을 운영하며 아프리카계 기업들에게 투자하고 있다.▲그린 아프리카 에어웨이(Green Africa Airways) 홈페이지
-
2018-10-09미국 로봇개발업체인 아이언옥스(Iron Ox)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산호세에 첫번째 로봇농장을 공개했다. 8000스퀘어피트의 창고에 로봇만으로 채소를 재배하는 농장이다.이 농장에서는 상추, 바질 등을 생산해 레스트랑에 공급한다. 대부분 인간이 손이 많이 가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작물이기 때문에 로봇의 효용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내부의 온도와 빚을 생산하기 위해 전기를 사용하는 다른 온실과는 달리 자연 햇빛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다. 현재는 비용이 많이 들어 생산한 채소를 원가보다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는 중이지만 점차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미국에서 소비되는 채소와 과일의 대부분은 캘리포니아, 애리조자, 멕시코 등에서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대도시에 도착하는 채소는 대개 1주일이 지난 것이다.따라서 신선한 채소를 연중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해 몇 년 이내에 미국 대도시 인근에 로봇농장을 오픈할 예정이다. 아이언옥스는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로봇 스타트업이다.▲아이언옥스(Iron Ox) 로봇(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