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점검 드론"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7-05-31일본 자동차부품업체 덴소(デンソー)에 따르면 2017년 5월 노후화된 교량의 인프라를 점검하는 무인 소형 비행기 ‘드론’의 비행이 공개됐다.드론에 카메라를 탑재해 다리기둥을 촬영해 균열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당사는 자동차부품 이외의 사업을 수익원으로 성장하기 위해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참고로 교량 검사는 일반적으로 전문가가 육안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작업 차량이 닿지 않는 해상의 대형교량은 전국에 수 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덴소 로고
-
일본 도쿄전력홀딩스(東京電力HD)에 따르면 2017년 3월 드론비행 시스템업체인 블루이노베이션과 함께 드론(소형무인기)을 활용한 발전설비의 자동점검 시스템을 공동 개발한다.철탑 및 송전선 등 높은 곳에 있는 설비의 점검을 효율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2018년 4월 실증실험을 거쳐 2019년 실용화할 예정이다.새로운 시스템은 고해상도 카메라 등을 장착한 드론의 비행계획을 자동으로 작성해 자율비행으로 전력설비를 점검할 수 있다. 드론의 비행시간은 10분 정도이다.작업원은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전용 태블렛 단말기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를 축적해 점검기록의 보관 및 비행 정밀도의 향상에 활용할 계획이다.지금까지 송전설비는 작업원이 철탑에 올라가거나 헬리콥터를 활용해 점검했다. 2014년부터 드론의 활용도 채용하고 있지만 조종자의 기술 습득이 필수적이었다.하지만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자동으로 비행계획을 작성하고 자율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력난 해소와 비용 절감에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2017-02-16▲ 일본 항공업체인 전일본공수(ANA) 항공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항공업체인 전일본공수(ANA)에 따르면 2017년 2월 드론을 활용한 여객기의 점검작업을 실험했다. 운항 후 여객기의 손상을 확인하는 외관작업을 드론으로 대체하기 위한 목적이다.ANA는 국제선을 중심으로 노선의 신설과 증편을 진행하고 있다. 검사의 시간 단축 등 운항정비를 효율화할 수 있는 장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실험을 진행한 드론은 전체 길이 57미터의 중형 여객기인 'B787'의 등을 카메라로 촬영하면서 초속 1미터로 자동 비행했다. 모든 부분을 촬영하고 착륙한 것은 약 10분 정도였다. ANA는 이번 촬영 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방법을 확립할 계획이다.현재는 고소 작업차에서 점검하지만 1기당 수십분 이상의 시간이 걸리고 지연과 취소가 발생해 작업의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여객기는 천둥에 의해 상처나 굴곡이 생긴다. 업체는 손상의 정도와 부위를 확인해 운항의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
▲ 일본 전자기기업체인 파나소닉 공장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전자기기업체인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은 2016년 고속도로 등의 교량을 점검하는 산업용 소형무인기 '드론'을 벤처기업과 공동개발했다고 발표했다.육안으로 확인하는 점검에 비해 열화의 징후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단축·비용절감 등 효율성 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
2016-04-12일본 자동차부품업체 덴소는 2016년 노후화된 교량 및 터널의 보수점검에 활용하기 위한 시제품 산업용 드론 ‘UAV HDC01’을 개발했다. 엔진, 에어컨의 제어기능 등의 자동차 부품 기술을 활용해 안정성을 높였다.일반 드론은 상승하는 힘밖에 갖추어지지 않아 하강할 경우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줄여 고도를 낮추는 형식이다. 이에 덴소는 헬리콥터에서 하강 시 사용되는 ‘가변피치기구’를 사용해 드론의 움직임 조절, 바람강한 장소에서 안정적인 비행 등이 가능하다.참고로 국토교통성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전국 70만개 주요다리 중 50년이 지난 교량의 비율은 20%이며 향후 2033년에는 70%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프로토타입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외부전문사업가와 제휴한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UAV HDC01 이미지(출처 : denso)
-
[일본] 자동차부품업체 덴소, 2016년 교량 및 터널의 보수점검에 활용 위한 산업용 드론 ‘프로토타입’ 발표...엔진·에어컨의 제어기능 등 자동차부품기술 활용해 안정적인 성능향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