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9
" 이집트"으로 검색하여,
8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2025년 2월 나이지리아 연방 예술 문화 및 창조 경제부(FMACTCE)의 하나투 무사와(Hannatu Musa Musawa) 장관은 나이지리아 라고스(Lagos)에서 열린 MEDI(Music Economy Development Initiative) 정책 의회에 참석했다. [출처=FMACTCE 엑스(X) 계정]2025년 4월18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나이지리아의 정부 정책과 통계를 포함한다. 이집트 중앙은행(CBE)에 따르면 2025년 4월 주요 금리를 2.25% 인하했다. 국제 경제 불안정성에 의해 4년 만에 금리 인하를 결정했다. 나이지리아 관세청(NCS)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LEXC(Lilypond Export Command)의 NESS(Nigeria Export Supervision Scheme) 매출은 N 71억 나이라로 집계됐다. ◇ 이집트 중앙은행(CBE), 2025년 4월 주요 금리 2.25% 인하이집트 중앙은행(CBE)에 따르면 2025년 4월 주요 금리를 2.25% 인하했다. 국제 경제 불안정성에 의해 4년 만에 금리 인하를 결정했다.주요 금리를 2.25퍼센티지포인트(225베이시스포인트) 인하하며 △콜 예금 금리 25% △콜 대출 금리 26% △주요 운영 금리 25.5로 각각 결정됐다. 대출 금리는 25.5%로 인하됐다. 글로벌 공급사슬망의 혼란과 석유 가격 인하 등 외부 압력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 성장이 불안정하다고 CBE는 판단했다.2024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율은 4.3%로 경제 실적을 주도한 3개 산업은 비석유 제조업과 무역, 관광업으로 조사됐다. 2025년 3월 연간 인플레이션은 13.6%로 식품가가 하락하며 크게 감소했다. ◇ 나이지리아 FMACTCE, 2025년 4월 초콜릿 시티 그룹과 크리에이티브 산업 인프라시설 개발 양해각서(MOU) 체결나이지리아 연방 예술 문화 및 창조 경제부(FMACTCE)에 따르면 2025년 4월 나이지리아 엔터테이먼트 기업인 초콜릿 시티 그룹(Chocolate City Group)과 크리에이티브 산업 인프라시설 개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아프리카 대륙의 문화 수도로 부상하는 것을 목표로 컨텐츠 인프라시설 개발의 가속화와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MOU 기간은 3년이다. 양측은 전국에 공연장을 건설하고 인재 발굴 및 양성, 국내 콘텐츠의 글로벌 배급 파이프라인 확장, 지적재산권 보호 향상에 협업할 계획이다.이번 MOU는 나이지리아 정부의 2030 목표의 연장선으로 2030년까지 글로벌 관광, 투자, 문화 교류의 장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2005년 설립된 초콜릿 시티는 음악 레이블사에서 멀티 엔터테이먼트 기업으로 운영을 확장했다. 국내 음악가인 △페미 쿠티(Femi Kuti) △아이스 프린스(Ice Prince) △블라크본즈(Blaqbonez) 등과 협업했다.나이지리아 관세청(NCS)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LEXC(Lilypond Export Command)의 NESS(Nigeria Export Supervision Scheme) 매출은 N 71억 나이라로 집계됐다.2024년 1분기 매출 70억 나이라와 비교해 근소하게 증가했다. 2025년 1분기의 화물 처리랑은 컨테이너 1만1459개로 2024년 1분기컨테이너 5891개와 비교해 급증했다.농산물과 제조업, 광물 등 다양한 산업 부문의 수출이 증가하며 LEXC의 컨테이너 화물량이 급증한 것으로 판단된다. 2025년 1분기 누적 수출 가격 규모는 US$ 9억8640만 달러로 2024년 1분기 2억3600만 달러와 대비해 318% 급증했다.
-
2025-04-11▲ 아랍에미리트 다국적 물류 기업인 DP 월드(DP World)의 물류 센터 직원의 모습. [출처= DP 월드 홈페이지]2025년 4월1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무역과 통계 등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다국적 물류 기업인 DP 월드(DP World)에 따르면 2025년 4월 인도 정부와 함께 무역 증진 계획인 바랏 아프리카 세투(Bharat Africa Setu)를 개시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엔지니어링 및 광업 기업인 머레이앤로버츠(Murray & Roberts)에 따르면 주요 운영 부문의 상업적 파산으로 인해 운영을 중단할 계획이다. ◇ DP 월드, 2025년 4월 인도 정부와 무역 증진 계획인 바랏 아프리카 세투(Bharat Africa Setu) 개시아랍에미리트 다국적 물류 기업인 DP 월드(DP World)에 따르면 2025년 4월 인도 정부와 함께 무역 증진 계획인 바랏 아프리카 세투(Bharat Africa Setu)를 개시했다.바랏 아프리카 세투는 인도-아프리카의 무역량을 2배로 늘리고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도 정부의 지원을 통해 양 대륙에 위치한 DP 월드의 항만과 경제구역, 로지스틱 허브 등 인프라 시설과 서비스를 연결할 계획이다.플랫폼을 통해 인도 수출업자들은 아프리카 53개국의 판매 지점 26만곳과 연결될 수 있다. DP 월드는 아프리카 대륙 내에 10개 항만과 터미널, 경제 구역 3곳, 물류시설 200곳 이상을 운영하고 있다.◇ 이집트 통계청, 2025년 3월 연간 도심 소비자 가격 인플레이션은 13.6%로 전월 12.8%와 비교해 상승이집트 통계청(CAPMAS)에 따르면 2025년 3월 연간 도심 소비자 가격 인플레이션은 13.6%로 전월 12.8%와 비교해 상승했다.2025년 3월 낮은 수요로 인해 국내 비석유 민간 부문의 인플레이션은 수축했다. 2025년 3월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2포인트로 2025년 2월 50.1포인트와 비교해 하락했다.국내외 신규 수주가 감소하며 기업의 생산량, 구매량, 직원 규모가 감소하며 PMI 지수가 기준선인 50.0포인트보다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머레이앤로버츠, 주요 운영 부문의 상업적 파산으로 운영 중단 계획남아프리카공화국 엔지니어링 및 광업 기업인 머레이앤로버츠(Murray & Roberts)에 따르면 주요 운영 부문의 상업적 파산으로 인해 운영을 중단할 계획이다.2024년 12월 말 기준 하반기 세수 후 손실은 R 6억4600만 랜드로 2024년 6월 말 기준 200만 랜드와 비교해 급증했다.그룹의 주요 운영기업인 MRL(Murray & Roberts Ltd)의 프로젝트 완수를 위한 보증금을 모회사가 보증인들에게 제공하며 생긴 손실이 반영된 것이다.머레이앤로버츠 그룹은 재융자와 비핵심 자산들을 매각하고 영업 자본 시설을 통해 3억5000만 랜드를 유치할 계획이다.
-
▲ 이집트 중앙은행(CBE) 빌딩 [출처=위키피디아]2025년 4월8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의 금융과 정부 정책을 포함한다. 이집트 중앙은행(CBE)에 따르면 2025년 2월 국내 은행 시스템 내의 순 해외 자산 규모는 US$ 101억7000만달러(EGP 5158억5600만이집트파운드)로 집계됐다. 이집트 정부에 따르면 2025년 4월 프랑스 정부와 운송, 의료, 교육 부문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 이집트 중앙은행(CBE), 2025년 2월 국내 은행 시스템 내 순 해외 자산 규모 US$ 101억7000만 달러(EGP 5158억5600만 파운드)로 집계이집트 중앙은행(CBE)에 따르면 2025년 2월 국내 은행 시스템 내의 순 해외 자산 규모는 US$ 101억7000만 달러(EGP 5158억5600만 파운드)로 집계됐다.2025년 1월 87억 달러(4372억6100만 파운드)와 비교해 약 15억 달러 증가했다. 중앙은행과 국내 상업은행을 포함한 은행 산업의 총 해외 자산 규모는 2025년 2월 3조6530억 파운드로 2025년 1월 3조5790억 파운드와 대비해 증가했다.국내 은행 산업의 유동성은 2025년 2월 12조2180억 파운드로 2024년 12월 11조6360억 파운드와 대비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이집트 정부에 따르면 2025년 4월 프랑스 정부와 운송, 의료, 교육 부문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주요 부문의 전략적 파트너십과 유럽연합(EU)의 경제적 지원을 통해 양국의 협업을 강화하고 공동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2023년 프랑스의 이집트 수출 규모는 21억7000만 달러로 주요 수출 품목은 △비행기 기체 △밀 △자동차 등을 포함한다. 이집트의 프랑스 수출 규모는 10억4000만 달러로 주요 수출 품목은 △비료 △가스 등으로 조사됐다.2024년 이집트의 프랑스로 오렌지 수출량은 4만2700톤(t)으로 2023년 대비 26% 증가했다. 2024년 오렌지 수출 매출은 2530만 달러로 감소했다.프랑스 오렌지 수입 시장에서 이집트의 시장 비중은 2024년 9.7%로 2023년 8%와 비교해 상승했다. 이집트는 유럽으로 농산물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
▲ 이집트 중앙은행 빌딩 [출처=위키피디아]2025년 2월2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금융과 정부 정책을 포함한다. 이집트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4년 2월 주요 금리를 변동하지 않고 유지하기로 결정했다.남아프리카공화국 이텍위니 지방자치제(eThekwini Municipality)에 따르면 2025년 2월 소비자 미터기에 물 사용 제한 기계 55만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 이집트 중앙은행, 2024년 2월 주요 금리 변동하지 않고 유지하기로 결정이집트 중앙은행에 따르면 2024년 2월 주요 금리를 변동하지 않고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정부의 보호주의 정책과 지정학적 인플레이션에 의한 불안정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주요 금리에서 △콜 예금 금리(overnight deposit rate) 27.25% △콜 대출 금리(overnight lending rate) 28.25% △주요 운영 금리는 27.75%로 각각 유지하기로 했다.2024년 하반기 이집트의 연간 인플레이션은 2024년 상반기와 비교해 감속이 둔화되며 2025년 1월 24.0%로 안정됐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이텍위니 지방정부, 2025년 2월 소비자 미터기에 물 사용 제한 기계 55만개 설치 계획남아프리카공화국 크와줄루나탈(KwaZulu-Natal) 지방의 이텍위니 지방정부(eThekwini Municipality)에 따르면 2025년 2월 소비자 미터기에 물 사용 제한 기계 55만개를 설치할 계획이다.더반(Durban)시의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물 수요량에 어려움을 겪으며 사용량을 감축해 물 저장량을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정부는 더반시의 폐수 증가량이 증가에 우려를 표하며 2024년 10월 향후 12개월 동안 하루 물 사용량을 8.4%로 감축할 것을 지시했다. 지자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감소 목표치의 15%만 달성했다.2025년 1월 기준 이텍위니 지방정부의 1인당 1일 평균 물 소비량은 298리터로 국제 평균 기준인 173리터와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
▲ 나이지리아 유리 포장 기업인 베타 유리(Beta Glass Plc)의 유리 제조 과정 모습. [출처=베타 유리 홈페이지]2025년 2월7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나이지리아의 기업 경영과 제조업을 포함한다. 이집트 아프리카 벤처 자본기업인 P1 벤처(P1 Ventures LLC)에 따르면 2025년 2월 아프리카 허브의 기술 부문에 US$ 5000만 달러 규모의 기관 기금을 투자할 계획이다.나이지리아 유리 포장 기업인 베타 유리(Beta Glass Plc)에 따르면 2024년 매출은 N 1175억8000만 나이라로 2023년 629억1000만 나이라와 대비해 87% 증가했다. ◇ P1 벤처(P1 Ventures LLC), 2025년 2월 아프리카 허브의 기술 부문에 US$ 5000만달러 규모의 기관 기금 투자 계획이집트 아프리카 벤처 자본기업인 P1 벤처(P1 Ventures LLC)에 따르면 2025년 2월 아프리카 허브의 기술 부문에 US$ 5000만 달러 규모의 기관 기금을 투자할 계획이다.펀드 자금의 약 50%는 북, 서, 중앙아프리카의 프랑스어 국가와 일부 허브 지역에 배정할 계획이다. 나머지 자금은 나이지리아, 이집트, 케냐 등 서아프리카에 투입된다.투자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구축한 데이터 과학 툴과 아프리카 대륙 내 1만개 이상의 기업을 포함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할 방침이다.현재 US$ 6000만 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영하고 있다. 향후 인공지능(AI)과 기업 소프트웨어, 핀테크 스타트업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나이지리아 베타 글라스(Beta Glass), 2024년 매출 N 1175억8000만나이라로 2023년 629억1000만나이라 대비 87% 증가나이지리아 유리 포장 기업인 베타 글라스(Beta Glass)에 따르면 2024년 매출은 N 1175억8000만 나이라로 2023년 629억1000만 나이라와 대비해 87% 증가했다.매출이 증가하며 2024년 세수후이익은 139억6000만 나이라로 2023년 64억4000만 나이라와 비교해 117% 급증했다.매출 상승에도 불구하고 2024년 외환 환율 손실은 20억 나이라로 집계됐다. 2023년 외환 환율로 17억9000만 나이라의 이익을 본 것과 상반된다.배당금은 8억3995만 나이라로 결정했다. 2024년 기준 총자산은 1321억8000만 나이라로 전년 1068억5000만 나이라 대비 상승했다.
-
2025년 1월 현재 인구 1400만 명이 넘는 일본 최대 도시인 도쿄도를 책임지는 지사는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다. 일본 최초의 여성 방위성장을 거쳐 최초의 여성 도쿄도지사로 유명하다.일본은 한국보다 보수적인 국가로 여성에게 유리천장(glass ceiling)이 존재한다. 기혼 여성은 결혼 후에도 직장생활을 유지하는 한국 여성과 달리 퇴사하고 육아와 내조에 전념하는 편이다.국제연합(EU)이 1973년 공식언어로 아랍어를 추가하며 아랍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고이케 유리코는 이집트로 유학을 떠났다. 2024년 4월 일어난 내부고발이 나온 배경과 진행과정을 분석해보자.▲ 일본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의 내부고발 진행 내역 [출처=국가정보전략연구소(iNIS)]◇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후보자의 대학 졸업장 취득 여부 쟁점... 재선 후 3선 도전하며 학력 논쟁 재점화일본의 대표적인 월간 잡지인 문예춘추(文藝春秋)는 2024년 5월호에서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의 학력 문제를 다뤘다. 비슷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주간지인 '주간문춘(週刊文春)도 동일한 내용을 보도했다.고이케 유리코 도지사의 학력 논쟁은 2020년 5월29일부터 제기됐다. 도지사 선거 1개월 전에 발간된 이시이 다에코의 책 '여제 고이케 유리코'라는 책에서 관련 내용을 다뤘기 때문이다.고이케 유리코는 1972년 10월 이집트 국립대학인 카이로대에 입학해 1976년 졸업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졸업장을 공개하지 않았다.이시이 다에코의 책에는 고이케 유리코와 카이로대를 다니며 4년간 동거했던 기타하라 모모요와 인터뷰한 내용이 실려 있다. 기타하라 모모요는 고이케 유리코가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다고 밝혔다.고이케 유리코는 자신의 자서전인 '피라미드를 오른다'에서 1년 동안 유급했지만 4년만에 수석 졸업했다고 공개했다. 유급을 했으면 4년이 아니라 졸업하는데 5년이 걸리는 것이 맞다고 봐야 한다.더불어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의 최측근으로 알려졌던 고지마 도시로 변호사가 2024년 4월 문예춘추와 인터뷰를 통해 관련 사실을 폭로했다. 고지마 도시로 변호사는 도민퍼스트 사무총장을 지냈다.고지마 도시로 변호사는 2020년 6월6일부터 6월10일까지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와 법률 상담을 진행하며 관련 내용을 메모했다고 한다.고이케 유리코가 소속된 정당인 도민퍼스트는 2020년 6월10일 선거 출정식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투표일은 2020년 7월5일이었다.2020년 6월9일 주일 이집트 대사관은 페이스북을 통해 고이케 유리코가 카이로대를 졸업한 것이 맞다는 내용을 게재했다. 관련 내용은 영어와 일본어로 쓰여졌다.고지마 도시로 변호사는 2023년 말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의 다른 측근으로부터 자신이 이집트 대사관이 올린 글을 작성했다는 양심선언을 들었다.고이케 유리코 도지사가 이집트 대사관에 로비를 해서 자신이 제공한 자료를 올리도록 요구했다는 것이다. 이집트 대사관은 기본적으로 아랍어로 작성된 자료는 올리지 않았다.이집트는 1970년대 사다크정부 이후 무바라크정부까지 오랜 기간 동안 졸업장이 아니라 대체증명서(complementary certificate)를 남발했다.유력 정치인, 권력자, 기부자 등에게 부정 졸업증명서인 대체증명서를 발급했다. 국립대인 카이로대와 공립대인 아인샴스대도 유사한 역사를 갖고 있다.어찌되었건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는 2020년 7월 재선에 성공했으며 2024년 7월 3선 고지에 올랐다. 고이케 유리코는 도쿄도지사를 거쳐 일본 총리까지 성장할 잠재력이 풍부하다▲ 일본 도쿄도지사인 고이케 유리코(Koike Yuriko)의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 후진국에서 학력·경력 위조는 확인 자체가 불가능... 황색언론이 시민에 패배한 대표적 사례 일본은 1992년 이후 '잃어버린 30년'이라는 경제불황을 경험하고 있다. 도쿄도지사 관련 내부고발이 주는 사회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첫째, 정치인의 경력이나 학력에 관련된 내부고발은 100% 완벽하게 검증하기 어렵다고 봐야 한다. 특히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와 마찬가지로 후진국과 관련된 경우는 더욱 그렇다.이집트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민족주의 정권이 설립되었으며 독재정치로 정치적 혼란이 오랫동안 유지됐다. 국립대조차도 학적 관리가 허술했고 정부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부정 졸업증명서를 남발했다.카이로대는 졸업생에 대한 기록마처 부실하게 관리했을 뿐 아니라 졸업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요청도 거부했다. 졸업명부를 확인하는 것조차 게을리했다.둘째, 주일 이집트대사관은 유력 정치인인 고이케 유리코의 정치적 요청을 거절하지 못해 국격을 스스로 무너뜨렸다. 직업 외교관의 정치적 판단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실제 고지마 도시로 변호사는 다른 내부인으로부터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가 이집트대사관에 성명을 직접 보내서 흥정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물론 원본 파일을 100% 그대로 수용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졸업장의 발급 여부에 관련 내용은 애매하게 '졸업증서는 카이로대의 정식절차에 따라 발급된다'는 원론적인 표현으로 수정됐다.셋째, 일반 국민은 정치인의 학력이나 경력 등에 대한 언론의 문제제기를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는다. 특히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는 첫 번째 선거에서 압도적인 표차로 당선됐을 뿐 아니라 좋은 성과를 거뒀다,지방자치단체장은 도덕적 검증보다 정책 성과에 따라 재선 여부가 결정된다. 우리나라도 다양한 학력이나 경력 논란에도 성과를 바탕으로 재선이나 3선에 성공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일본 언론은 공익보다 선정성을 보도의 목적으로 삼아 황색언론(Yellow Journalism)이라는 평가를 자주 듣는다. 주간문춘과 문예춘추도 이러한 범주에 포함된다. 국민이 언론 보도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이유다.결론적으로 일본 도쿄도지사 내부고발은 선정성을 미끼로 판매 부수를 늘리려는 언론의 패배이고 시민의 승리로 귀결됐다.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일부 언론보다 빠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대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황색언론이 생존을 위해서 어떤 보도 자세를 갖춰야 하는지 고민할 시점이다. - 계속 -
-
2025-01-02▲ 이집트 중앙은행 빌딩 [출처=위키피디아]2025년 1월2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정부 정책을 포함한다. 이집트 대의원에 따르면 2024년 12월 민간 부문 개발과 경제 다분화 프로그램의 초기 단계 펀드 규모를 US$ 1억3100만 달러로 승인했다.◇ 이집트 대의원, 2024년 12월 민간 부문 개발과 경제 다분화 프로그램 초기 단계 펀드 규모 US$ 1억3100만달러로 승인이집트 대의원에 따르면 2024년 12월 민간 부문 개발과 경제 다분화 프로그램의 초기 단계 펀드 규모를 US$ 1억3100만 달러로 승인했다.아프리카개발은행(AfDB)과 동의된 사항으로 해당 프로그램은 국가 예산으로 지원될 계획이다. 전국 규모의 구조적 개혁 프로그램을 위한 국제 기관과 협동을 활성화하고 민간 부문의 성장도 촉진시킬 것으로 전망된다.투자 환경과 경쟁 구조를 개선해 민간 부문의 투자를 활성화하고 경제 다양화를 비롯해 주요 산업 부문의 녹색 전환을 목표로 정했다.
-
▲ 한화시스템, 이집트에 공급할 K9A1 자주포 사격통제시스템 구성도[출처=한화시스템]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K11 사격지휘장갑차와 K9A1(K9 성능개량형) 자주포의 ‘두뇌’에 해당하는 핵심 시스템 2종을 이집트에 수출한다.2022년 2월 계약체결 후 2023년 사업에 돌입한 K11 사격지휘장갑차 51대 및 K9A1 자주포 216대 물량에 각각 사격지휘체계와 사격통제시스템을 공급한다. 계약 규모는 각각 305억 원, 443억 원이다.K11 사격지휘장갑차는 K9A1 자주포의 사격을 지휘·통제하는 차량으로 한화시스템이 다년간 축적한 지휘통제 기술을 활용해 자체 개발한 시스템이다.1대당 6대의 K9A1 자주포를 담당한다. K11 사격지휘장갑차에 적용되는 사격지휘체계는 핵심 전술통제장치로 K9A1 자주포에 탑재된 사격통제시스템에 표적의 피아식별 및 실시간 위치·방향·속도 등 사격 관련 정보를 전달하고 발사 명령을 하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국내 방산업체가 개발한 사격지휘체계가 해외로 수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통상 폴란드·노르웨이 등 사격지휘장갑차를 수입한 국가들은 국가별 운용 개념 차이 등을 이유로 사격지휘체계를 자국 업체의 제품으로 탑재해왔다.한화시스템은 바다가 인접해 있어 적대적 선박에 대한 해안포 사격 기능이 필수적인 이집트의 현지 환경 및 운용 요구조건 등을 반영해 사격지휘체계를 맞춤 개량한 후 공급할 예정이다.함께 수출되는 K9A1 자주포 사격통제시스템은 K11 사격지휘장갑차로부터 받은 사격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화포를 발사하고자 하는 목표의 미래 위치를 계산하고 예측해 해당 방향으로 화포를 지향·조준하도록 하는 탄도계산 컴퓨터다. 2025년 상반기 초도물량 납품을 시작으로 2028년 12월까지 이집트에 번 계약된 K11 사격지휘체계 및 K9A1 사격통제시스템을 공급할 예정이다.한화시스템은 30여 년간 K2 전차·K21 장갑차·K9 자주포·30mm 차륜형대공포와 같은 다양한 기동·화력·방공무기체계에 자체 개발한 사격통제시스템을 탑재해왔다.사격통제시스템이 중동에 수출되는 것 또한 국내 첫 사례다. 2023년 12월 폴란드에 수출된 K2 전차에도 사격통제시스템을 공급한 바 있다.한화시스템은 "도전적 개발을 통해 중동에 첫 사격지휘체계 수출 물꼬를 트게 돼 기쁘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신규 수출 품목을 확보하고 K-방산 기술력을 알리며 해외 시장 진출을 보다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 2024년 4월 개최된 응오요 어업 문화 축제(Nwonyo International Fishing Festival) 중 카누 퍼레이드의 모습. 이번 행사는 14년 만에 재개된 것이었다. [출처=타라바(Taraba)주정부 엑스(X) 계정] 2024년 12월1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나이지리아의 통계와 정부 정책을 포함한다. 이집트 통계청(CAPMAS)에 따르면 2024년 11월 연간 소비자 가격 인플레이션율은 25.5%로 집계됐다.나이지리아 타라바(Taraba)주정부에 따르면 주내 관광업의 연간 매출 N 30억 나이라 창출을 목표로 정했다.◇ 이집트 통계청(CAPMAS), 2024년 11월 연간 소비자 가격 인플레이션율 25.5% 집계이집트 통계청(CAPMAS)에 따르면 2024년 11월 연간 소비자 가격 인플레이션율은 25.5%로 집계됐다. 2022년 11월 이후 가장 낮았다.2024년 11월 주요 인플레이션율은 0.5% 인상됐다. 식품 가격이 2024년 10월 대비 2.8% 감소하며 그외 부문의 가격 상승을 상쇄한 것으로 판단된다.채소 가격은 12.4% 급락했으며 육류와 가금류 가격은 3% 낮아졌다. 반면 운송 부문 가격은 6.2% 상승했으며 문화 및 오락 서비스 산업 부문은 13.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주요 인플레이션은 2023년 9월 3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2023년 10월 26.5%로 축소했다. 2022년 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며 이집트 국내의 인플레이션은 상승세를 보였다.◇ 나이지리아 타라바(Taraba)주정부, 관광업 연간 매출 N 30억 나이라 창출 목표나이지리아 타라바(Taraba)주정부에 따르면 주내 관광업의 연간 매출 N 30억 나이라 창출을 목표로 정했다. 수입원의 다양화와 주내 관광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주요 문화 및 생태계와 관련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타라바주에서 주최되는 주요 축제로는 응오요 어업 문화 축제(Nwonyo International Fishing Festival)와 페베 문화 축제(Febe Cultural Festival) 등이 있다.주정부는 관광업 전략의 일환으로 지역 내 호텔 투자와 투자자 유치 및 협업 등을 확장할 계획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완화된 이후 관광산업이 회복 중이기 때문이다.
-
▲ 케냐 전력 공급업체인 KenGen(Kenya Electricity Generating Company)의 수력 발전소의 모습. [출처=KenGen 엑스(X) 계정] 2024년 10월3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냐의 정부 정책과 기업 경영 등을 포함한다. 이집트 정부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 다국적 물류 회사인 두바이 포츠 월드(DP World)와 새로운 행정 수도 내의 공공 자유구역(Public free zone)을 개발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케냐 전력 공급업체인 KenGen(Kenya Electricity Generating Company)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회계연도 세수후이익 Sh 68억 실링으로 집계됐다.◇ 이집트 정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포츠 월드(DP World)와 새로운 행정 수도 내 공공 자유구역 개발 양해각서(MoU) 체결이집트 정부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 다국적 물류 회사인 두바이 포츠 월드(DP World)와 새로운 행정 수도 내의 공공자유구역(Public free zone)을 개발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이번 체결은 전자제품, 자동차, 의류, 신발류 등 주요 산업 부문의 인프라 시설을 개발하고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두바이 포츠 월드의 폭넓은 국제 네트워크를 활용해 프로젝트 내의 투자 유치와 무역을 활성화할 계획이다.근시일에 프로젝트를 위한 기술 및 경제성 연구를 시작할 방침이다. 도시 개발 비전에 따라 토지 활용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현대적인 산업 도시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숍라이트(Shoprite), 프랜차이즈 지점 인수 거래가 승인되며 운영 확장에 집중할 방침남아프리카공화국 슈퍼마켓 소매업체인 숍라이트(Shoprite)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지점들에 대한 인수 거래가 승인되며 향후 운영 확장에 집중할 방침이다.남아공 경쟁위원회(Competition Commission)는 숍라이트의 인수 거래 계획을 모두 승인했다. 향후 공공의 우려를 사거나 공정한 시장 경쟁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숍라이트 그룹은 2024년 1분기 동안 지점 68곳을 개점했으며 이중 53곳은 남아공 국내에 위치한다. 향후 새롭게 열릴 지점은 주로 복서(Boxer)와 픽앤페이 의류(Pick n Pay Clothing)의 브랜드에 집중될 계획이다.숍라이트의 국내 프랜차이즈점 인수 계획 목록으로는 △SPAR 카롤리나(SPAR Carolina)와 톱스(TOPS) △SPAR 디에프클루프(SPAR Diepkloof) △반 리베크 공원(Van Riebeeck Park) 픽앤페이 리큐르(Pick ‘n Pay Liquor) △션스 디스카운트 리큐르(Sean’s Discount Liquor) 등을 포함한다.◇ 케냐 전력 공급업체인 KenGen, 2024년 6월말 기준 회계연도 세수후이익 Sh 68억 실링 집계케냐 전력 공급업체인 KenGen(Kenya Electricity Generating Company)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회계연도 세수후이익 Sh 68억 실링으로 집계됐다.전년 동기간 50억 실링과 비교해 35% 급증했다. 지열과 수력 발전소 등 재생에너지 매출이 강세를 보이며 순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금융 수입이 42억 실링으로 2023년 17억 실링 대비 147% 급증하며 운영 수입은 96억 실링으로 증가했다.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