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웨어러블 로봇"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14▲ 하나은행 본점 전경 [출처=하나은행]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에 따르면 2025년 11월13일(목) 오후 하나더넥스트 서초동 라운지에서 시니어 전용 ‘하나더넥스트 웨어러블 로봇 서비스’를 론칭했다.이번 서비스는 대한민국 대표 웨어러블 로봇 기업 엔젤로보틱스와 함께 하나더넥스트의 금융·비금융 통합 라이프케어 생태계를 헬스테크(Health Tech) 영역으로 확장한 첫 프로젝트다.보행 향상을 돕는 ‘의료용 웨어러블 로봇’ 체험과 은퇴 설계·상속/증여 등 금융 상담을 연계해 시니어 맞춤형 금융지원 강화를 목표로 한다. 금융과 헬스테크의 결합을 통한 시니어 맞춤형 라이프 케어 경험을 제공하려는 것이다.이번 신설된 ‘하나더넥스트 웨어러블 로봇 서비스’는 2025년 9월 하나금융그룹이 엔젤로보틱스와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로봇과 금융의 융합을 통한 미래 전략산업 공동 발굴’ 업무협약을 체결 이후 실제 현장에서 구현한 첫 사례다. 하나은행은 이번 ‘하나더넥스트 웨어러블 로봇 서비스’ 론칭에 맞춰 11월13일(목) ‘하나더넥스트 서초동 라운지’에서 회복 치료 목적의 고관절 보조 웨어러블 로봇인 ‘엔젤슈트 H10’을 시니어 손님이 직접 착용·체험하는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했다.이를 통해 일부 대형 병원에서만 이용해 볼 수 있는 고가의 의료 장비를 병원이 아닌 공간에서 전문 물리치료사를 통해 동작 분석 및 맞춤형 운동 피드백 등을 함께 제공받는 기회를 갖게 된다.하나은행은 하나금융그룹의 시니어 특화 브랜드 ‘하나더넥스트(HANA THE NEXT)’ 출범 1주년을 맞아 11월13일(목)을 시작으로 오는 11월20일(목), 11월 27일(목) 총 3회에 걸쳐 체험 이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하나더넥스트 홈페이지(hana1qm.com) 및 ARS 상담 예약
-
2025-10-02▲ 살수 드론 시연 모습 [출처=삼성물산]삼성물산에 따르면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2025년 9월30일(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 3주구 재건축 현장에서 ‘RAEMIAN Robot Week 2025’를 개최하고 주택 건설 로봇 5종을 선보였다. 행사는 삼성물산 김명석 주택 사업본부장(부사장)을 비롯해 로봇 협업사인 서울다이나믹스 이거송 대표이사, 케이티브이워킹드론 김윤철 대표이사, 푸두로보틱스,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 관계자들과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박연규 본부장(전무)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이번 시연에 나선 로봇 5종은 △자율주행 지게차 △자재 이동 로봇 △청소 로봇 △살수용 드론 △웨어러블 로봇으로 주택 건설 현장에서 위험 작업을 줄이고 물류 이동을 효율화하는 등 작업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먼저 서울다이나믹스의 자율주행 지게차와 자재 이동 로봇은 현장에서 작업이 없는 야간에 자재를 자동으로 운반함으로써 주간 작업 공정 간섭을 최소화하고 작업 효율을 높인다.자율주행 지게차는 현장에 야적된 팔레트를 인식해 자재를 지하의 아파트 동별 지정된 장소로 운반한다. 이후 자재 이동 로봇은 분배된 자재를 싣고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탑승해 아파트 호실 내부까지 운반·하역한다.케이티브이워킹드론의 해체 공사 먼지 저감용 살수 드론도 이번 행사에서 선보였다. 이 드론으로 해체 공사 중 작업자 근접 없이 해체 구조물에 살수가 가능하다. 특히 작업 위험도가 높은 고층부에도 살수가 가능해 안전 위험을 낮추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푸두로보틱스의 주차장 청소 로봇은 작업이 없는 야간에 스스로 분진을 제거하고 깨끗한 현장 환경을 유지한다. 주차장 청소 로봇은 올해 초부터 이미 삼성물산 주택 현장에 도입돼 운영 중이며, 이번 행사에서 개선된 모델이 시연됐다.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에서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인 ‘엑스블 숄더(X-ble Shoulder)’는 현장 근로자의 작업 능률을 올리고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및 공업정보화부는 '스마트하드웨어 산업 혁신발전 액션(2016~18)' 발표에서 2018년까지 스마트 하드웨어산업 시장규모가 약 5000억위안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또한 중국제품이 글로벌시장 점유율 약 30%를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위해 첨단스마트하드웨어 제품의 효과적인 공급 확대, 스마트하드웨어 핵심기술혁신 강화, 주요영역 지능화 수준을 향상시키기로 결정했다.첨단 스마트 하드웨어제품을 효과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스마트웨어러블 장비, 스마트 차량장비, 스마트 의료장비, 스마트 서비스로봇, 산업 수준의 스마트 하드웨어장비분야를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중국 정보통신연구원은 2020년 중국소비자의 스마트 하드웨어 매출이 1조위안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선진국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협력과 전력적 M&A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China_NDRC(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_Homepage▲국가발전걔혁위원회 홈페이지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