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외수"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공작기계공업회(日本工作機械工業会) 로고일본공작기계공업회(日本工作機械工業会)에 따르면 2023년 12월 공작기계 수주(속보치)는 1256억7300만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9.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내수는 378억3100만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5%, 외수는 887억4200만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9.7% 각각 줄어들었다.12월 실적은 11월과 비교해 9.2% 증가했지만 12개월 연속으로 전년 실적을 하회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끝났지만 글로벌 공급망 붕괴, 국제유가의 상승, 고물가 등으로 경기회복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2023년 전체 수주액은 1조4860억400만 엔으로 전년 대비 15.5% 감소했다. 상세한 내역은 내수가 4764억100만 엔으로 전년 대비 21.0%, 외수는 1조96억300만 엔으로 전년 대비 12.7% 각각 축소됐다.공작기계 수주는 제조업체의 설비투자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경기 회복의 선행지표로 인식된다. 일본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과 동남아시아인데 중국의 경기 침체가 예상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
2017-12-01카자흐스탄 투자개발부에 따르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해외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식품 수출액은 US$ 20억 달러를 상회하고 있다.특히 아프가니스탄, 아랍에미리트, 이란 등에 대한 육류 및 가금류의 수출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최근 중국으로 식물성기름과 꿀을 수출하기 시작했다.카자흐스탄의 수출규모는 수출국들 중 52위에 위치하는데 현재 113개국 800개가 넘는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지난 5년간 수출의 1/3을 차지하는 비주력산업 수출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드러났다.▲투자개발부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낙농협회(APSPI)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우유생산량은 80.5만 톤으로 지난 3년간 16.5% 감소했다. 젖소의 사육두수도 52만여 마리로 14.17% 줄었다.매년 우유제품 수입량은 300만 톤에 달하지만 내수를 총족하기 위해서는 해외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낙농부문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지만 국가차원의 지원은 거의 없는 상태다.
-
[인도네시아] 정부, 2016년국산 '공작기계' 수출이 해외수입의 10%에 불과해 수입의존도 높다고 평가...현재 관련기업 30개에 근로자 1500명 미만으로 집계돼 타국가 대비 소규모에 속함
-
[일본] 혼다, 2016년 2월 국내 생산량 7.53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18.5% 증가...해외수출용 생산이 확대된 것이 주요인
-
[태국] 산업연맹(FTI), 2016년 2월 자동차 생산량 16.6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7% 감소... 국내판매·해외수출 모두 부진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