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업무용"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12-29일본 정부에 따르면 업무용 드론에 대한 중량규제 완화를 검토 중이다. 재해시 긴급물자 운반과 미래 물류 운송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안전 측면과 안전 보장상의 과제 등을 신중히 검토한 후 규제 대상을 현행 최대 150kg에서 300kg으로 2배 이상 상향할 계획이다.항공기제조사업법의 총 중량 규제를 완화해 운반 효율성이 높은 대형 드론의 간단한 검토만으로 제조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규제 검토안은 2022년 중반 완화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지난 2014년 항공기제조사업법 무인 헬리콥터의 총 중량 규제 대상은 최대 100kg에서 150kg으로 완화한지 7년만에 법을 제정비할 방침이다.현행 규제에 따라 150kg 미만 소형 드론은 사업계획서, 사업개요, 제조 설비능력 등 자료 제출을 할 필요가 없어 산업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다.▲ 화물 드론 물류시설 착륙장(출처 : ESR Cayman)
-
일본 글로벌 전자제조업체인 소니(ソニー)에 따르면 2021년 9월 업무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드론인 'Airpeak S1'을 발매할 계획이다. 디지털 카메라로 보면 α1과 같은 고품질의 드론이다.콘텐츠의 소재를 촬영하는 카메라는 별도이다. FPV에 4분의 1인치 817만화소 CMOS 센서, 주위의 상황을 확인하는 5개의 스테레오 카메라, 장애물 감지용 적외성 AF센서 등도 장착돼 있다.Airpeak S1을 조종하는 프로스틱은 후타바전자제품이 개발했다. 오랜 기간 동안 무선조종기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제조회사이다.시장 판매가격은 100만엔으로 추정된다. 본체의 무게는 배터리를 제외하면 약 3.1kg이고, 카메라를 포함한 전체 무게는 약 7kg이다. 최고 비행속도는 시속 90km, 최대 각속도 초당 180도, 최대 경사각 55도로 비행성능도 우수하다. 고품질의 CM, 영화, 다큐멘타리 작품의 촬영도 가능한 수준이다.▲소니(ソニ?)의 드론인 Airpeak S1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2018-11-21일본 소프트뱅크로봇(ソフトバンクロボティクス)에 따르면 인공지능(AI)을 탑재한 신형 업무용 로봇청소기 위즈(Whiz)의 렌탈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소프트뱅크로봇은 소프트뱅크의 자회사이다.렌탈 서비스는 2019년 2월에 예약을 접수받아 3월부터 개시된다. 1대당 월 2만5000엔, 계약기간은 5년이다. 위드는 높이 65센티미터, 폭 47센티미터, 무게 32킬로그램의 소형 로봇이다.1시간에 최대 500평방미터를 청소할 수 있으며 3시간 연속으로 가동이 가능하다. 처음에 청소경로를 입력하면 인공지능싱 청소경로를 학습하게 된다.사람이나 장애물은 센서를 통해 파악하고 관리자와 스마트폰이나 PC 등으로 통신도 가능하다. 인공지능은 미국 벤처기업 브레인코퍼레이션이 개발했다.▲소프트뱅크의 위즈(Whiz)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일본 복합기업인 소프트뱅크그룹(ソフトバンクグループ)에 따르면 2017년 11월 업무용 청소로봇 사업에 진출할 방침이다.인력난 등을 배경으로 대형 시설의 청소 업무에서도 자동화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상업시설 및 공항에서 도입되고 있는 바닥 세척기를 2018년 여름 일본에서 발매할 계획이다.산하의 펀드를 통해 출자하고 있는 미국 브레인코프사의 바닥 청소기를 소프트뱅크 로보틱스가 판매한다. 자동운전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존보다 적은 인원으로 대형시설 등의 청소가 가능하다.▲소프트뱅크그룹(ソフトバンクグループ) 홈페이지
-
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2017년 1월 미국에 업무용 냉장고를 원격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당사의 원격감시시스템 기술을 활용해 내부온도 및 가동데이터를 클라우드에서 관리하고 결함을 조기에 발견해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다.참고로 당사는 2016년에 인수한 업무용 냉장고업체 Hussmann과 공동으로 미국 사양으로 냉장고를 개량해 향후 2019년을 목표로 발매를 시작할 계획이다.▲파나소닉 홈페이지
-
일본 업무용조리기기개발업체 코스모바이탈(コスモバイタル)에 따르면 2017년 1월 첨가제를 넣지 않은 100% 쌀가루 빵을 개발했다.당사는 가열조리기를 활용해 쌀가루를 건조시켜 사용했으며 빵전용 발효기를 독자적으로 개발해 실현시킨 것이다.최근 밀가루 알레르기 환자 수가 늘어나고 있어 식품업체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당사는 올해 4월부터 발매할 예정이다.▲코스모바이탈 홈페이지
-
2016-12-14일본 리퍼인버스(リファインバース)에 따르면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사업으로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 업무용 카페트의 재활용을 주로 처리한다.리모델링을 하는 업체로부터 폐카페트를 수거해 재생수지를 만든다. 폐수지를 수거하면서 업체로부터 수거비용을 받으며 재활용한 수지도 판매해 이중으로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현재 2020년 도쿄올림픽을 대비해 시내에서 리모델링공사가 활발해지면 폐카페트가 늘어나고 있다. 2003년 스미토모상사, 스미노에직물 등이 출자해 설립했으며 2017년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리퍼인버스(リファインバース) 홈페이지
-
일본 파나소닉(Panasonic)은 인도네시아 업무용 에어컨 시장의 점유율을 2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2016년 3월 업무용 에어컨 판매를 시작해 대형에어컨 등의 라인업과 체제 구축에 주력하는 중이다.현재 가정용 에어컨의 판매 점유율은 23%로 1위를 달리고 있지만 업무용 에어컨의 점유율은 10%에도 못미쳐 점유율 확대에 주력하는 것이다.
-
일본 아사히맥주(アサヒビール)는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탁상용 소형 맥주서버 ‘파티서버’의 대여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고객에게 생맥주를 따르는 즐거움을 선사해주는 동시에 진공 단열구조로 생맥주의 차가움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감소추세에 있는 업무용 맥주시장의 소비향상을 목적으로 한다.▲파티서버 이미지(출처 : 아사히맥주)
-
일본 다이닛폰인쇄(大日本印刷)는 2016년 10월부터 유기 EL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대형 업무용 디지털간판을 발매한다고 발표했다.LG전자가 생산하는 곡면형 유기 EL디스플레이를 사용한 것으로 국내 대형 상업시설, 대중교통, 사무실입구 등에 도입해 새로운 공간 연출을 실현한다.당사는 간판의 판매 및 설치시공에 맞게 영상콘텐츠와 전달시스템을 제공해 2019년까지 매출액 20억 엔(약 219억 원)을 목표로 한다.참고로 다이닛폰인쇄는 도쿄에 위치한 빌딩쇼룸에 약 225인치 곡면형 유기 EL디스플레이를 도입했다.▲곡면형 유기 EL디스플레이(출처 : DNP)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