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시네마"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11▲ 업종별 문화소비쿠폰 효과 [출처=신한카드]신한카드(사장 박창훈)에 따르면 빅데이터연구소가 정부의 문화소비쿠폰 지급 이후 업종별로 고객들의 이용 행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영화, 미술전시 및 공연예술, 숙박 등 전 업종에서 이용이 크게 증가하는 유의미한 성과를 확인했다.문화소비쿠폰은 정부가 국내 문화소비 진작을 위해 영화, 전시, 공연, 숙박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2025년 7~8월 배포한 할인 쿠폰이다.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 분석 결과 모든 업종에서 공통적으로 쿠폰 사용 직전 주 대비 사용 첫 주의 이용 증가가 두드러졌다.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 폭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여 쿠폰 사용에 따른 소비 증대 효과는 첫 주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문화생활 유형별로 이용이 크게 증가한 고객층의 성별과 연령대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먼저 영화 쿠폰의 경우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씨네큐 등 영화 예매처 4곳의 쿠폰 사용 첫 주(7월25일~7월31일)의 전주 대비 이용 건수는 85퍼센트(%), 이용 금액은 42% 늘어났다.반면 1건당 금액은 전주 대비 23% 감소했는데 이는 쿠폰 사용으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영화를 관람한 이용객이 평소보다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성별 및 연령대별 쿠폰 사용 전주 대비 이용 건수 증가율은 40대 여성이 121.3%, 30대 여성이 108.3%를 기록해 3040 여성의 이용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다음으로 미술전시 및 공연예술 분야에서 티켓링크, 멜론티켓, 타임티켓, 예스24, NOL 등 온라인 예매처 5곳의 쿠폰 사용 첫 주(8월8일~8월14일)의 전주 대비 이용 건수는 7%, 이용 금액은 6% 각각 증가했다.1건당 금액은 전주 대비 3% 감소해 영화 쿠폰과 마찬가지로 많은 이용객들이 쿠폰 사용에 따른 할인 혜택으로 티켓 구매에 대한 부담을 덜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성별 및 연령대별 쿠폰 사용 전주 대비 이용 건수 증가율은 20대 여성이 20%, 30대 여성이 16%로 2030 여성의 이용 증가가 두드
-
2025-05-02▲ KT&G 상상마당, ‘제17회 대단한 단편영화제’ 출품작 공모 [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2025년 5월31일(토)까지 ‘제17회 대단한 단편영화제’의 출품작을 공개 모집한다.‘대단한 단편영화제’는 KT&G 상상마당이 2007년부터 국내 유수의 단편영화 발굴 및 지원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문화공헌 프로그램이다.이번 공모 대상작은 20분 미만 단편영화이며 예심을 통과한 작품들은 9월3일부터 8일까지 KT&G 상상마당 시네마에서 상영된다. 같은 기간 관객 평가와 전문위원들의 심사를 통해 우수 작품에 대한 시상도 진행된다.또한 2024년에 이어 올해에도 우수한 단편 시나리오 발굴 위한 ‘제작지원 프로젝트’가 운영될 예정이다. 선정된 우수 시나리오에 대해서는 제작지원금 1000만 원이 지급된다.대단한 단편영화제 참가 신청 및 프로그램에 관한 세부사항 확인은 KT&G 상상마당 홈페이지(www.sangsangmadang.com)에서 할 수 있다.한편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한 KT&G 상상마당은 신진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다채로운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KT&G 상상마당은 2005년 온라인 커뮤니티를 시작으로 홍대·논산·춘천·대치·부산에 이르기까지 총 5곳의 오프라인 복합문화공간을 운영하고 있다.신진 아티스트 지원과 지역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는 등 대중 문화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상상마당의 연간 방문객은 약 320만 명이며, 매년 3000여 개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KT&G 문화공헌부 나창현 시네마담당 파트장은 “‘대단한 단편영화제’는 18년 간 감독상, 배우상 등 총 57개 부분에서 수상자를 배출하며 신진 감독과 배우들의 등용문이 되어왔다”며 “올해에도 역량 있
-
▲ 삼성전자 모델,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영화 산업 박람회 ‘시네마콘(CinemaCon) 2025’에서 시네마 LED 스크린 ‘오닉스(Onyx, 모델명: ICD)’ 신제품 소개[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3월31일(현지시간)부터 4월3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영화 산업 박람회 ‘시네마콘(CinemaCon) 2025’에서 시네마 LED 스크린 ‘오닉스(Onyx, 모델명: ICD)’ 신제품을 공개했다.오닉스는 삼성전자가 2017년 세계 최초로 선보인 극장 전용 시네마 LED 스크린으로 뛰어난 화질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시네마 경험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다.영사기가 아닌 영화 스크린으로는 세계 최초로 디지털 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로부터 화질, 음질, 콘텐츠 보안 기능 등에 대해 정립한 디지털 시네마 표준 규격 인증을 받았다.삼성전자는 시네마콘 2025에서 최신 시네마 디스플레이 기술을 탑재한 오닉스를 비롯해 삼성 컬러 이페이퍼 등 혁신 디스플레이와 함께하는 극장의 미래를 제시했다.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정훈 부사장은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시네마 LED 스크린을 선보인 이후 시네마 산업도 기존 방식을 뛰어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해가고 있다”며 “오닉스는 극장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극강의 몰입감을 지향하는 시네마 스크린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더 밝게, 더 선명하게, 더 몰입감 있게… 역대급 시네마 경험 선사시네마 LED 오닉스는 △압도적인 화질 △스크린 확장성 △다양한 미디어 서버 호환성 등에서 한 차원 더 진화했다.이번 신제품은 △4K 해상도(4096 x 2160) △최대 4K 120Hz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DCI-P3 100%의 정확한 색상 △압도적인 명암비와 깊은 블랙감 등이 특징이다.크기는 가로 길이 기준 △
-
▲ 투썸플레이스, 코엑스 케이팝스퀘어에서 초대형 ‘스초생’ 케이크 3D 광고 공개 [출처=투썸플레이스]프리미엄 디저트 카페 투썸플레이스(대표이사 문영주)에 따르면 겨울 시즌 대표 케이크 ‘스초생’을 주제로 코엑스 ‘케이팝스퀘어’에서 초대형 3D 광고를 선보인다.본격적인 홀리데이 시즌이 시작되는 12월을 맞아 12월 한 달간 코엑스 케이팝스퀘어에 ‘스초생’과 3D 광고를 게시한다.일명 ‘한국판 타임스퀘어’로 불리는 코엑스 케이팝스퀘어는 유동 인구만 400만 명 이상인 강남구 삼성동 상권에 위치한 국내 최대 크기의 옥외광고 매체다.이번 옥외광고는 잘 익은 딸기가 가득 올려진 ‘스초생’이 쇼케이스에서 고객에서 다가가는 듯한 입체적이고 실감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이번 홀리데이 시즌, 투썸플레이스는 스초생과 신제품 ‘화이트 스초생’을 필두로 대대적인 마케팅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특히 배우 고민시와 함께한 ‘스초생은 겨울이 제철’ TV CF는 독보적인 영상미와 시네마틱한 연출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지에서 큰 화제가 되며 시즌 케이크 광고의 틀을 깬 독창적인 ‘광고 맛집’의 위세를 보여주고 있다.모델 고민시가 서리가 낀 케이크 쇼케이스를 닦아내면 쇼케이스 안에서 먹음직스러운 ‘스초생’이 모습을 드러내며 고객에게 다가간다.이어 하얀 눈이 내리는 겨울밤을 배경으로 시즌 한정 신제품인 ‘화이트 스초생’이 스크린을 가득 채우며 ‘스초생’과 ‘화이트 스초생’의 특징을 상징적이면서 강력하게 전달한다.투썸플레이스는 코엑스 케이팝스퀘어뿐만 아니라 삼성역 코엑스 주요 옥외광고를 통해 기존 광고의 2배 길이인 30초 광고를 최초 공개하며 영화 같은 광고의 독창성을 다시 한번 입증한다.투썸플레이스는 겨울 시즌 대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