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7-23▲ 디지털 바우처 플랫폼 체계[출처: 한국은행]블록체인 핀테크 전문기업 수호아이오(대표 박지수)는 2024년 7월23일 ‘2024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확산사업’의 일환인 한국은행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이번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주관하며 CBDC 기반 디지털 바우처 관리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한국은행은 CBDC 활용성 테스트 사업은 새로운 디지털 화폐 인프라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 CBDC의 실제 활용 사례를 테스트하기 때문이다.테스트 사업의 목표는 예금토큰을 통해 바우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기존 바우처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다. 수호아이오는 자사가 보유한 고급 블록체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스마트계약의 생성, 검증, 배포를 전담하는 종합 관리 솔루션을 한국은행에 공급할 예정이다.2019년 설립 이후 디지털 컴플라이언스 전문 기업으로서 ‘ODIN’ 등의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계약 검증 분야에서 역량을 인정받았다.수호아이오는 블록체인 기반의 유연한 시스템 구현을 통해 파편화된 기존 바우처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디지털 바우처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박지수 수호아이오 대표는 “수호아이오의 솔루션은 디지털 바우처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높일 것이다”고 강조했다. 참고로 수호아이오(SOOHO.IO Inc.)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디지털 자산 상호운용 솔루션을 개발하는 핀테크 기업이다.자체 개발한 크로스체인 프로토콜과 첨단 보안 기술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금융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 왔다. 주요 제품은 상호운용 플랫폼 ‘터치스톤(Touchstone)’ 등이 있다.
-
2022-06-17나이지리아증권거래소(NGX)에 따르면 2023년 거래 결제에 블록체인을 도입하고 블록체인이 가능한 거래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자본시장을 활성화하고 젊은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함이다. 2023년까지 국가 감시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는 것을 목표로 기술 회사와 제휴할 예정이다. 금융 자산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블록체인 기술을 선정했다. 금융 시장애 혁신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젊은 투자자들은 나이지리아 국내 암호화폐 사용자들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거래 플랫폼이 유리할 것으로 분석된다.실례로 2021년 이동통신사인 MTN 그룹(MTN Group) 나이지리아 법인이 발행한 첫 전자주식은 1.2배 초과 청약됐다. 투자자의 85%가 40세 미만이었다.▲나이지리아증권거래소(NGX) 홈페이지
-
미국 링크다오(LinksDAO)에 따르면 2022년 1월 8일 토요일 48시간 동안 9090개의 NFT 컬렉션을 판매해 $US 104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NFT는 6363개의 레저 멤버심 NFT가 각각 0.18이더(약 $US 674달러), 2727개의 글로벌 멤버십 NFT는 각각 0.72이더(2699달러)에 판매됐다.NFT 구매자는 거버넌스 권한, 이벤트, 기타 상품에 대한 접근 등 특전을 받는다. 다만 미래 구매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인 실제 골프 코스나 컨트리 클럽에 대한 투자자 회원 자격은 부여되지 않는다. NFT 보유자가 멤버십 회원이 되면 구매가 가능하다. 링크다오는 다중 서명이 있는 Gnosis Safe 플랫폼에 NFT 판매 대금을 보관하고 있으며 인출 및 송금을 위해서는 여러 명의 서명이 필요하다. 링크다오는 현재 두다스(Dudas), 데일리(Daily), 매든(Maddern) 등 다중 서명에 포함된 8명 중 3명이 필요하다.NFT 발행 3주전 마이크(Mike Dudas)가 골프 매니아를 위한 분산된 자율조직을 만들었으며 골프 코스를 구입하기 위한 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추진했다.투자받은 자금은 실제 골프 코스를 구매하는데 사용하는게 아니라 운영 비용, 법률 비용 등을 충당하는데 사용할 계획이다. 탈중앙화 자율조직 DAO는 기업인 듯 기업이 아닌 조직으로 기업처럼 이익을 추구하나 사전 계약에 따라 다양한 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은 참가자들과 분배하는 방식으로 최근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DAO는 한 개인이나 단체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 블록체인 기반 집합체이다. 스마트 계약에 규칙이나 거버넌스 등이 코딩돼 있으며 DAO 회원의 투표없이 변경이 불가능하다.▲링크다오(LinksDAO) 홈페이지
-
영국 글로벌 회계법인 PwC에 따르면 2021년 미국 지분 증명 블록체인 플랫폼 테조스(Tezos)의 에너지 효율성이 70%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이는 연간 테조스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비량이 단지 17명이 사용하는 것과 같다. 탄소발자국 감소 및 에너지 소비 감소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성이 크게 개선됐다.테조스 블록체인은 5000만건의 거래를 기록해 네트워크 활동이 증가했으나 탄소 배출량은 크게 감소했다. 네트워크의 각 트랜잭션당 에너지 효율성을 70% 증가시켰다. 트랜잭션당 예상 전력 요구량은 2020년 대비 30% 줄어들었다. 테조스 네트워크의 연간 에너지 추정 소비량은 0.001테라와트시(TWh)로 비트코인(BTC) 130TWh 대비 13만대, 이더리움(ETH) 26TWh 대비 2만6000배 효율이 높다. 테조스는 거래당 2.5g의 CO2를 소비한다.▲ 테조스(Tezos) 홈페이지
-
2021-12-09미국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웨일맵(Whalemap)에 따르면 블록체인 데이터 단순화를 위해 $US 160만 달러를 모금했다. Shima Capital, Momentum6 주관으로 Anthony Pompliano, Ghaf Capital, NFT Technologies, RR2 Capital, EIV Ventures, Coin98, Claystack, Solstarter, Rarestone 등이 참여했다.웨일맵은 전통적으로 헤지 펀드만이 사용하는 데이터와 통찰력을 블록체인에서도 데이터 과학을 활용한다. 실시간 실행 가능한 거래 통찰력을 사용자들에게 전달한다. 2020년 초 설립된 웨일맵은 초보자들에게 블록체인 산업이 흥미롭고 재미있고 유용하도록 노력한다. 사용자는 3만4000명 이상으로 100만개 이상의 평생 API 요청을 확보하고 있다.▲ 웨일맵(Whalemap) 홈페이지
-
2021-12-08미국 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에 따르면 2021년 NFT(non-fungible token) 시장 규모가 $US 270억달러로 성장했다.NFT는 이더리움과 같은 블록체인에 연결된 고유한 데이터의 소유권을 보유하는 암호화 자산 제품군이다. 디지털 수집품, 예술 작품, 음악, 비디오 게임 아이템, 가상현실 플랫폼의 부동산, 콘서트 티켓 등으로 포장할 수 있다.대부분의 NFT는 이베이(Ebay)와 예술품 경매소 간 온라인 하이브리드 역할을 하는 전문적인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 거래된다. 분산 거래소나 기타 P2P 암호화 거래 플랫폼과 유사한 대부분의 NFT 마켓플레이스는 고객을 위한 NFT를 직접 소유하고 있지는 않다.서로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이중 가장 큰 플랫폼 Open Sea의 2021년 12월 초까지 유입된 금액이 160억달러에 달한다. ▲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 홈페이지
-
싱가포르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인 후오비(Huobi Technology)에 따르면 2025년 글로벌 블록체인 기술 시장 규모가 $US 397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2020년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 규모인 30억달러 대비 13배 이상 확대가 예상된다. 2030년까지 블록체인 기술로 인해 금융, 민간, 의료, 소매 부분에 이르기까지 약 3조1000억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2013년 글로벌 코인은 66개, 이용자는 89만명이었지만 2021년 글로벌 코인은 6000개, 이용자는 7700만명을 초과했다.향후 블록체인 기술의 규제, 보안, 가격 안정성, 위험관리 등이 시장 수요를 견인하고 디지털 자산의 주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후오비(Huobi Technology) 홈페이지
-
2021-06-15이탈리아 맥주 브랜드인 비라 페로니(Birra Peroni)에 따르면 공급망 일괄 추적을 위해 EY의 블록체인 플랫폼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공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언스트앤영(EY)의 옵스체인(opschain) 추적 기능을 사용할 예정이다. 각 배치(batch)는 고유한 디지털 소유권 인증서인 대체 불가능 토큰(NFT)을 가지게 된다. 각 NFT는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디지털 원장은 중앙에 보관되지 않고 여러 사용자에게 분산된다. 각 트랜잭션을 통해 변조를 방지하도록 타임 스탬프 및 암호화된다. NFT는 물리적·가상 상품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하고 '토큰화'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를 위한 추적 도구로도 배치되고 있다. 즉, 소비자는 블록체인 파일럿을 실행해 포장에 있는 QR 코드를 통해 보리 공급망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공급망 추적은 미국의 버드와이저( Budweiser) 및 벨기에의 스텔라 아르투아(tella Artois)에서도 실행되고 있다. 향후에는 더욱 더 많은 브랜드에서 활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라 페로니(Birra Peroni)의 로고(출처 : 홈페이지)
-
2020-07-31이스라엘 텔아비브증권거래소(TASE)에 따르면 중앙 블록체인 증권 대출 플랫폼(Central Blockchain Securities Lending Platform)을 출시할 계획이다. 현재 증권 대출은 뱅킹그룹 한도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개발된 플랫폼은 2020년 11월 2일부터 자본 시장의 모든 주요 금융 상품에 대해 직접 대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플랫폼을 활용하게 되면 모든 주요 금융 상품 간에 직접 대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스라엘의 증권 대출 시장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플랫폼은 모든 증권 대출에 대한 원스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P2P(Peer-to-peer) 트랜잭션, 스마트 계약 및 보안 강화와 같은 블록 체인의 주요 장점과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이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은 새로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상품시장 거래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Israel-TASE-Blockchain▲ 텔아비브증권거래소(TASE)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0-07-24중국 블록체인 기술기업인 앤트그룹(蚂蚁金服)에 따르면 고속 블록체인용 플랫폼인 앤트체인(AntChain) 및 올인원(All-in-One) 워크스테이션인 앤트체인 스테이션(AntChain Station)을 개발했다.2015년부터 앤트그룹은 블록체인 기술의 연구 및 개발에 크게 투자하여 투명성을 강화하고 신뢰를 구축해왔다. 매일 10억 명의 사용자 계정과 10억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고 지원할 수 있다.또한 1일 평균 1억 개가 넘는 디지털 자산이 앤트체인에 업로드된다. 또한 앤트체인 스테이션은 회사의 블록체인 기반 솔루션의 배포 시간을 최대 90% 단축할 수 있다.즉 엔터프라이즈 클라이언트는 1시간 이내에 앤트체인을 설정할 수 있다. 이전 평균 설정 시간인 10시간보다 현저히 짧은 것이다. 이러한 단축은 개인 정보보호 계산 및 강화된 보안 알고리즘을 위한 하드웨어 암호화 가속 때문이다.이와 같이 앤트체인 스테이션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클라이언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신속하게 배포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지난 3년 동안 앤트그룹은 블록체인 특허 출원에서 세계 1위로 부상했다. ▲ China-AntGroup-Blockchain▲ 앤트그룹(Ant Group) 홍보자료(출처: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