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발전용"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30▲ 국내 최초·최대 규모 ‘LNG 발전용 CO₂ 포집’ 실증플랜트 준공식(왼쪽에서 8번째 문일주 한전 기술혁신본부장, 9번째 안승대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 [출처=한국전력]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4월29일(화) 울산광역시 한국동서발전 울산 발전본부에서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인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1MW(메가와트) 습식 이산화탄소(CO2) 포집 플랜트’ 준공식을 개최했다.행사에는 울산광역시, 한국동서발전, 한국전력기술 및 현대 중공업 파워시스템 등 관련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한전은 LNG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CO₂ 포집 기술을 실증하며 LNG 발전의 친환경 전환에 한 걸음 다가섰다.CO₂ 포집 기술은 발전소 배출가스 중 CO₂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해 제거하는 기술로, 탄소중립 달성에 필수적이다. 또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석탄화력발전의 LNG 전환이 추진되면서 이 기술의 적용 범위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하지만 LNG 발전소의 배기가스에는 CO₂농도가 석탄화력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낮아 포집 비용이 높고 산소 농도가 높아서 기존 포집 기술의 적용이 어려웠다. 이에 한전은 LNG 발전 맞춤형 CO₂ 흡수제를 개발해 포집 효율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왔다.이번 설비는 연간 약 3000톤(t)의 CO₂를 90퍼센트(%) 이상 효율로 포집할 수 있는 규모로 구축됐다.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 아래 한전이 주관하고 5개 발전사 및 대학, 기업이 공동 참여했다.▲ 국내 최초·최대 규모 ‘LNG 발전용 CO₂ 포집’ 실증플랜트 설비견학(왼쪽에서 2번째 안승대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 3번째 문일주 한전 기술혁신본부장) [출처=한국전력]한전은 LNG 발전 CO2 포집용 흡수제 개발과 공정 설계를 수행했다. 한국전력기술은 포집 플랜트 기본설계, 현대 중공업 파워시스템은 EPC(설계·조달·시공)를 담당했다.이번 사업의 목표는 1MW급 파일럿 설비를 복합화력과 연계해 포집 효율 90%, 순도 99.9% 이상의 CO₂ 포집을 연속 1000시간 이상 달성하는 것이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연간 약 50만 톤 CO₂ 포집이 가능한 상용 플랜트의 기본설계 또한 확보할 예정이다.해당 설비는 2024년 11월 시험 운전에 착수해 현재 CO₂ 포집 및 압축 액화 연계 운전 시험을 진행 중이다. 향후 포집된 CO₂는 산업계에 공급되거나 연구 설비에 활용돼 부가가치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문일주 한전 기술 혁신본부장은 “이번 실증설비는 가스 발전 온실가스 저감의 핵심 인프라로, 2050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며 “한전이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2025-01-15▲ 두산에너빌리티 로고[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국방과학연구소(소장 이건완, ADD)와 ‘연소기 및 시험 리그 제작’ 과제 계약을 체결했다.이번 계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방과학연구소가 ‘미래도전 국방기술’로 개발 중인 고온화 연소기 개발의 일환인 고온화 연소기 시제작 및 리그 시험을 지원하게 된다. 과제는 2027년 4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리그(Rig)는 개발된 엔진 구성품 단위의 성능을 시험하고 검증하기 위해 구성품이 장착된 엔진 형상을 모사해 안정적으로 시험이 진행되도록 만든 장치 및 구조물이다.항공엔진 연소기는 개발 과정에서 많은 리그 시험을 거치기 때문에 통상 엔진체계 개발보다 선행해 제작 및 시험이 이뤄진다.국방과학연구소와 두산에너빌리티는 과제를 통해 우수한 성능과 신뢰성을 가진 최적의 연소기를 개발해 항공기를 운용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연소기 리그 시험을 수행할 계획이다.두산에너빌리티는 본 과제의 연소기 시제작을 위해 발전용 가스터빈 분야에서 축적한 고온 부품 관련 첨단 기술을 대거 적용할 예정이다.고객 요구 및 다양한 설계변수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첨단의 적층제조(AM, Additive Manufacturing) 기법을 활용한 제작 기술을 우선 적용한다.아울러 발전용 가스터빈 분야에서 축적된 TBC 기술, 시험리그 설계, 제작 기술 노하우를 접목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본 과제의 선행과제 성격인 ‘엔진 레이아웃 설계와 해석 용역’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두산에너빌리티는 본 연소기 시험이 진행될 국방과학연구소 시험장의 설비개선 공사를 수행 중이다. 과제 간 연계를 통해 항공엔진 개발 완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두산에너빌리티 손승우 파워서비스BG장은 “이번 과제 수주는 두산에너빌리티가 항공엔진 연소기 제작 및 시험분야에서도 뛰어난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발전용 가스터빈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첨단제조기술과 시험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항공용 가스터빈 개발에 일조하겠다”고 강조했다.
-
▲ 2019년 9월 두산에너빌리티 직원들이 가스터빈 초도호기 최종조립을 위해 로터 블레이드를 케이싱에 설치하고 있다[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한국남부발전과 신인천복합화력 가스터빈 8기에 대한 케이싱(Casing) 교체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국내 중소 협력사들과 손잡고 연간 1조 원 이상으로 전망되는 7F 가스터빈 서비스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기존 로터, 고온부품 공급에 이어 이번 케이싱 교체공사까지 수주하며 가스터빈 서비스 사업에 필요한 3대 핵심 역량을 모두 인정받았다.케이싱은 고온, 고압, 고속으로 운전하는 가스터빈의 덮개 역할을 하는 기기로 제작은 물론 설치 시 고난이도 기술력이 필요하다. 그 동안 해외 가스터빈 원제작사들이 주로 수행해왔던 이유다.두산에너빌리티는 경쟁입찰을 통해 이번 대규모 케이싱 교체공사를 따내며 가스터빈 서비스 사업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게 됐다.가스터빈 서비스 사업은 장기간 안정적인 매출과 기저수익을 담보하는 리커링(Recurring) 비즈니스로 기업의 안정적인 사업 운영에 기여한다.이번 케이싱 교체공사에 요구되는 설계, 소재 제작 및 가공, 설치 등 전 과정을 13개 국내 중소기업들과 수행하며 관련 기술을 100% 국산화 할 계획이다.이미 17개 국내 중소기업들과 협력해 로터 수명연장, 고온부품 공급 등 가스터빈 서비스 핵심 기술을 국산화했다.이번에 수주한 모델은 해외 제작사의 7F(150MW급) 가스터빈이다. 7F 가스터빈은 전 세계에 900기 이상 공급됐으며 이 중 650기 이상이 미국에서 운전되고 있다.미국 휴스턴에 가스터빈 서비스 전문 자회사 DTS(Doosan Turbomachinery Services)를 보유한 두산에너빌리티는 DTS를 활용해 국내 중소기업들과 미국 등 글로벌 가스터빈 서비스 시장 진출을 추진할 방침이다.두산에너빌리티 손승우 파워서비스BG장은 “이번 계약은 국내 중소 협력사들과 함께 가스터빈 서비스 사업의 핵심 기술들을 100% 국산화한다는 의미가 있다. 국내 실적을 바탕으로 연간 1조 원 이상으로 전망되는 미국 등 글로벌 7F 가스터빈 서비스 시장 진출도 국내 기업들과 함께 적극 추진해 보겠다”고 밝혔다.
-
2022-04-06나이지리아 복합대기업인 트랜스코프(Transcorp)에 따르면 2021년 세후이익은 전년 대비 1640.6% 급증해 N280억나이라로 집계됐다. 2021년 6월 트랜스코프는 자회사인 트랜스코프 에너지(Transcorp Energy)를 통해 발전용 원전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발전용 원전 개발 사업은 정부로부터 966메가와트급 발전단지인 어팸(Afam Power Plc & Afam III Fast Power Limited)을 1050억나이라로 완전 매입한 지 7개월 만에 시작했다.어팸 발전단지를 공정 시장가치보다 낮은 가격으로 인수함으로써 헐값 매입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사업을 검토 중인 기간 동안 트랜스코프는 45억나이라의 이익이 발생했다.2021년 매출 역시 전년 대비 42.6% 증가해 1112억나이라를 기록했다. 매출 증가의 주요인은 전력 사업과 접객업 운영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트랜스코프(Transcorp) 홈페이지
-
2021-12-08나이지리아 전력회사인 젠코스(GenCos)에 따르면 2013년~2021년까지 지난 8년간 국내 평균 미활용 발전량은 29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2013년 국내 평균 미활용 발전량은 1030.80MW에서 2021년 최근까지 3008.18MW까지 확대된 것이다. 민영화 8년 동안 가정과 기업 등 소비자에게 전기를 송배전하기 위한 적절한 투자가 이뤄지지 않았음을 나타낸다.이와 같은 현상은 경제 및 기타 활동을 분야별로 활성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었던 국가의 실질적인 역량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의미이다.특히 가용 발전용량이 5000MW를 넘었지만 100% 송장 결제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조사 자료에 따라 미활용 전력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도 제한된 것이다.2021년 세계은행(World Bank)의 기준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인구의 43%에 해당하는 8500만명이 전력을 공급받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나이지리아 전력산업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규제를 철폐해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막대한 고정 비용을 줄여야 한다. 또한 국영전력공사는 발전용량을 확대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젠코스(GenCos) 홈페이지
-
2021-04-22일본 미츠비시파워(三菱パワー)에 따르면 수소를 연료로 하는 화력발전용 가스터빈을 개발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실질 제로로 하는 탄소중립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이다.회사는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출력 10만kW급 이상의 가스 터빈을 개발했다. 미국 제너릭 일렉트릭, 독일의 지멘스 등과 경쟁하고 있다.2018년 천연가스에 30%의 수소를 혼합해 연소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하는 화력발전소로부터 많은 문의가 오고 있다.▲미츠비시파워(三菱パワ?) 로고
-
2021-02-12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Petroliam Nasional Bhd)에 따르면 일본 JERA와 공동으로 발전용 암모니아를 생산할 계획이다.수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의 배출없이 암모니아를 제조한다는 구상이다. 공장 입지와 제조용량은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일반적으로 암모니아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 생산한다. 일본 JERA는 도쿄전력과 주부전력이 공동으로 설입한 조인트 벤처로 양사는 전체 일본 국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10%만 점유하고 있다.2040년대까지 암모니아로 화력발전소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 참고로 페트로나스는 2050년까지 탄소제로 배출목표를 정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페트로나스(Petroliam Nasional Bhd) 천연가스 플랜트(출처 : 홈페이지)
-
2021-02-12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Petroliam Nasional Bhd)에 따르면 일본 JERA와 공동으로 발전용 암모니아를 생산할 계획이다.수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의 배출없이 암모니아를 제조한다는 구상이다. 공장 입지와 제조용량은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일반적으로 암모니아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해 생산한다. 일본 JERA는 도쿄전력과 주부전력이 공동으로 설입한 조인트 벤처로 양사는 전체 일본 국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10%만 점유하고 있다.2040년대까지 암모니아로 화력발전소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 참고로 페트로나스는 2050년까지 탄소제로 배출목표를 정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페트로나스(Petroliam Nasional Bhd) 천연가스 플랜트(출처 : 홈페이지)
-
2018-12-06독일 재생에너지 기업인 베이와(BayWa)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소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기술에 투자했다. 기술을 직접 개발한 이스라엘 스타트업 기업인 레이캐치(Raycatch)를 투자하는 방법을 동원했다.투자는 베이와벤처캐피털, 보스턴 기반의 디에스엠벤처링(DSM Venturing), 매버릭벤처스 이스라엘(Maverick Ventures Israel), 리오벤처스(Rio Ventures) 등도 동참했다.딥솔라(DeepSolar)로 명명된 레이캐치의 소프트웨어는 대규모 태양광(PV) 발전소의 소유주와 운영자가 투자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소프트웨어는 기술자가 언제 어디서 조치를 취해야 하는 지에 대한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레이캐치의 소프트웨이는 고도로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인공지능을 사용해 문자열 수준의 성능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를 통해 태양광 발전소에서 발생 가능한 사건과 파괴적인 요인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태양광 발전시장을 혁신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ermany-BayWa-solarenergy-homepage▲ 베이와(BayWa)의 태양광발전소 전경(출처 : 홈페이지)
-
일본 전자기기업체 무라타제작소(村田製作所)는 2016년 태양광발전용 소형 인버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제품에 비해 세밀한 태양광패널의 관리와 최적의 분산시스템 구축으로 가정용 및 산업용에서의 수요를 목표로 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