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반화"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조‧불 수교(1886) 예물 ‘반화’[출처=설화수]글로벌 럭셔리 스킨케어 브랜드 설화수가 2024년 8월13일 오전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국립고궁박물관과 ‘왕실문화유산 보존·활용 지원’ 협약을 체결한다.이번 협약식은 궁능유적본부 산하 덕수궁관리소에서 진행되며 △왕실문화유산 보존·활용 후원금을 통한 국가유산 복원과 전승 도모 △왕실문화유산의 조사·연구 성과 확산을 위한 상호 협력 △‘반화’ 복제품 제작 및 특별전시 개최, 활용 협력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다.설화수는 협약 체결을 통해 궁능유적본부와 국립고궁박물관에 ‘반화(盤花)’의 복제품 제작 및 활용을 위한 후원금 2억5000만 원을 기탁하기로 했다.조선왕실 분재 공예품인 ‘반화’는 고종(高宗, 재위 1864-1907년)이 프랑스 대통령 사디 카르노(Marie François Sadi Carnot, 재임 1887-1894년)에게 조선과 프랑스의 수교(1886)를 기념해 보낸 기념 예물이다.현재 반화는 프랑스 국립기메동양박물관(Muse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Guimet)에 소장돼 있다.궁능유적본부와 국립고궁박물관, 설화수는 ‘반화’의 장거리 이동을 통한 대여를 고려하는 대신 복제품을 제작해 국내에 전시하는 것으로 뜻을 모았다. 외교 예물이자 희귀 조선왕실 공예품인 ‘반화’의 온전한 보전과 구조적 특수성을 고려했다.국가무형유산 보유자인 김영희 옥장(玉匠)이 복제품 제작을 맡고 완성본은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와 국립고궁박물관에 각각 1쌍 2점씩 기증돼 전시될 예정이다.이번 협약은 한국을 대표하는 뷰티 브랜드 설화수가 국가유산청의 핵심 기관들과 협업해 국가무형유산 보유자가 국외 왕실유산을 복원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다양한 문화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설화수는 왕실문화 복원 프로젝트 후원과 같이 앞으로도 한국의 전통문화와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한 사회적 책임 활동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
오스트레일리아 기후위원회(Climate Council)에 따르면 향후 10년내 가정용 태양광 배터리가 일반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배터리의 가격이 더 저렴해지고 있는 것도 주요인 중 하나다.2017년 상반기에만 태양광 배터리의 가격이 5% 하락했다. 현재 태양광 배터리를 소유하고 있는 가정의 68%가 추가로 구매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배터리를 늘리는 이유는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지 6%만이 정전으로부터 집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를 장착했다고 응답했다.▲오스트레일리아 기후위원회(Climate Council) 로고
-
일본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는 2016년 통신업체 KDDI와 공동으로 ‘글로벌 통신플랫폼’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각 국가마다 사양이 다른 자동차 통신기기의 일반화를 목적으로 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