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밀 수입 증가"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나이지리아 농림부(FMARD)에 따르면 2021년 연간 국내 밀 생산량은 3만6943.8톤으로 전년 35만톤 대비 89.44%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밀가루 가격 인상으로 촉발된 빵과 페이스트리 가격 상승은 제빵 밀가루의 주원료인 밀의 국내 생산량이 저조하고 수입량이 많았기 때문이다. 제과업체들 역시 생산단가 상승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전국농업협회는 숙련된 농가 부족, 농림부의 밀 농사 교육 및 촉진 방식 부족, 안보 문제, 기후 변화 등이 2021년 국내 밀 생산량 급감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특히 안보 문제는 국가가 책임을 져야한다고 주장했다. 농부들이 농장에 일하러 가길 두려워하는 것은 납치 및 각종 범죄들이 전국적으로 퍼져 있기 때문이다. 농림부에 따르면 국내 밀 생산의 어려움은 낮은 수준의 기계화, 병충해 피해, 척박한 토양, 적절한 기술 부족 등이다. 그에 반해 인구 증가, 식품 선호 변화, 강력한 도시화 추세 등으로 인해 밀 소비는 증가해 왔다.전국빵제조자협회는 매년 지역 밀 생산량이 적어 회원들은 오랫동안 밀을 수입해왔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외환 부족이 빵제조업체들을 더욱 힘들게 하는 요인이라고 주장했다.지금 문제는 중국이 모든 밀을 사들이고 있는 것이며, 더불어 외환 변동성 때문에 상황이 매우 위태로워진 것이다. 외환 변동성은 제분업자들이 암시장에서 외환을 조달해야 하기 때문에 도움이 되지 않는 상황이다.대부분의 밀은 캐나다, 미국, 브라질,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현재 빵 가격이 오르는 원인은 정부가 밀 수입에 세금 30%를 부과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전국빵제조자협회(Premium Bread-makers Association of Nigeria, PBAN) 로고
-
나이지리아 정부에 따르면 플랜틴(Plantain)가루 생산량이 증가할 경우 밀 수입 비용을 US$ 1500만 달러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플랜틴은 세계작물 중 4위를 기록하며 가장 많이 재배되는 작물 중 하나로 바나나의 일종이다. 아프리카 동부, 중부,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요리용으로 사용된다.플랜틴 가루 제조산업은 잉여되거나 일부 썩은 바나나를 처리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부상하고 있다. 플랜틴 가루는 제과류에 이용되며 알르레기 유발물질이 적어 이유식품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과일 가공산업은 수입 감소와 국내 및 수출시장 개발에 도움을 주기때문에 많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현재 나이지리아에서 플랜틴이 많이 재배되고 있는 지역은 Delta, Edo, Anambra, Abia, Akwa –Ibom, Enugu, Ebonyi, Benue, Rivers, Cross River, Bayelsa, Lagos, Oyo, Ogun, Ondo, Ekiti 등이다.▲플랜틴 이미지(출처 : NDTV Food)
-
세계 최대 전자기기 수탁제조(EMS)기업 대만 혼하이정밀공업(鴻海)은 2016년 12월 영업수입이 $NT 4496억30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9.8% 증가했다고 밝혔다.또한 2016년 총 매출액은 $NT 4조3560억달러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1991년 상장이후 처음으로 연간 매출액이 감소했다.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성숙, 중국경제 침체 영향으로 스마트폰 판매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2017년도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Taiwan_Hon hai Precision Industry_Homepage 5▲혼하이정밀공업(鴻海)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