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민간항공기"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16▲ 공안전기술원-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 업무협약 체결(왼쪽부터 항공안전기술원 황호원 원장, 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 김동래 단장) [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원장 황호원, 이하 기술원)에 따르면 2025년 5월15일(목) 항공안전기술원 대회의실에서 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단장 김동래, 이하 전평단)과 항공안전 기술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우리나라 항공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항공안전 기술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상호 역량제고 및 공동발전을 위한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보유한 인프라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항공안전 관련 연구사업 및 현안과제에 대한 상호 자문, 학술 연구성과 공유, 전문인력 교류, 항공기·비행장치 시험 및 인증 분야 기술교류 등 협업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됐다.주요 협약 내용은 △항공안전 관련 연구사업 및 현안과제 자문 △학술 연구성과 공유 및 전문인력 교류 △항공기·비행장치 시험 및 인증 기술 협력 △기타 양 기관의 공동 발전을 위한 협의 사항 등이다.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공동 세미나 및 학술행사 개최, 현안 대응을 위한 기술자문 등을 통해 항공안전 기술협력의 내실화를 도모하고, 중장기적으로 협력범위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황호원 원장은 “이번 협약은 공공기관과 군이 보유한 항공안전 전문역량과 기술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며 “앞으로 양 기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항공 안전 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김동래 단장 역시 “양 기관의 전략적 협력은 항공안전 기술발전과 전문인력 양성에 큰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실질적인 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해 국내 항공안전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1-07-02일본 유글레나 연구 및 개발기업인 유글레나(ユーグレナ)에 따르면 바이오 제트연료인 SUSTEO(サステオ)가 민간항공기에 처음으로 사용됐다. 개인 제트기인 혼다제트 엘리트(HondaJet Elite)에 활용됐다. 바이오연료 이용의 일상으로의 확장을 목적으로 2021년 가을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혼다제트엘리트의 일반 전세항공편에서 이용자가 신청할 시 SUSTEO 연료 사용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제트기 이용시 이산화탄소 배출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이다. ▲유글레나(ユーグレナ) 로고
-
파키스탄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일본 정부와 국제표준에 입각한 공항장비를 파키스탄의 국제공항에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일본국제협력사업단(JICA)이 원조 차원에서 공항장비를 파키스탄민간항공기관(CAA Pakistan)에 제공하고 있다.파키스탄 국제공항들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테러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이번 일본정부의 공항장비 제공을 수락했다.장비가 설치될 공항은 Jinnah International Airport, Allama Iqbal International Airport, Lahore and Benazir Bhutto International Airport 등이다. ▲파키스탄민간항공기관(CAA Pakistan)의 홈페이지
-
▲ 일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 로고일본 미쓰비시중공업(三菱重工業)은 2016년 신와공업과 민간항공기 부품의 표면처리 및 도장 다루는 합작회사 ‘마쓰자카 APM’을 미에현에 설립했다.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지역제트기 MRJ의 양산과 민간항공기 증산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다. 2017년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
2016-03-15[인도] 에어버스, 민간항공기 제작에 인도 방산업체들과 협력... 힌두스탄항공(HAL)이 A320패밀리 문 제작·Dynamatic Technologies은 A320패밀리 날개와 트랙빔 제작(전 세계서 유일한 공급처)·Mahindra Aerospace 연간 100만개 이상의 항공부품 Premium Aerotec에 공급계약 중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