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대여"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ALANTE 스마트하게 즐기는 프리미엄 다회용기 서비스[출처=써큘러랩스]써큘러랩스(대표이사 최희진)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을 적용해 다회용 컵의 대여, 사용, 반납 과정을 스마트하게 관리하는 프리미엄 다회용기 아란테(ALANTE)를 출시했다.RFID 기술을 적용한 아란테는 다회용 컵을 언제, 어디서, 누가 대여하고 반납했는지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잡한 절차 없이도 다회용 컵을 편리하게 사용하고 사업자는 효과적으로 다회용 컵을 관리할 수 있다.이 서비스는 사용자 편의성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실현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며 SK텔레콤 환경 플랫폼 해피해빗과 협업했다. 아란테는 크게 3가지 장점이 있다.첫째, 환경부의 탄소중립포인트와 연동해 다회용 컵 반납 시마다 300원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이 포인트는 연간 최대 7만원까지 현금으로 고객이 등록한 계좌에 입금된다.탄소중립포인트 적립은 SK텔레콤 해피해빗 플랫폼을 통해 고객의 이용 실적을 전송함으로써 가능해졌다. 써큘러랩스는 인센티브 제공이 사용자의 참여를 독려하고, 지속 가능한 소비 문화를 확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둘째,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들은 장애인고용부담금을 감면받을 수 있다. 장애인표준사업장 인증을 받은 써큘러랩스는 장애인연계고용제도를 활용해 환경 보호뿐 아니라 장애인 고용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셋째, RFID 기술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다. 아란테 다회용 컵 시스템은 모든 사용 데이터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수집해 기업들이 ESG 실천에 필요한 Scope3 데이터를 제공한다.서비스 이용 기업들은 다회용 컵 사용을 통한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으며, 환경 목표를 체계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도 있다.써큘러랩스는 아란테가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실현하는 혁신적인 모델이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써큘러랩스는 앞으로도 RFID 기술을 활용해 다회용 컵 서비스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더욱 높여갈 계획이다. 환경 보호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함이다.아란테의 프리미엄 다회용 컵 서비스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며 더 많은 사람들이 환경 보호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2-03-30인도 가구 대여 스타트업인 펄렌코(Furlenco)에 따르면 운영 재구축을 위해 직원을 180명에서 200명 사이로 해고했다. 직원 축소 이후 전체 직원 수는 350명으로 조사됐다. 해고된 직원들은 대다수 불만사항 관리, 운영 스케줄 등을 포함한 고객 지원 직종이다. 일부 직원들은 운영팀에 재배치됐다. 펄렌코는 대도시와 소도시의 사업 운영 규모를 축소할 방침이다. 사업 규모를 집중적으로 확대할 계획이었던 캘커타(Kolkata)와 다른 도시들의 운영도 연기됐다. 가구 수리 및 운영과 반납된 가구의 회수를 포함한 자산 관리 사업 부문도 제3자 운영자들에게 아웃소싱을 맡겼다. ▲펄렌코(Furlenco) 로고
-
2021-12-02에스토니아 공유 차량 승차 서비스기업인 볼트(Bolt)에 따르면 아프리카 최대 차량 대여 및 구독 플랫폼인 MAX(Metro Africa Express)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나이지리아에서 볼트의 차량금융 프로그램을 확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볼트는 최대 1만명의 나이지리아 운전자가 차량 소유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차량 소유자의 상환과 지원, 수익 개선 등이 포함됐다. 차량 소유자로서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직업적 성취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한다.양사의 제휴로 승차호출 운전자가 차량을 리스하고 전체 소유권이 확보될 때까지 대금은 분할 납부할 수 있도록 차량 임대차 계약 프레임워크를 시작한다. 볼트는 2013년 설립됐으며 북유럽 국가인 에스토니아의 수도인 탈린에 본사를 두고 있다. 글로벌 45개국 300개 이상의 도시에서 공유 차량 승차 및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기업이다. ▲볼트(Bolt) 홈페이지
-
러시아 로봇 제조기업 프로모봇(Promobot)에 따르면 로봇에게 사용할 얼굴을 대여해 주는 사람에게 $US 20만달러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기업으로부터 호텔, 쇼핑몰 등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지역에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는 새로운 로봇을 비서로 활용하기 위해 주문을 받았다. 2023년부터 미국과 중동지역의 호텔, 쇼핑몰, 공항 등에 배치될 예정이다. 성별이나 나이 제한없이 친절하고 친근한 얼굴을 갖고 있다면 누구나 가능하다. 하지만 영원히 빌려줘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지난 2020년 2월 미국 뉴욕에 위치한 타임스퀘어(Times Square)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COVID-19 증상이 있는지 물어보는 로봇을 출시했다.▲ 프로모봇(Promobot) 홈페이지
-
2018-12-07뉴질랜드 공유배차서비스업체 우버뉴질랜드(Uber NZ)에 따르면 보행자들을 위한 테스트용 전기스쿠터(e-scooter) 대여사업의 론칭을 준비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우버뉴질랜드가 테스트용 전기스쿠터 운행을 시작하면 현재 오클랜드, 크라이스트처치 등에 보급된 1600대의 전자스쿠터 사업업체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국내 경쟁업체인 온조(Onzo)는 11월 10일 전기스쿠터사업을 론칭했다. 또한 웨이브(Wave)는 11월 30일을 론칭일로 정한 바 있다. 이들 업체들은 전기스쿠터 사업이 활성화되는 것을 원하고 있다.우버뉴질랜드는 미국 서부 해안 지역에서 전기스쿠터가 인기를 끌자 관련 기업을 인수해 시장에 진출했다. 2018년 7월 우버와 구글벤처스(Google Ventures)는 US$ 3억3500만달러를 신생기업 라임(Lime)에게 투자했다.당시 라임의 기업가치는 10억달러로 평가 받았다. 라임에 투자하는 대가로 우버와 라임은 앱기술을 공유하기로 합의했다. 이제 사용자들이 라임을 찾거나 임대할 때 우버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그리고 8월 양사는 우버가 라임에 전기자전거를 공급하기로 계약했다. 우버가 4월 2억달러를 투자해 캘리포니아 전기자전거 공유 스타트업인 점프(Jump)를 인수해 자회사로 뒀기 때문에 가능한 계약이었다.▲라임(Lime)의 전기스쿠터(출처 : 홈페이지)
-
일본 스마트폰잠금장치제조업체 포토신스(フォトシンス)는 2016년 12월 스마트폰, IC카드 등을 활용한 도어락 시스템 ‘Akerun Pro’의 대여사업을 시작했다.해당시스템은 스마트폰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합하고 문의 자물쇠 부분에 부착된 전용기기와 연결시켜 스마트폰이나 카드로 문을 열고 잠글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Akurun Pro 이미지(출처 : 포토신스)
-
대만 세계 최대 EMS기업 홍하이정밀공업은 자회사 Long Ample Limited(朗沛)를 통해 망고인터네셔널 그룹(Mango International Group Ltd.)의 주식 791만7717주를 US$ 5625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지분율은 12.19%에 달한다.또한朗沛는망고인터내셔널로부터 6000만 달러의 전환사채를 구입했다.지난 2015년에는 300만 달러에 일부주식을 매입했다.망고인터내셔널 그룹의 자회사 팅크연구소(Tink Labs)은 홍콩 등 전세계 15개국의 중/고급 호텔에 스마트폰을 배치해 숙박자에게 무료로 대여하는 서비스로 급성장했다.홍하이정밀의 투자로 팅크연구소는 향후 2017년까지 100개 이상 도시, 호텔 100만 개 이상에 서비스를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
일본 아사히맥주(アサヒビール)는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탁상용 소형 맥주서버 ‘파티서버’의 대여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고객에게 생맥주를 따르는 즐거움을 선사해주는 동시에 진공 단열구조로 생맥주의 차가움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 감소추세에 있는 업무용 맥주시장의 소비향상을 목적으로 한다.▲파티서버 이미지(출처 : 아사히맥주)
-
일본 코스모바이탈(コスモバイタル)은 2016년 10월부터 수소가 많은 수증기로 가열하는 업무용 조리기를 대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소농도가 높은 수증기를 통해 식재료의 산화를 막고 맛의 향상과 재료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 일본 항공업체인 전일본공수(全日本空輸) 항공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항공업체인 전일본공수(全日本空輸)는 2016년 하네다공항 국내선 터미널에 수지제품인 휠체어를 도입해 무료 대여 서비스를 시작한다. 금속탐지기에 반응하지 않아 탑승전 검사로 휠체어 이용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