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녹색 일자리"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국제노동기구(ILO) 로고 [출처=홈페이지]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는 녹색 경제 촉진을 위한 올바른 정책 시행시 2030년까지 약 240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ILO가 지난 5년간 링크드인(LinkedIn)에서 녹색 채용 공고가 매년 8% 증가한 것을 반영해 산출한 결과다. 반면 녹색 인재의 글로벌 점유율은 매년 6%의 성장에 그쳤다.많은 사람들은 이미 현재 발전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뒤쳐져 있다고 느끼고 있다. 근로자의 약 50% 이상은 녹색 전환에 따른 미래 일자리 구직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생각했다.따라서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은 최근 녹색 전환을 위해 숙련된 노동력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세계가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근로자들이 새로운 친환경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고 있다. 하지만 수요 대비 학습 속도가 빠르지 못하기 때문이다.친환경 기술은 거의 모든 산업 및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지속 가능성 일자리를 말하면 대부분 태양광 패널 기술자나 풍력 터빈 엔지니어를 떠올린다.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녹색 기술 분야는 생태계 관리, 환경 정책, 오염 방지 등이다. 환경을 책임 있게 관리하는 이외에 효과적이고 포괄적인 녹색 전환을 위해 청정 에너지, 지속 가능한 금융, 건설, 기술, 도시 계획 등에 관한 기술도 필요하다.예를 들면 링크드인의 글로벌 녹색 일자리 보고서(Global Green Jobs Report)는 green jobs, greening jobs, non-green jobs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green jobs는 녹색 기술 없이는 일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고 greening jobs는 녹색 기술 없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나 녹색 기술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말한다. 비 녹색 일자리는 녹색 기술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보
-
영국 수출금융공사(UK Export Finance, UKEF)에 따르면 GE에너지(GE Energy)와 공동으로 터키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 건설에 £2억1700만파운드를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축구장 4600개 크기에 달한다.UKEF는 영국 정부 산하 수출신용기관이자 수출신용보증기관이다. UKEF와 GE에너지의 이번 지원은 터키 200만 가구에 청정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말 터키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단지는 완공될 것으로 전망된다. UKEF의 자금조달은 다른 국가들이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하도록 장려한다.또한 녹색 일자리에 기반을 둔 경제회복에 힘을 실어줄 영국 기업들을 위한 새로운 시장도 열어준다. 이번 지원은 COP26 기후회의에서 영국이 국제 기후변화 활동에 대한 지원을 높이겠다는 약속의 일환이다.▲영국 수출금융공사(UK Export Finance, UKEF) 홈페이지
-
영국 애버딘 시의회(Aberdeen City Council)에 따르면 2030년까지 애버딘이 선도적인 수소 허브로우 7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애버딘 시의회가 글로벌 에너지대기업인 BP를 상업적인 제휴를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확정함에 따라 이와 같은 예상이 도출됐다.선도적인 수소 허브가 되기 위한 1단계는 도심 내 녹색 수소 생산시설을 건설하는 것이다. 친환경 수소 생산설비 납품을 수반하며 2024년부터 첫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애버딘은 스코틀랜드 북동부에 있는 번창하는 국제 항구도시이다. 이미 수소로 움직이는 2층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BP는 지난 50년 이상 북해유전을 운영하는 기간 동안 축적된 기술을 신흥 에너지 산업으로 직접 이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애버딘 시의회(Aberdeen City Council) 홈페이지
-
2021-05-27영국 로버트 고든대(Robert Gordon University)에 따르면 2030년까지 국내 해안에너지 일자리 종사자는 대부분 저탄소 에너지 산업에 종사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향후 10년 이내에 북해 녹색에너지산업이 석유와 가스 산업을 추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해안에너지 일자리의 50% 이상은 풍력 및 신재생 에너지를 포함한 저탄소 부문에서 일할 것이다. 일자리 9만개 이상으로 예상된다.국내 해안의 녹색일자리는 '해안에너지 산업의 중대한 변화'로 인해 2030년까지 국내 해안에너지 분야의 일자리가 20%에서 65%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2030년까지 해안에너지 산업 일자리의 5분의 1인 4만개가 신재생에너지 수소 생산이나 공장 및 중공업에서 배출되는 탄소배출량을 해저로 포획해 저장하는 등 다른 청정에너지 분야와 연계될 것이다.해안에너지 부문에 필요한 많은 기술과 역량의 상호 호환성이 높아지면서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은 새로운 최고급 일자리를 창출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했다.최근 정부는 북해에 위치한 에너지 산업과 맺은 협상에서 '국가 미래에 적합한 에너지 기술 기반을 확실히 할 것' 이라고 밝힌바 있다.▲로버트 고든대(Robert Gordon University)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