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녹색금융"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0-29▲ 우리금융그룹 전경 [출처=우리금융그룹]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에 따르면 2025년 10월27일(월) 서울특별시 중구 우리금융그룹 본사에서 임종룡 회장이 일랑 고우드파잉 미주개발은행(IDB: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총재와 면담을 갖고 글로벌 금융협력 강화와 미래지향적 투자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IDB는 중남미 지역 경제, 사회 개발을 위해 1959년 설립됐다. 총 48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다자 개발은행으로 미국 워싱턴 D.C.에 본부를 두고 있다.일랑 고우드파잉 총재 일행은 한국의 IDB 가입 20주년을 기념해 방한했다. 국내 금융그룹 가운데 우리금융과 유일하게 공식 면담 일정을 가졌다.양측은 △ESG(환경·사회·거버넌스) 및 녹색금융 협력 △무역금융 지원 프로그램(TFFP) 참여 △우리금융의 중남미 진출 지원 등 3대 의제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먼저 IDB는 중남미 인프라 및 녹색금융을 위한 공동 대출 프로그램(B-Loan) 참여를 제안했으며 우리금융은 이 제안을 ESG 금융 진출 모델로 발전시킬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공동 대출 프로그램(B-Loan)은 둘 이상의 은행이 공동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공동 대출을 말한다. IDB 보증이 제공되는 무역금융 지원 프로그램(TFFP) 가입을 통해 한국과 중남미 간 무역금융을 지원하는 방안도 협의했다.우리금융은 TFFP 참여를 적극 검토하는 한편 IDB와 함께 중남미 IB 사업 및 ESG 기반 글로벌 금융 협력을 확대할 방침이다.우리금융은 이번 면담을 계기로 IDB와 협력팀을 구성하는 등 실질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투자 및 금융지원 확대를 통해 국제금융시장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임종룡 회장은 “IDB는 중남미를 대표하는 국제금융기구로서 우리금융의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중요한 파트너다”며 “현재 브라질법인과 뉴욕·LA지점을 통해 중남미 지역에 활발히 투자
-
2021-07-02영국 재무부에 따르면 2021년 연말에 £150억파운드 규모의 국내 소비자들을 위한 별도의 녹색 저축 채권을 출시할 예정이다. 정부는 브렉시트 이후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에 따라 수도 런던을 녹색금융의 중심지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계획이다.상기 녹색 채권의 수익금은 전국에 걸쳐 친환경 인프라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고 더 많은 녹색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사용된다.녹색 저축 채권은 재무부가 후원하는 국영은행인 NS&I(National Savings & Investments)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3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확정돼 소비자에게 친환경 프로젝트를 지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NS&I는 2021년 연말에 상기 녹색 채권을 출시할 예정이다. 투자금액은 최소 100파운드, 한도는 1인당 최대 10만파운드 등이다. ▲재무부 홈페이지
-
중국 중양차이징대학(中央财经大学) 녹색금융국제연구원의 '2016년 중국기후융자보고'에 따르면 2020년까지 중국의 기후자금필요액이 2조5600억위안, GDP의 1.79%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2020~2030년까지 GDP의 1.8%인 2조5200억위안, 2030~2050년까지는 2조5000억위안, 2050년이후에는 1조5000억위안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일부 전문가들은 파리협약이 중국의 탄소시장 개발에 중요한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경제를 압박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China_CUFE(Central University of Finance and Economics)_Homepage▲중양차이징대학(中央财经大学) 홈페이지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