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국가전략"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04▲ AI 3대강국을 향한 국가전략 책 표지 [출처=NRC]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에 따르면 과학기술연구회(NST) 산하 46개 출연연이 협업해 'AI 3대 강국을 향한 국가전략'을 발간했다.이재명정부 인공지능(AI) 3대강국 비젼을 성취할 수 있는 종합적인 'AI 국가전략 제안서'인 셈이다. 참여한 K Institute의 산학연 AI 정책전문가들은 NRC-NST 협동연구가 성공적으로 되도록 각 분야에서 촉매 역할을 담당했다.새정부가 AI 3대 강국 비젼을 성취할 수 있는 AI 국가전략 및 정책을 종합적으로 제안했다. 특히 대통령실, 국가AI전략위원회,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 교육부 등 주요 정부부처가 범부처적으로 활용하도록 준비했다.국정기획위원회가 제시한 AI 전략을 분야별로 강화/확대했으며 장·단기적으로 제안했다. 총론 및 4대 AI 전략을 중심으로 AI 국가정책을 포함했다.총론에서는 새정부의 AI 3대강국 비젼과 7대 글로컬 전략, 그리고 AI기반 경제성장의 방향을 제시했다. 1부는 AI 주권 확보전략, 2부는 AI 기술혁신 및 산업발전전략, 3부는 모두를 위한 국민체감 AI 전략, 4부는 AI 글로벌 협력전략 등을 각각 제시했다.AI 국가전략 제안서의 검증된 산학연 AI 전문가 45인의 AI정책 집현서로 공저자는 NRC와 NST의 30인의 AI 정책전문가 및 K Institute 의 AI 과학 및 AI 정책전문가 15인 등이다전영일 원장(PSI 국제데이터사이언스 연구원장, 서울대 AI연구원 IPSAI 센터장, 전 국가통계연구원장)과 서중해 박사(KDI)가 총괄기획을 담당했다.전영일 원장은 편집위원장으로서 4개부 6인의 편집간사(김영수 원장, 문명재 교수, 정용찬 교수, 심진보 박사, 이경하 박사, 권율 박사)와 함께 종합적인 AI 국가전략과 장단기 정책을 제시했다. 특히 노용식 부장(NRC)은 종합편집간사로서 중책을 수행했다제안서 작성해 참여한 전문가들은 "'AI 3대강국을
-
2025-08-11▲ 2025 사이버안보 논문 공모전 개최 안내 [출처=국가정보원]국가정보원(원장 이종석, 이하 국정원)에 따르면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주최, 국정원 후원으로 2025년 8월25일(월)부터 9월24일(수)까지 '2025 사이버안보 논문공모전'을 개최한다.공모 분야는 △기술 분야 △국가전략 분야 △법·제도 분야 등이다. 기술 분야는 시스템보안, 네트워크보안, 응용보안, 융합보안, 산업보안 등 사이버안보(보안) 관련 기술 전 분야가 해당된다.국가전략 분야는 사이버안보(보안) 전략, 동맹정책, 다자협력, 국제협력, 거버넌스, 국제규범 등이며 법·제도 분야는 사이버안보(보안) 국내외 법·제도 등이다.논문 분량은 사이버안보연구 양식 기준 기술분야, 국가전략 분야, 법·제도 분야 각각 12페이지, 20페이지, 20페이지 이내다.응모자격은 국내외 대학 및 대학원생으로 2025년 10월 말 수상자를 발표하고 11월7일(금) 시상식을 개최한다.시상 내역은 총 상금 4300만 원으로 대상 3편 각 600만 원, 최우수상 3편 각 300만 원, 우수상 3편 각 200만 원, 장려상 1편 각 100만 원 등이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
2017-01-04아제르바이잔 정부에 따르면 2017년 '물류산업'의 전략적 로드맵을 전개해 6억5000만마나트 상당의 GDP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물류산업에 중점은 중앙아시아, 흑해, 유럽, 중국, 러시아, 이란 간의 해양 화물운송선의 물류로를 개선해 교역량을 확대시키는 것이다.구역별 운송량 점유율 목표치는 ▲중앙아시아-흑해 40% ▲중앙아시아-유럽 25% ▲중국-유럽 3% ▲러시아-이란 40% ▲이란-흑해 25% 등이다.2020년까지 계획된 발전계획이며 이에 따라 1만89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대내외적 경제성장에 상당부분 기여될 것으로 전망된다.▲아제르바이잔 위치(출처 : 구글맵)
-
인도네시아 산업부에 따르면 2016년 12월 '중거리용 항공기 개발사업'을 국가전략프로젝트(PSN)에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현재 기존의 수송 및 정찰기인 CN-235, N-245, R80 등을 개발해 현대식 중거리용 항공기를 개발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모두 20년이 넘은 기종들이다.이미 CN-235은 인도네시아우주항공공사(DI)에서 개발하고 있으며 N-245는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R80은 민간항공업체 Aviation Regio Indonesia에서 담당할 계획이다.2016년 인도네시아 정부는 우주항공산업에 대한 개선의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특히 항공기의 유지보수관리(MRO) 및 기체개발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인도네시아 우주항공공사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