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건설기계"으로 검색하여,
1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3▲ HD현대, 서울 모빌리티쇼에서 차세대 신모델 굴착기를 비롯해 인프라건설 혁신 기술을 전시[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2025년 4월3일(목)부터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흘간 개최되는 ‘2025 서울 모빌리티쇼’에서 차세대 신모델 굴착기를 글로벌 최초 공개했다.이번에 공개한 차세대 신모델은 건설기계 부문 계열사 HD현대건설기계의 40톤(t)급 ‘HYUNDAI’ 굴착기와 HD현대인프라코어의 ‘DEVELON’ 24t급 굴착기 2종으로 HD현대 건설기계 부문이 글로벌 톱-티어 브랜드들과 경쟁하기 위해 개발한 첫 제품이다.차세대 신모델은 전자제어유압시스템(Full Electro-Hydraulic system, FEH) 등의 첨단 기술이 탑재된 스마트 굴착기로 △작업 효율을 높이는 스마트 어시스트 △작업장 내 안전을 확보하는 스마트 세이프티 △장비 가능 시간을 극대화하는 스마트 모니터링 등 다양한 기능이 적용돼 생산 효율성, 장비 내구성,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HD현대는 이번 모빌리티쇼에 1215㎡(367평) 크기의 전시관을 마련해 육상 모빌리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능케 하는 인프라 건설의 혁신 테마 ‘No Infrastructure, No Mobility’를 주제로 관람객들을 맞이한다.HD현대관은 △건설혁신 리더십(Forward Spirit) △건설혁신 기술(Forward Technology) △건설혁신의 미래(Forward Future) 등 3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성됐다.신모델 전시를 비롯해 관람객들이 직접 4D 라이드, RC 건설기계, 가상현실(VR) 시뮬레이터 등을 통해 건설기계 신기술을 체험할 수 있다.HD현대 전시관에는 HD현대건설기계의 40톤급 굴착기(HX400)와 HD현대인프라코어 24t급 굴착기(DX240)가 좌·우측에 자리하고 있다. 굴착기 앞의 마일스톤 테이블에서 터치패널을 조작해 차세대 신모델의 핵심기술을 살펴볼 수 있다.또 전시관 중앙에 위치한 길이 12미터(m) 규모의 메인 대형 LED 화면과 좌·우측의 루버(Louver, 살 형태) 스크린을 통해 신제품 소개, 브랜딩, 무인·자율화 육상 비전 등의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규모감 있게 소개한다.HD현대는 차세대 신모델의 출시를 통해 육상 비전 ‘Xite Transformation’을 실현하는 시작을 알리고 미래 기술을 구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알린다는 계획이다.HD현대는 일반 관람객 공개 하루 전인 4월3일(목) 진행된 미디어데이에서 차세대 신모델 언베일링 행사를 유튜브로 글로벌 생중계한다.K-건설기계의 수출산업 비전과 신제품의 핵심 신기술 및 디자인 콘셉트 등을 소개하며 5월부터 출시하는 차세대 신모델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HD현대 부스는 차세대 신모델을 배경으로 한 디지털 그래피티 그리기, 유아용 건설기계 장난감 ‘데구르르(Dgrr)’ 체험, 굿즈샵 운영 등 가족단위 관람객을 사로잡을 다양한 콘텐츠와 이벤트를 마련했다.HD현대사이트솔루션(HD현대 건설기계 부문 중간지주사) 조영철 사장은 “차세대 신모델은 HD현대 건설기계 부문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한데 모아 완성한 주력장비다. 차세대 신모델을 필두로 국가대표 건설기계 브랜드 ‘현대’(HYUNDAI)와 ‘디벨론’(DEVELON)을 글로벌 톱-메이커로도 성장시킬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5-03-04▲ HD현대건설기계가 4월 튀르키예에서 출시 예정인 블록 핸들러 신제품(HL985ABH)[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자회사 HD현대건설기계(대표이사 사장 최철곤)이 2025년 1~2월 중동 주요 국가와 튀르키예에서 총 557대의 건설장비를 수주했다. 이는 2024년 해당 지역 연간 총 판매량의 40%가 넘는 규모다.지역별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등 중동지역에서 333대, 튀르키예에서 224대로 20~30톤(t)급 중대형 굴착기를 중심으로 2025년 상반기까지 각 지역에 제품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HD현대건설기계는 중동 주요 국가들이 관광, 도시개발, 광물 채굴 등의 산업 다각화 전략을 펼침에 따라 건설장비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분석하고 현지 밀착형 영업전략을 펼쳐왔다.사우디아라비아는 2027년 AFC 아시안컵, 2029년 동계아시안게임, 2030년 엑스포, 2034년 월드컵 등 대형 국제 행사를 연이어 유치했다.UAE는 기존 석유 중심의 경제에서 벗어나 가스, 물류, 항공 등 비석유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 확대하고 있다. 카타르의 경우 2022년 월드컵 개최 이후 건설경기 침체를 겪었다.하지만 카타르는 현재 북부 가스전 확장 사업, 국가 운송 및 도시 관련 인프라 개발 등 제3차국가개발전략(2024-2030)이 추진되고 있어 건설경기 활성화에 따른 신규 장비 수요가 예상된다.HD현대건설기계는 UAE 두바이 지사를 거점으로 대형 프로젝트 수요를 신속히 파악해 고객 맞춤형 장비·서비스 패키지를 제안하고 두바이 물류센터를 통한 신속한 부품 공급 능력을 앞세워 수주를 이끌었다.중동 주요 광물자원 보유국인 UAE에서는 80t급 초대형 굴착기를 최초로 판매하며, UAE 광산 장비 시장에 진입하는 성과도 거뒀다.HD현대건설기계는 중동 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계획이다. 4월 튀르키예 국제 대리석 박람회에서 석재 운반 작업에 최적화된 대형 블록 핸들러(HL985ABH)를 출시한다.5월 사우디아라비아와 UAE에서 대규모 고객 초청행사를 개최해, 백호로더(Backhoe Loader) 신제품을 중동 시장에 론칭한다.
-
▲ 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국토교통성(国土交通省)에 따르면 2024년 2월22일 도요타자동직기(豊田自動織機)가 개발한 산업 차량용 엔진 3개 기종의 형식 취소 절차를 시작했다.2024년 1월30일부터 2월13일까지 도요타자동직기에 대한 현장 검사를 실시해 사실 관계를 확인했다. 도요타직기 뿐 아니라 이로부터 엔진을 공급받는 도요타자동차와 히노자동차도 현장 감사의 대상이었다.산업기계용으로 생산하는 5개 기종의 엔진과 자동차용으로 개발한 3개 기종의 엔진에서 부정행위를 발견했다. 도요타자동차와 히노자동차는 부정행위에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산업기계용 엔진은 신청한 장치와 다른 제어방식의 장치를 이용해 시험을 시행했다. 건설기계용 엔진 1개 기종을 포함한 3개 기종의 엔진에 대해 형식 지정을 취소했다. 국토교통성은 도요타자동직기에 대해 향후 1개월 이내에 재발방지책을 보고하고 분기마다 재발방지책의 실시 상황을 보고하라고 명령했다.또한 국토교통성은 향후 형식 지정 신청과 빈발하는 부정행위를 감시하기 위해 전문가를 중심으로 검토위원회를 설치할 방침이다.
-
중국 상하이건설기계(Shanghai Mechanized Construction)에 따르면 3D 프린터로 제작된 다리를 푸투오 지구(Putuo District)에 위치한 강위에 설치할 계획이다.설치할 교량은 거대한 3D 프린터로 35일만에 만들어졌다. 15 미터 높이의 S자형 모양이며 재료를 레이어별로 섞어서 프린팅했다.4mm 두께의 교량 구조를 인쇄하는 데 8시간이 걸렸으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ASA로 만들어졌으며 섬유유리로 구조가 보강됐다.1평방미터당 250킬로그램 또는 성인 4명의 무게를 견딜 수 있다. 최소한 30년 동안은 서비스 상태로 유지되며 손상된 부품이 있으면 새 부품을 프린팅할 수 있다.최근에 교육, 의학 및 자동차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3D 프린터는 건축 및 건설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3D프린터가 복잡한 구조를 만들 수 있고 노동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분야에 3D프린터가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정부가 중국 제조 2025를 추진하는데도 3D프린터가 핵심산업 중 하나다. ▲ China-Shanghaiconstruction-mobilecrane▲ 상하이건설기계의 이동식크레인(출처 : 홈페이지)
-
일본 건설기계업체인 코마츠(コマツ)에 따르면 2018년 4~6월기 매출액은 6460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1% 증가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960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8% 급증했다.동기간 북미지역 및 아시아 지역에서 주력 제품인 건설기계, 차량 부품의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중국 지역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둔화되는 추세를 나타냈으나 인프라 공사 추진 등에 따라 매출액은 급증했다.또한 2018년도 코마츠의 예상 영업이익은 3390억 엔으로 전년 대비 약 24.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시장에서의 침체 영향으로 시장 전문가 예측 평균치 3751억 엔 보다 다소 낮게 예상했다.▲ komat'su logo▲코마츠(コマツ) 로고
-
중국 건설기계공업협회(中国工程机械工业协会)에 따르면 2018년 5월 각종 굴착기 판매량은 1만9313대로 전년 동월 대비 71.3% 급증했다.이중 국내시장 판매량은 1만7780대로 전년 동월 대비 69.6% 늘어났다. 전체 판매량의 약 92.1%를 차지했다. 해외 수출량은 1523대로 전년 동월 대비 95.3% 급증했다.또한 2018년 1~5월 각종 굴착기 총 판매량은 10만5935대로 전년 동기 대비 60.2% 늘어났다. 이중 국내시장 총 판매량은 9만8727대로 전년 동기 대비 57.7% 증가했다.동기간 굴착기의 전체 총판매량 대비 국내 판매량은 약 93.2%로 집계됐다. 굴착기 총 판매량중 해외 수출물량은 7172대로 전년 동기 대비 103.9% 확대됐다.▲ China_CCMA_Logo▲ 중국건설기계공업협회(中国工程机械工业协会) 로고
-
중국건설기계공업협회(中国工程机械工业协会)에 따르면 2017년 각종 굴착기계 제품의 총 판매량은 14만303대로 전년 대비 약 99.5% 증가했다.2011년, 2010년에 이어 역대 3번째 최고 판매를 기록했다. 지난 2017년 12월 주요 25개 기계기업의 굴착기계 제품 판매량은 1만4005대로 11월 판매량 1만3822대 대비 183대 늘어났다.2018년 1분기 역시 건설경기 호황으로 굴착기계 판매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 2019년 에도 기계산업의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China_CCMA_Logo▲ 중국건설기계공업협회(中国工程机械工业协会) 로고
-
중국건설기계공업협회(中国工程机械工业协会)에 따르면 2017년 11월 25개 주요 기계기업의 굴착기계 제품의 판매량은 1만3822대로 전년 동월 대비 107.4% 급증했다.2017년 1~11월 25개 주요 기계기업의 굴착기계제품 총 판매량은 12만62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99.2% 증가했다.2017년 3분기 기계산업 분야 이익이 늘어났으며 4분기 역시 강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8~2019년 역시 기계산업 분야의 상승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China_CCMA_Logo▲ 중국건설기계공업협회(中国工程机械工业协会) 로고。
-
일본 타이어제조업체인 브리지스톤(ブリヂストン)은 2016년 10월 주력인 쿠루메공장에서 항공기용 타이어의 생산성을 1.5배 확대한다고 발표했다.항공기용 타이어는 소형여객기 등의 수요확대를 배경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21억엔을 투자해 2018년 말까지 증강한다.승용차용은 경쟁이 심화돼 브리지스톤은 항공기 및 건설기계 분야의 고부가가치 타이어를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항공기용 타이어는 고열 및 마모의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며 연비향상을 위한 경량화가 필요해 높은 기술력이 요구된다.브리지스톤은 능력을 공개하지 않았다. 국내의 쿠루메공장 등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기체에 장착한 후에도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높다.또한 브리지스톤은 인공지능(AI)를 탑재한 타이어성형시스템을 해외공장에 전개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도입실적이 있지만 헝가리나 러시아공장에도 전개한다.▲ 1▲브리지스톤 홈페이지
-
▲ 일본 건설기계업체인 쿠보타 공장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건설기계업체인 쿠보타(クボタ)는 2017년 여름까지 미국에서 소형 건설기계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감시하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운영시간 및 위치를 확인하는 서비스로 이용상황을 감시하고 적절한 시기에 수리 및 부품교환을 제안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부동산개발로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IT 도입으로 타업체와의 차별화를 어필하고 경쟁력을 높여 수익성을 강화한다. 동사의 건설기계 매출액은 미국이 40%를 차지하고 있는 주력시장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