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타임즈"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9-13▲ 아모레퍼시픽 홈페이지아모레퍼시픽(회장 서경배)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2024 굿디자인 어워드’ 2개 부문에서 3개의 우수디자인(GD) 마크를 획득했다.GD 마크를 획득한 부문은 △콘텐츠 디자인 부문은 유튜브 콘텐츠 ‘힐링타임즈’ △패키지 디자인 부문은 ‘에이피 뷰티의 M.D.라인’, ‘오딧세이의 챕터파이브’가 각각 우수디자인으로 선정됐다.‘힐링타임즈’는 아모레퍼시픽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뷰티포인트’의 대표적인 인기 콘텐츠다. 사용할 수 없게 된 아모레퍼시픽 뷰티 제품을 재활용해 뭉개고 부수는 내용으로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한다.창의적이고 감각적인 영상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는 유튜브 채널 ‘뷰티포인트’는 2024년 9월 현재 119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패키지 디자인 부문에서 우수 디자인으로 선정된 ‘에이피 뷰티의 M.D.라인’은 고효능 하이엔드 브랜드 ‘에이피 뷰티’의 리페어 안티에이징 컬렉션이다.피부과에서 사용하는 성분과 기술을 새로운 방식으로 화장품에 접목시킨 ‘M.D.라인’ 제품은 처음 용기를 만지는 순간부터 클리니컬 시술 도구를 연상할 수 있도록 실버 메탈을 주 소재로 선택했다.고효능 제품임을 직관적으로 보여주고자 금속과 플라스틱에 최소한의 필수 가공을 적용해 심미적 완성도를 높였다.‘오딧세이 챕터파이브’는 브랜드 오딧세이의 30년 헤리티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출시한 남성 스킨케어 제품이다. 브랜드가 지닌 ‘항해’에 대한 스토리텔링과 ‘향’의 헤리티지를 변화된 시대에 맞는 신선한 경험으로 제공한다.바다에 떠있는 등대를 모티브로 활용해 브랜드 스토리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새로운 페르소나를 반영한 담담한 무광 표면처리와 여백을 강조한 그래픽 레이아
-
미국 탐사보도업체인 ‘프로젝트 베리타스(Project Veritas)’는 대기업의 비윤리적인 경영을 집중적으로 보도한다. 취재 영역이 코로나19 백신접종에서부터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내부윤리까지 대중의 관심을 받을만한 주제를 모두 망라하기 때문에 불편한 시선으로 보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트위터는 2021년 4월15일 프로젝트 베리타스 창업자인 제임스 오키프의 계정을 영구 정지했다. ‘플랫폼 조작 및 스팸 관련 정책’을 위반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하지만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이후인 2022년 11월21일 오키프의 계정은 부활됐다.ICT업계의 공룡인 구글의 비윤리적인 행태를 파악한 자크 보르히스(Zach Vorheis)가 내부고발 동반자로 선택한 언론이 바로 프로젝트 베리타스다.워싱턴포스트·뉴욕타임즈 등과 같은 기존 언론은 구글의 영향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구글의 유일한 내부고발자로 지칭되는 보르히스의 내부고발에 대해 알아보자.▲ 구글의 내부고발 진행 내역 [출처=국가정보전략연구소(iNIS)] ◇ 유일한 내부고발자이지만 파급 효과 미미세계 최대 규모의 인터넷 제국을 건설한 구글과 싸우고 있는 보르히스는 2021년 7월 자신이 파악한 구글의 내부 정보를 포함해 ‘구글 폭로(Google Leaks)'라는 책을 출간했다.책의 내용은 구글이 정치적으로 편향됐으며 자체적으로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을 잘못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르히스의 내부고발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우선 보르히스가 구글의 경영정책이 정치적으로 편향됐다고 판단한 계기는 2016년 11월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국 대통령에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진보 진영은 망연자실해졌다. 반이민정책과 ‘미국 우선주의’와 같은 트럼프의 공약이 그동안 미국이 추구하던 가치와 정반대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구글의 경영진도 트럼프의 당선이 외국인
-
영국 경제전문지 파이낸셜타임즈(Financial Times)에 따르면 2018년 경영학석사(MBA) 과정 글로벌 Top 100위 안에 아시아권 대학 16개가 진입했다.중국과 홍콩에 7곳, 싱가포르에 4곳, 인도에 4곳, 한국에 1곳이 각각 100위권 내에 포함됐다. 이중 최상위권은 중국유럽국제비즈니스스쿨(CEIBS)이며 세계 8위에 올랐다.CEIBS은 네덜란드의 니엔로드경영대(Nyenrode Business University)의 주관으로 중국, 유럽의 여러 대학기관이 공동으로 설립한 학교다. 엄격한 선발과정으로도 유명하다.참고로 이 외에 주요 아시아 MBA 개설대학을 살펴보면 상하이자오퉁대학, 홍콩과학기술대학, 인도의 방갈로드경영대학, 싱가폴국립대학, 한국의 성균관대학교 등이 있다.▲ 중국유럽국제비즈니스스쿨(CEIBS) 로고▲중국유럽국제비즈니스스쿨(CEIBS)
-
영국 교육전문잡지 타임즈하이어에듀케이션(THE)가 발표한 2016/17년 세계 대학 랭킹에서 싱가포르국립대(NUS)는 24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순위보다 2계단 상승했으며 2년 연속 아시아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NUS의 종합점수(100점 만점)는 81.7이며 항목별로 ▲교육환경 76.7 ▲국제성 96.0 ▲연구성과 86.9 ▲논문 인용 수 79.7 ▲산업수익 61.3 등이다.NUS 외에도 싱가포르 난양기술대(NTU)이 1계단 상승한 54위를 차지했다. 종합점수는 70으로▲국제성 95.7▲논문 인용 수 90.7▲산업수익 93.5이 높은 점수를 받았고▲교육환경 50.6▲연구성과 60.2으로 비교적 낮았다.아시아 각국 및 지역에서 100위에 들어간 대학은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에 각각 2곳이 있으며 홍콩에 1곳이 있었다.이번 세계 대학 랭킹의 1위는 영국 옥스포드대로 6년만에 정상을 탈환했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와 스탠포드대가 뒤를 이었으며 상위 20개의 대학 중 15곳을 미국, 4곳은 영국의 대학이었다.해당 순위는 싱가포르 정부가 해외 대학생 및 졸업생에게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발급할 때 지표로 사용되며 상위 200위까지가 발급의 대상이다.▲영국 교육일간지 타임즈(Times Higher Education) 홈페이지
-
▲ 싱가포르국립대(NUS) 로고영국 일간지 타임즈(Times)가 발표한 2016/17년 세계 대학 랭킹에서 싱가포르국립대(NUS)은 24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순위보다 2계단 상승했으며 2년 연속 아시아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NUS의 종합점수(100점 만점)는 81.7이며 항목별로 ▲교육 환경 76.7 ▲국제성 96.0 ▲연구 성과 86.9 ▲논문 인용 수 79.7 ▲산업 수익 61.3 등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