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현지생산"으로 검색하여,
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08▲ LG에너지솔루션, 얼티엄셀즈 3기 최종 인수 [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GM과의 3번째 합작공장 ‘얼티엄셀즈 3기(Ultium Cells LLC 3)’의 인수를 최종 완료했다.미국 미시간주 랜싱에 위치한 얼티엄셀즈 3기의 건물 등 자산 일체의 소유권 이전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랜싱 공장은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내 ‘세 번째 단독 공장’으로 전환됐다.랜싱 공장은 총 부지 면적 약 95만제곱미터(㎡)로 2022년 착공 이후 2025년 5월 현재 98퍼센트(%) 이상 건설이 완료돼 현재 장비 반입을 진행 중이다.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인수를 통해 투자 효율성을 한층 확대하게 됐다. 북미 지역 기존 수주 물량 대응을 위해 생산 시설 신·증설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구축이 완료된 공장을 활용함으로써 신규 설비 투자 부담을 완화하고 생산 시기도 앞당길 수 있는 것이다.특히 최근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북미 지역 인프라 비용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투자 효율화 전략은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기대된다.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4월 열린 1분기 실적 설명회에서 유례없이 높은 시장 변동성과 불확실성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밝혔다.기존 생산 시설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얼티엄셀즈 3기를 인수해 기존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 증설하기로 한 전기자동차(EV) 수요에 대응하고자 한다.이번 인수는 미국 현지 생산 체계 구축을 가속해 현지 공급 역량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다.최근 미국 정부가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국가별 차등적용 되는 상호 관세도 협의하는 등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지 생산 역량이 ‘절대적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인수를 통해 미국 미시간 홀랜드 및 랜싱 공장과 애리조나 원통형 공장 등 3곳의 단독공장과 GM과의 합작공장인 오하이오 얼티엄셀즈 1기와 테네시 얼티엄셀즈 2기, 조지아 현대차 합작공장 및 오하이오 혼다 합작공장 등 5개의 합작 공장을 확보하게 됐다.
-
2021-04-29영국 스포츠 자동차 제조사인 로터스(Lotus)에 따르면 중국의 다국적 자동차 제조사인 지리(Geely)로부터 £25억파운드의 자금을 지원 받았다. 자동차 생산량을 10배 이상 늘리는데 활용할 계획이다.여기에는 전기 SUV가 만들어질 중국에 있는 새로운 공장도 포함된다. 중국의 지리(Geely)는 2017년부터 로터스의 대주주로서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로터스는 Norwich 근처 자사의 헤델(Hethel) 공장을 비롯해 국내 현지 생산을 늘릴 방침이다. 최소 275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써 포스트-브렉시트로 난항을 겪고 있는 국내 자동차 산업 부문에 활력을 심어줄 것으로 전망된다. 로터스는 새로운 인프라 투자로 향후 스포츠 전기자동차 생산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로터스(Lotus) 홈페이지
-
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2016년 인도에서 냉장고의 현지생산을 시작하기 위해 19억엔을 투자했다.당사는 에어컨, 세탁기를 제조하고 있는 북부 하리아나주 공장에서 2017년 11월 냉장고 생산설비를 정비하고 2018년 4월부터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
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2018년까지 인도에서 냉장고의 현지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당사는 2017년 3월까지 공장을 착공할 예정이며 기존의 현지 가전판매업체와 제휴를 통해 현재 대비 3배 확대한 연간 100만대의 판매목표를 수립했다.
-
2016-09-28한국 현대자동차의 현지 유통업체 HARI가 투자위원회(BOI)에 자동차제조와 최저(CKD)생산을 지원하는 우대 방책인 새로운자동차개발계획(MVDP)을 신청했다.HARI는 스타모터매뉴팩처링이 라구나주에 가동 중인 공장에서 자동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또한 생산된 차량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의 다른 국가에도 수출할 계획이다.HARI는 6년간 연 20만대의 현지생산을 조건으로 세금 우대혜택을 주는 '포괄적자동차산업재생전략(CARS)'에 참여도 염두해 두고 있는 상태다.HARI의 2016년 상반기 판매량은 53% 증가한 1만6362대였다. 그 중 '이온'과 '엑센트' 2개 차종의 소형차는 55% 증가한 1만500대로 전체의 60%를 차지했다.▲현대자동차의 필리핀 현지 유통업체 HARI 홈페이지
-
일본 철강업체인 JFE스틸(JFEスチール)은 2016년 9월 인도네시아 최초의 자동차강판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했다고 발표했다.부품 재료의 현지생산을 통해 자동차업체에 대한 조달력을 높이고 중국제 강재의 저가공세로 인해 적용된 반덤핑 과세를 철폐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아시아에서 자동차강판을 만드는 국가는 중국과 태국에 이어 3번째로 연간 생산량은 40만톤이다. 약 300억엔을 투자해 강판성형의 편리성을 높인 최신예 라인을 도입했다.이번 공장의 건설은 도요타자동차 등 일본업체의 현지조달률을 높이려는 목적도 있지만 고용창출과 산업진흥에 공헌한다는 명목 하에 정부를 압박하고 반덤핑 과세를 철폐하려는 목적이 더 강하다.오래전 중국의 강재 과잉공급으로 유발된 반덤핑 과세가 2013년 일본산 냉연 강판에도 적용돼 수익을 압박했기 때문이다. JFE등 일본제에 대한 과세는 18.6% 이상이다.인도네시아의 2015년 자동차 생산대수는 110만대로 전년보다 하락했지만 5년전 대비로는 1.6배 증가했으며 판매대수의 95%는 일본자동차가 차지하고 있다.또한 2억5000만명의 인구를 배경으로 성장잠재력이 높기때문에 관세 철폐가 성공한다면 최대한의 이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JFE스틸 홈페이지
-
일본 철강업체인 JFE스틸(JFEスチール)는 2016년 9월 인도네시아 최초의 자동차강판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했다고 발표했다.부품 재료의 현지생산을 통해 자동차업체에 대한 조달력을 높이고 중국제 강재의 저가공세로 인해 적용된 반덤핑 과세를 철폐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아시아에서 자동차강판을 만드는 곳은 중국과 태국에 이어 3번째로 연간 생산량은 40만톤이다. 약 300억엔을 투자해 강판 성형의 편리성을 높인 최신예 라인을 도입했다.
-
일본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는 2016년 8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공장에서 다목적스포츠차(SUV) 'RAV4' 생산을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약 148억엔을 투자해 공장 설비를 강화하고 생산성을 기존의 5만대에서 10만대로 끌어올렸다.러시아에서 현재 RAV4가 토요타의 가장 인기있는 차종으로 팔리면서 현지생산을 결정한 것이다. 이 공장은 2007년 조업을 시작해 세단 '캠리'를 생산하고 있었다.
-
일본 화학업체 닛토덴코(日東電工)는 2018년 중국 광동성에서 액정패널용 필름재료인 ‘편광판’‘의 생산을 하기 위해 130억엔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일관적으로 생산가능한 체제를 확립해 현지생산을 확대하여 전자부품사업의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
2016-06-20일본 미쓰비시(MMPC)은 필리핀에서 소형차 '미라지'의 판매를 확대할 방침이다. 필리핀 정부에서 '포괄적 자동차산업 진흥전략(CARS)'의 대상 차종으로 미라지를 선정한 것이다.회사 측은 기존에 태국에서 수입해오던 방식을 현지생산 방식으로 전환하며 연간 3.3만대를 생산해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
2